'심하네' 줍줍하던 개미도 멈췄다…7개월만 '최대 폭락' 나스닥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AI 업종 주식이 고평가받고 있다는 우려에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보였다. 5일 원/달러 환율이 국내외 증시 조정과 안전자산 선호 등 겹악재를 만나 장중 1,450원에 육박했다. 서울 명동 환전소에 환율이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8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3% 하락했다. 주간 하락률은 10% 급락한 4월 1주(3월 31일∼4월 4일) 이후 최대였다.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계획을 발표하면서 뉴욕 증시가 흔들렸다. 주요 종목을 보면 실적을 발표한 팔란티어가 11% 급락했다. 아울러 오라클(-9%), 엔비디아(-7%), 메타(-4%), 마이크로소프트(-4%) 등도 떨어졌다. 이들 종목을 포함한 AI 관련 상위 8개 종목의 시가총액은 지난 한 주 동안 약 8000억달러(약 1166조원) 감소했다. 지난달 29일 사상 처음으로 시총 5조...
기사 본문
엔비디아 7%·팔란티어 11% 급락 AI 기술주 8개사 시총 8000억달러 증발 ▲ 뉴욕증권거래소 트레이더 [연합뉴스 자료사진] 인공지능(AI) 업종의 주식이 고평가됐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종합지수는 3% 떨어졌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계획 발표로 10% 급락했던 지난 4월 첫째 주(3월 31일∼4월 4일) 이후 최대 낙폭이다. 특히 AI 산업의 대표 수혜주들이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팔란티어가 실적 발표 후 11% 급락했으며, 오라클(-9%), 엔비디아(-7%), 메타(-4%), 마이크로소프트(-4%) 등 주요 빅테크 기업 주가도 줄줄이 하락했다. 이들 AI 관련 상위 8개 종목의 시가총액은 지난 한 주 동안 약 8000억달러(약 1166조원)가 증발했다....
기사 본문
주간 3% 하락…엔비디아 등 AI 8개사 시총 8천억달러 날아가 지난 7일 뉴욕 타임스스퀘어의 한 스크린에 나오는 나스닥 시황 [A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인공지능(AI) 업종 주식 고평가 우려에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8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 하락했다. 주간 하락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른바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계획 발표 여파로 10% 급락한 4월 1주(3월 31일∼4월 4일) 이후 최대였다. 특히 대표적인 AI 수혜주 주가가 AI 과잉 투자 논란 등 이른바 'AI 거품' 우려에 큰 폭으로 떨어졌다. 주요 종목의 주간 낙폭을 보면 실적을 발표한 팔란티어가 11% 급락했으며 오라클(-9%), 엔비디아(-7%), 메타(-4%), 마이크로소프트(-4%) 등도 줄줄이 내렸다...
기사 본문
로이터 [헤럴드경제=이정환 기자] 지난주 인공지능(AI) 업종 주식 고평가 우려에 미국 증시에서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8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 하락했다. 주간 하락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른바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계획 발표 여파로 10% 급락한 4월 1주(3월 31일∼4월 4일) 이후 최대였다. 특히 대표적인 AI 수혜주 주가가 AI 과잉 투자 논란 등 이른바 ‘AI 거품’ 우려에 큰 폭으로 떨어졌다. 주요 종목의 주간 낙폭을 보면 실적을 발표한 팔란티어가 11% 급락했으며 오라클(-9%), 엔비디아(-7%), 메타(-4%), 마이크로소프트(-4%) 등도 줄줄이 내렸다. 이들 종목을 포함한 AI 관련 상위 8개 종목의 시가총액은 지난 한 주간 약 8000억달러(약 1166조원) 줄어들었다. 지난달 29일 사상 처음으로 시총 5조달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