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조 겨냥한 소상공인연합회 "새벽배송 금지 주장 즉각 철회하라"

2025년 11월 0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3개
수집 시간: 2025-11-09 18:39:3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파이낸셜뉴스 2025-11-09 18:13:17 oid: 014, aid: 0005431724
기사 본문

소상공인연합회가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의 새벽배송 금지 주장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소공연은 9일 성명을 내고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이 '택배 사회적대화기구'를 통해 새벽배송을 금지하라고 주장한 데 대해 "정부의 민생경제 회복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이자, 소상공인 생태계 붕괴를 초래할 무책임한 요구"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소공연은 "노조의 일방적 요구가 현실화될 경우 막대한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한국로지스틱스학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새벽배송과 주 7일 배송이 중단될 경우 택배 주문량이 40% 감소하고, 소상공인 매출은 18조3000억원이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e커머스 매출 감소분까지 포함하면 전체 경제 손실 규모는 54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중앙일보 2025-11-09 18:04:44 oid: 025, aid: 0003481365
기사 본문

소상공인들이 ‘새벽배송(0~5시) 제한’ 주장에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는 9일 논평을 내고 “민주노총 전국택배노조는 새벽 배송 금지 주장을 즉시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새벽배송 제한이 현실화화면,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가 막혀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우려된다”면서다. 회원 수 80만여 명인 소공연은 국내 유일의 소상공인 법정 경제단체다. 택배기사와 소비자단체에 이어 소공연까지 반대 의사를 밝히면서 관련 논쟁은 한층 뜨거워질 전망이다. 이날 소공연은 “내수 부진 속에서 온라인 판매로 간신히 활로를 찾던 소상공인들에게 새벽배송 금지 논의는 생존의 위협”이라고 밝혔다. 이어 “새벽배송 금지는 소상공인 생태계를 붕괴시킬 것”이라며 “새벽배송이 금지된다면, 쿠팡 등 새벽배송 온라인 플랫폼 입점 소상공인들의 피해 규모를 모아 정부에 손실 보상을 요구하겠다”고 예고했다. 민노총이 쿠팡 등 e커머스 업체의 새벽 배송을 제한하자고 주장해 관련 논쟁이 뜨겁다. 연합뉴스 한국...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1-09 17:41:12 oid: 014, aid: 0005431693
기사 본문

택배로 가득차 있는 물류센터.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쿠팡, 컬리 등 이커머스 업체 중심의 온라인 배송 시장에 식품업계가 도전장을 던지며 식품 물류·유통망의 지각변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로켓배송'을 운영 중인 쿠팡, '새벽배송' 문을 연 컬리 등 이커머스 업체들이 빠른 배송을 앞세워 온라인쇼핑의 주도권을 잡은 상황에서 생산자인 식품사들이 미래 성장동력 마련을 위해 '이커머스 독립'에 속도를 내는 형국이다. 다만, 자사몰·자체 배송망 구축은 대규모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 만큼 식품사별로 사업 확대에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9일 국가데이터처와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온라인 식품 시장 규모는 약 47조원이다. 전년 대비 15.0% 성장했다. 전체 온라인 시장 규모(259조4320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3%로, 매년 성장하는 추세다. 주로 쿠팡의 프리미엄 프레시, 컬리의 샛별배송, 오아시스의 새벽배송 등 신선식품 고품질 배송 서비스가 온라인 식품시장의 주도권을 쥐고 있다...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08 07:25:11 oid: 022, aid: 0004081123
기사 본문

2024년 생활물류 종사자 실태조사 시간 제한보다 ‘주 5일제’ 선호도 더 높아 야간배송하는 이유 ‘소득 높아서’가 46% 국토부, 지난달 1차 회의에서 내용 공유 택배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정부 조사에서 10명 중 4명은 야간작업 여건 개선 조치가 필요 없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를 주관한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결과를 지난달 22일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회의에서 공유했다. 8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한국교통연구원이 시행한 2024년 생활물류 종사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야간작업을 수행하는 택배 종사자의 40.3%는 야간작업 개선 조치로 ‘필요 없음’을 택했다. 그 외에 필요 조치는 ‘주 5일 근무제 도입’(35.8%), ‘작업시간 제한’(13.4%), ‘금액 보상’(8.2%) 등으로 집계됐다. ‘새벽배송 금지’에 해당하는 시간 규제가 주 5일제 수요보다 적었던 셈이다. 조사는 택배 기사 87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9월부터 4개월간 진행됐다. 야간작업을 하는 택배 종사자 중...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