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 MSCI ESG 평가 2년 연속 최고 등급인 획득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파이낸셜뉴스] 하나금융그룹은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기관인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한 '2025년 ESG 평가'에서 2년 연속 최고 등급인 'AAA' 등급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MSCI ESG평가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해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글로벌 평가다. 하나금융은 지난달 말께 MSCI ESG 은행산업 평가 대상 기업(576개) 중에 2년 연속 국내 금융사 1위 달성과 동시에 2년 연속 최고 등급인 'AAA'를 기록했다. 이번 평가에서 하나금융은 △이사회 독립성 및 투명성 제고 △선제적 직원 복지와 조직문화 개선, 윤리경영 실천 △소비자 중심의 정책 운영 △기후리스크 평가 및 관리 시스템 강화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글로벌 최상위 수준의 평가를 받았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앞으로도 글로벌 ESG 선도 기업의 역할과 책임을 다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함께 성장하며 행복을 나누는 금융을 적극 실천하겠다"고 했다. 한편 하나금융...
기사 본문
[하나금융그룹 제공] 하나금융그룹은 글로벌 ESG 평가기관인 모건 스탠리 캐피탈 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한 ‘2025년 ESG 평가’에서 2년 연속 최고 등급인 ‘AAA’ 등급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MSCI ESG평가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해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글로벌 평가다. 전 세계 투자자가 인정하는 가장 공신력 있는 글로벌 평가 기관 중 하나이다. 매년 전 세계 8500여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ESG경영 현황을 평가해 AAA부터 CCC까지 7단계의 등급을 부여한다. 하나금융은 올해 10월말 경 MSCI ESG 은행산업 평가 대상 기업(576개) 중에 2년 연속 국내 금융사 1위 달성과 동시에 2년 연속 최고 등급인 ‘AAA’를 기록하며, ESG 중심 경영에 높은 평가를 받는 성과를 거뒀다. 이번 평가에서 하나금융은 △이사회 독립성 및 투명성 제고 △선제적 직원 복지와 조직문화 개선, 윤리경영 실천 등을 통해 지배구조 부문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이밖...
기사 본문
2021년 평가 참여 이후 4년만 최고 수준으로 상향 카카오뱅크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한 'MSCI ESG 평가'에서 최고 등급에 해당하는 'AAA등급'을 획득했다.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가 국제적인 ESG 평가기관으로부터 최상위 수준의 ESG 경영 능력을 인정받았다. 카카오뱅크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한 'MSCI ESG 평가'에서 최고 등급에 해당하는 'AAA등급'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2월 'AA등급'을 받은 지 8개월 만에 다시 한 번 상향된 것으로, 지난 2021년 10월 첫 번째 평가(BB)를 받은 뒤 만 4년 만에 평가 등급 최상단에 올라서게 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MSCI는 대표적인 글로벌 ESG 평가사로, 매년 전 세계 8500여개 상장 기업의 ESG 경영 수준을 평가하는 국제 평가기관이다. △친환경 금융 △금융 소비자 보호 △인재 확보 및 육성 △기업 지배구조 등 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걸친 다양한 평가 요...
기사 본문
2021년 ESG 중장기 전략 선포 후 점진적 성과 이뤄 글로벌 최상위 수준 평가 받아 하나금융그룹이 글로벌 ESG 평가기관인 모건 스탠리 캐피탈 인터내셔널(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MSCI)이 발표한 2025년 ESG 평가에서 2년 연속 최고 등급인 ‘AAA’ 등급을 획득했다.ⓒ하나금융 [데일리안 = 원나래 기자] 하나금융그룹은 글로벌 ESG 평가기관인 모건 스탠리 캐피탈 인터내셔널(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MSCI)이 발표한 2025년 ESG 평가에서 2년 연속 최고 등급인 ‘AAA’ 등급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MSCI ESG평가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해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글로벌 평가로, 전 세계 투자자가 인정하는 가장 공신력 있는 글로벌 평가 기관 중 하나다. 매년 전 세계 8500여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ESG경영 현황을 평가해 AAA부터 CCC까지 7단계의 등급을 ...
기사 본문
2021년 평가 참여 이후 4년만에 최고 수준 상향 ESG분야 전반 우수한 평가 카카오뱅크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한 'MSCI ESG 평가’에서 최고 등급에 해당하는 ‘AAA등급’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카카오뱅크 [데일리안 = 손지연 기자] 카카오뱅크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한 'MSCI ESG 평가'에서 최고 등급에 해당하는 'AAA등급'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2월 'AA등급'을 받은 지 8개월만에 다시 한 번 상향된 것으로, 지난 2021년 10월 첫 번째 평가(BB)를 받은 뒤 만 4년만에 평가 등급 최상단에 올라서게 됐다. MSCI는 대표적인 글로벌 ESG 평가사로, 매년 전 세계 8500여개 상장 기업의 ESG 경영 수준을 평가하는 국제 평가기관이다. ▲ 친환경 금융 ▲ 금융 소비자 보호 ▲ 인재 확보 및 육성 ▲ 기업 지배구조 등 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걸친 다양한 평가 요소를 검토하여 AAA(최고)에서 CCC(최저)...
기사 본문
2021년 평가 참여 이후 4년만 최고 수준으로 상향 카카오뱅크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한 'MSCI ESG 평가'에서 최고 등급에 해당하는 'AAA등급'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지난 2월 'AA등급'을 받은 지 8개월만에 다시 한 번 상향된 것으로, 지난 2021년 10월 첫 번째 평가(BB)를 받은 뒤 만 4년 만에 평가 등급 최상단에 올라서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MSCI는 대표적인 글로벌 ESG 평가사로, 매년 전 세계 8500여개 상장 기업의 ESG 경영 수준을 평가하는 국제 평가기관이다. ▲ 친환경 금융 ▲ 금융 소비자 보호 ▲ 인재 확보 및 육성 ▲ 기업 지배구조 등 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걸친 다양한 평가 요소를 검토하여 AAA(최고)에서 CCC(최저)까지 모두 7단계의 등급을 부여한다. MSCI 평가는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의사결정 지표로 활용되는 등 가장 공신력 있고 높은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는다. 카카오뱅크가 최고 등급...
기사 본문
카카오뱅크 로고. 카카오뱅크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한 ‘MSCI ESG 평가’에서 최고 등급에 해당하는 ‘AAA등급’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2월 ‘AA등급’을 받은 지 8개월만에 다시 한 번 상향된 것으로, 지난 2021년 10월 첫 번째 평가(BB)를 받은 뒤 만 4년만에 평가 등급 최상단에 올라서게 됐다. MSCI는 대표적인 글로벌 ESG 평가사로, 매년 전 세계 8500여개 상장 기업의 ESG 경영 수준을 평가하는 국제 평가기관이다. 친환경 금융, 금융 소비자 보호, 인재 확보 및 육성, 기업 지배구조 등 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걸친 다양한 평가 요소를 검토하여 AAA(최고)에서 CCC(최저)까지 모두 7단계의 등급을 부여한다. MSCI 평가는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의사결정 지표로 활용되는 등 가장 공신력 있고 높은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는다. 카카오뱅크가 최고 등급을 받았다는 점은 기업가치 제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기사 본문
2년 연속 국내 금융사 1위·2년 연속 최고등급 'AAA' 동시 달성 쾌거 이뤄 하나금융그룹은 글로벌 ESG 평가기관인 모건 스탠리 캐피탈 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한 2025년 ESG 평가에서 2년 연속 최고 등급인 'AAA' 등급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MSCI ESG 평가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해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글로벌 평가로, 전 세계 투자자가 인정하는 가장 공신력 있는 글로벌 평가 기관 중 하나다. 매년 전 세계 8500여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ESG 경영 현황을 평가해 AAA부터 CCC까지 7단계의 등급을 부여한다.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10월 말 경 MSCI ESG 은행산업 평가 대상 기업(576개) 중에 2년 연속 국내 금융사 1위 달성과 동시에 2년 연속 최고 등급인 'AAA'를 기록하며, ESG 중심 경영에 높은 평가를 받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이번 평가에서 하나금융그룹은 ▲이사회 독립성 및 투명성 제고 ▲선제적 직원 복지와 조직문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