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지난해 수출 가운데 중간재 비중만 67%, 교역국가도 특정국에 쏠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핵심요약 한국경영자총협회 발표한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 비교와 시사점' 지난해 한국 수출·수입에서 중간재 비중 각각 67.6%, 50.5% 교역 특정국 쏠림 현상도 심해…중국, 미국 쏠림 현상 연합뉴스 지난해 한국의 수출 가운데 중간재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67%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무역에서 중간재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주요 7개국(G7)보다 지나치게 높은데다 특정 국가에 치우쳐 글로벌 무역 분쟁에 더 취약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 비교와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수출·수입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67.6%, 50.5%로 나타났다. 수출과 수입 비중 모두 영국(수출 57.1%·수입 45.7%), 미국(53.6%·41.6%), 일본(53.5%·41.6%), 독일(48.5%·48.9%) 등 G7 회원국을 모두 상회하는 수치다. 경총은 이같이 과도한 중간재 비중이 메모리, 프로세서 ...
기사 본문
반도체 쏠림 심화…수출국 다변화엔 진전 있어 우리나라의 중간재 수출입 비중이 주요 7개국(G7)보다 높아 글로벌 무역 분쟁에 더 취약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5년간 수출국은 다양해졌지만,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품목에 집중되면서 일부 편중 현상이 뚜렷해졌다고 분석했다. 수출입 화물이 쌓여 있는 부산항 신선대부두, 감만부두. [사진=연합뉴스] 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의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지난해 한국 수출·수입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67.6%, 50.5%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영국(수출 57.1%·수입 45.7%), 미국(53.6%·41.6%), 일본(53.5%·41.6%), 독일(48.5%·48.9%) 등 G7 회원국보다 높은 수준이다. 경총은 "우리나라가 소재·부품을 수입해 반도체·이차전지·석유제품과 같은 중간재로 가공해 수출하는 산업에 특화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수출 상위 3개 품목은 메...
기사 본문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한국은 완성품 생산에 투입되는 부품·소재인 ‘중간재’의 교역 비중이 주요 7개국(G7)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 대한 수출 비중이 줄며 수출국 다변화는 진전됐지만, 반도체 등 특정 품목 쏠림은 더 심화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이 발표한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비교와 시사점’에 따르면, 한국 수출과 수입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67.6%, 50.5%로 분석됐다. 수출 비중은 영국(57.1%), 미국(53.6%), 일본(53.5%), 독일(48.5%) 등 G7 국가보다 모두 높았고, 수입 비중 역시 독일(48.9%), 이탈리아(47.4%)를 웃돌았다. 경총은 한국이 소재·부품을 수입한 뒤 이를 반도체·2차전지·석유제품 등 다른 완제품 생산에 쓰이는 중간재로 가공해 수출하는 산업 구조에 특화돼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한국의 수출 상위 3개 품목은 D램·고대역폭메모리(HBM...
기사 본문
경총, 한국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비교 분석 삼성전자 직원들이 웨이퍼를 보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한국의 중간재 교역 비중이 주요 7개국(G7)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사이에는 수출국이 다변화되긴 했지만, 반도체 등 특정 품목에 대한 집중도는 오히려 높아져 변화하는 통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발표한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비교와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기준 한국의 중간재 수출과 수입 비중은 각각 67.6%와 50.5%로, 전체 수출과 수입에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중간재는 가공 생산품 가운데 생산 과정에 투입물로 사용하는 재화로, 교역 품목은 가공단계에 따라 ‘1차 산품’ ‘중간재’ ‘최종재’ ‘기타’로 분류한다. 한국의 중간재 수출 비중은 영국(57.1%), 미국(53.6%), 일본(53.5%), 독일(48.5%), 이탈리아(43.6%), 프랑스(43.0%), 캐나다(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