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새벽배송 금지하면 판로 막혀…민노총 탈퇴한 쿠팡에 보복”

2025년 11월 0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0개
수집 시간: 2025-11-09 16:29:0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동아일보 2025-11-09 14:09:09 oid: 020, aid: 0003673020
기사 본문

뉴시스 소상공인 업계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의 새벽배송 금지 주장에 대해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가 위축된다”며 철회를 요청했다.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는 9일 논평을 통해 “민노총 등이 제기한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정부의 민생경제 회복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며 “새벽배송 제한 요구가 현실화하면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를 막아 돌이킬 수 없는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소공연은 “많은 소상공인들이 이제는 식재료를 새벽배송으로 받아 하루 장사를 준비하는데, 새벽배송이 중단되면 새벽에 차를 몰고 식자재를 구매하러 가야 해 인력충원이 필요한 상황으로 내몰리게 된다”면서 “무리한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새벽배송으로 일상화된 소상공인 생태계와 나아가 한국 경제의 시스템을 일거에 붕괴시킬 우려가 있다”고 비판했다. 앞서 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는 지난달 22일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출범한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회의에서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해 ...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08 07:25:11 oid: 022, aid: 0004081123
기사 본문

2024년 생활물류 종사자 실태조사 시간 제한보다 ‘주 5일제’ 선호도 더 높아 야간배송하는 이유 ‘소득 높아서’가 46% 국토부, 지난달 1차 회의에서 내용 공유 택배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정부 조사에서 10명 중 4명은 야간작업 여건 개선 조치가 필요 없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를 주관한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결과를 지난달 22일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회의에서 공유했다. 8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한국교통연구원이 시행한 2024년 생활물류 종사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야간작업을 수행하는 택배 종사자의 40.3%는 야간작업 개선 조치로 ‘필요 없음’을 택했다. 그 외에 필요 조치는 ‘주 5일 근무제 도입’(35.8%), ‘작업시간 제한’(13.4%), ‘금액 보상’(8.2%) 등으로 집계됐다. ‘새벽배송 금지’에 해당하는 시간 규제가 주 5일제 수요보다 적었던 셈이다. 조사는 택배 기사 87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9월부터 4개월간 진행됐다. 야간작업을 하는 택배 종사자 중...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08 18:02:10 oid: 022, aid: 0004081183
기사 본문

민주노총 택배노조, “노동자 수면권·건강권 보장 위해 새벽 배송 제한 필요” ‘새벽 배송 금지 안 된다’는 택배 기사들 “현실 무시한 억지 주장”…쿠팡노조 “민노총의 보복” 한동훈 “건강권 보호 방안은 마련돼야 하나 민노총이 무슨 권한으로 직업 선택의 자유까지 침해하나” 장혜영 “직업 선택의 자유에 죽음을 각오한 일터를 선택하는 것까지 포함되면 안 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가 최근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출범한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0시부터 5시까지 심야시간대(새벽) 배송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에 대한 찬반 논란이 거세다. 새벽 배송 금지는 과로사 방지 등 택배 노동자의 건강권을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는 입장과 새벽 배송 일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직업선택권 및 새벽 배송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소비자들의 편익을 침해한다는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특히, 쿠팡의 배송 기사 노조가 새벽 배송 금지를 반대하면서 “쿠팡노조의 민노총 탈퇴에 대한 보...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09 16:13:09 oid: 016, aid: 0002554843
기사 본문

쿠팡 직원이 새벽배송인 ‘로켓프레시’ 주문상품을 포장하고 있다.[쿠팡 제공] [헤럴드경제=이정환 기자] 최근 민주노총 전국택배노조가 노동자 건강권 보장을 이유로 쿠팡 등 온라인 플랫폼의 새벽배송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쿠팡 노동자에 이어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도 강하게 반발히고 나섰다. 소공연은 9일 논평을 통해 “역대급 위기를 온라인 판매를 통해 겨우 활로를 모색히고 있는데 난데없는 새벽배송 금지 논의는 크나큰 불안감을 넘어 생존의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밝혔다. 또 “새벽배송이 금지된다면 쿠팡을 비롯한 새벽배송 온라인플랫폼 입점 소상공인들의 피해를 모아 손실보상 촉구에 나설 것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로지스틱스학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새벽 배송과 주 7일 배송이 중단돼 택배 주문량이 약 40% 감소하면, 소상공인 매출은 18조 3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특히 쿠팡의 입점 소상공인은 21만명으로 거래액은 9조원에 달하며, 전체 입점 판매자 중 소...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