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글로벌 선박 발주 부진…‘마스가’ 호재 속 조선업계, 장기 대비책도 필요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수출입은행, 해운·조선업 3분기 동향 및 2026년 전망 2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내년에도 글로벌 선박 발주 부진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미 조선업 협력 계획인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로 국내 조선업계가 수혜를 볼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이지만, 글로벌 선박 발주 감소세가 이어지는 만큼 장기적인 업황 부진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9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의 ‘해운·조선업 2025년 3분기 동향 및 2026년도 전망’을 보면, 내년 글로벌 신조선 발주량은 올해 추정치보다 14.6% 감소한 약 3500만CGT(선박 건조 난이도를 고려한 환산 톤수)로 전망됐다. 올해 세계 신조선 발주량은 전년 대비 45.9% 감소한 4100만CGT로 추정된다. 연구소는 노후선 교체 등 잠재적 수요는 여전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시작된 무역분쟁과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감축 조치...
기사 본문
올해 3분기 누적 46.9%↓…한국은 中제재 반사이익 속 16.7%↓ 내년에도 감소세 전망…"일감 감소 대비한 비상계획 수립 필요" 삼성중공업 컨테이너선 [삼성중공업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홍규빈 기자 =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글로벌 선박 발주량 감소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국내 업계는 한미 조선 협력이라는 호재 속 3년 치 일감을 확보해둔 상황이지만, 장기적인 업황 부진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온다. 9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의 '해운·조선업 2025년 3분기 동향 및 2026년도 전망'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누적 글로벌 신조선 발주량은 3천264만CGT(표준선 환산톤수)로 작년 동기보다 46.9% 감소한 수준이었다. 선종별로는 컨테이너선을 제외한 모든 선종의 발주량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컨테이너선 발주는 1천538만CGT로 7.7% 증가한 데 반해 탱커(445만CGT·69.4%↓), 벌크선(350만CGT·...
기사 본문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한미 조선 협력 속에서 3년치 일감을 확보한 국내 조선업계는 2026년 수주 부진에도 실질적 타격을 받지 않는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다만 장기적 업황 부진에 대비한 전략 수집이 요구된다. 9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2025 3분기 해운 조선업 동향과 2026년 전망' 보고서는 "국내 조선업계 2026년 인도예정 물량은 올해 대비 다소 적은 수준이나 액화석유가스(LNG)선 등 고가 물량 비중이 높고 수년 전 선가 상승기 수주한 물량이 대부분"이라며 "가격 등을 고려하면 내년에도 조선사들 실적 개선은 이어질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올해 글로벌 신조선 발주량은 전년대비 45.9% 감소한 4100만CGT(표준선 환산톤수)로 추정된다. 2026년에는 이보다 14.6% 줄어든 3500만CGT 내외로 예측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본격화된 무역 분쟁이 해운 시황에 악영향을 주는 요...
기사 본문
3분기 누적 글로벌 신조선 발주량 46.9%↓ 한국, ‘中제재’ 반사이익 속 16.7%↓ “일감 감소 대비한 비상계획 수립 필요"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취임 후 첫 번째 산업현장 행보로 지난 8월 14일 경남 거제시에 소재한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방문한 모습. 산업부 제공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글로벌 선박 발주량 감소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9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내놓은 '해운·조선업 2025년 3분기 동향 및 2026년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7~9월) 누적 글로벌 신조선 발주량은 작년 동기보다 46.9% 감소한 3264만 CGT(표준선 환산톤수)로 집계됐다. 선종별로는 컨테이너선을 제외한 모든 선종의 발주량이 급감했다. 컨테이너선 발주는 1538만 CGT로 작년 동기보다 7.7% 증가한 데 반해 탱커(445만 CGT·69.4%↓), 벌크선(350만 CGT·70.9%↓),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194만 CGT·73.4%↓) 등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