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중간재 수출입 비중, G7 보다 커..무역분쟁에 더 취약"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경총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 비교와 시사점' [파이낸셜뉴스] 한국의 중간재 교역 비중이 주요 7개국(G7)보다 커, 우라나라가 글로벌 무역 분쟁에 더 취약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아울러 최근 5년간 수출국이 다양해졌으나,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품목 집중이 심화돼 일부 편중 현상이 뚜렷해졌다는 분석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9일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한국의 수출과 수입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67.6%, 50.5%로 전체 교역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수출과 수입 비중 측면에서 영국(수출 57.1%·수입 45.7%), 미국(53.6%·41.6%), 일본(53.5%·41.6%), 독일(48.5%·48.9%) 등 G7 회원국을 모두 상회하는 수준이다. 우리나라가 소재·부품 등을 수입해 반도체·이차전지·석유제품 같은 중간재로 가공해 다시 수출하는 산업 구조를 갖고 있어 이같은 차이가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
기사 본문
수출입 국가집중도는 두 번째로 높아 中 비중 줄고 美 비중 늘어 품목집중도는 영국 다음으로 2위 반도체 수출 비중 확대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컨테이너 터미널에 수출 대기 중인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있는 모습 인천=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 우리나라가 주요 7개국(G7)보다 중간재 교역 비중이 높아 글로벌 무역 분쟁에 더 취약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 비교와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수출·수입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67.6%, 50.5%로 집계됐다. 수출과 수입 비중 모두 영국(수출 57.1%·수입 45.7%), 미국(53.6%·41.6%), 일본(53.5%·41.6%), 독일(48.5%·48.9%) 등 G7 회원국을 모두 상회하는 수준이다. 이는 한국이 소재, 부품을 수입해 반도체, 이차전지, 석유제품과 같은 중간재로 가공해 수출하는 산업에 특화됐기 때문이라고 경총은 분석했다. 실제로 한국의 ...
기사 본문
한국이 주요 7개국(G7)보다 중간재 수출입 비중이 높고 중간재 교역이 일부 국가와 품목에 집중돼 글로벌 무역분쟁에 취약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발표한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 비교와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수출·수입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67.6%, 50.5%로 집계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수출과 수입 비중 모두 영국(수출 57.1%·수입 45.7%), 미국(53.6%·41.6%), 일본(53.5%·41.6%), 독일(48.5%·48.9%) 등 G7 회원국을 모두 상회하는 수준이다. 한국이 소재·부품을 수입한 뒤 반도체·이차전지·석유제품 같은 중간재로 가공해 수출하는 산업에 특화됐기 때문이라고 경총은 분석했다. 실제 한국의 수출 상위 3개 품목은 메모리(720억달러), 프로세서·컨트롤러(359억달러), 석유제품(347억달러) 등으로 모두 중간재였다. 반면 G7 국가들은 자동차(독일·일본), 항공기(프랑스), 의약품(독일·이...
기사 본문
경총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 비교 시사점' 보고서 발표 한국 수출서 중간재 비중 67.6%···영국보다 10.5%포인트 ↑ D램·HBM 등 메모리 품목 비중 15.6%···품목 집중도 높아져 "무역 분쟁 때 생산 차질 위험···수출시장 다변화 등 대책 필요" 한국경영자총협회. 사진제공=경총 [서울경제] 우리나라의 중간재 교역 비중이 주요 7개 국(G7)보다 높아 국가 간 무역 분쟁 등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중간재 수출 길이 다변화하면서 최대 수출국인 중국에 대한 의존도는 다소 완화됐지만 반도체 메모리 등 특정 품목에 대한 교역 집중도는 높아졌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9일 발표한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비교와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수출과 수입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67.6%, 50.5%로 분석됐다. 중간재 수출과 수입 비중은 모든 G7 국가보다 높았다. 중간재 수출 비중은 G7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영국(57.1%)보다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