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소비 중심 완만한 경기 개선세”…6개월 만에 ‘둔화→개선’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반도체 호조에도 수출 둔화·건설투자 부진 지속 시장금리 하락·소비쿠폰 지급 등 내수 회복세 “소비는 살아났지만, 경기 확장엔 아직 거리”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우리 경제가 “건설투자 위축과 수출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소비를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5월 이후 6개월 만에 경기 판단을 ‘둔화’에서 ‘개선’으로 전환한 것으로, 소비 회복을 중심으로 한 경기 저점 통과 신호로 해석된다. KDI는 9일 발표한 ‘2025년 11월 경제동향’에서 “반도체 경기 호조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관세 인상 영향으로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고, 건설투자의 부진도 이어지고 있다”며 “다만 시장금리 하락과 소비부양정책 등으로 소비를 중심으로 경기가 다소 개선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KDI는 올해 상반기 내내 ‘경기 둔화’ ‘미약한 수준’ 등의 표현을 유지했으나, 8월부터 ‘소비 여건 부분 개선’, 9월에는 ‘소비 중심 경기 부진 완화’...
기사 본문
지난 6일 서울 이마트 용산점에서 시민들이 김장재료를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소비를 중심으로 경기가 다소 개선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수출 증가세가 둔화하고 건설투자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통상 여건이 일부 개선됐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개발연구원은 9일 발표한 경제동향(11월호)에서 “건설투자 위축과 수출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소비를 중심으로 경기가 다소 개선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9월 전산업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6.7% 늘어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광공업생산(11.6%) 등 산업 전반에서 생산 증가세가 크게 확대됐지만, 연구원은 지난해 9월에 있었던 추석 연휴가 올해는 10월로 이동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조업일수가 4일 늘어난 데 따른 일시적 현상일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소비와 연관성이 큰 서비스업생산(6.2%)은 도소매, 금융·보험을 중심으로 증가 폭이 확대됐고, 조업일수의 영향이 배제된 계절조정 전년...
기사 본문
대전일보 DB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최근 소비를 중심으로 경기가 다소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KDI가 '경기 개선'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지난 5월 '경기 둔화'를 언급한 이후 6개월 만이다. 다만 건설업 부진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진단을 냈다. KDI는 9일 발표한 '2025년 11월 경제동향'에서 "건설투자 위축과 수출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소비를 중심으로 경기가 다소 개선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KDI는 지난 6-7월 경기를 각각 '미약한 상태', '낮은 수준'으로 평가했으나, 8월에는 '소비 여건은 부분적으로 개선', 9월에는 '소비를 중심으로 경기 부진이 다소 완화'라고 진단한 바 있다. KDI는 "여전히 경기가 좋은 상황은 아니지만 8월부터 이어진 부진 완화가 한층 진전됐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9월 전산업 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0.4%에서 6.7%로 확대됐다.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이 포함된 서비스업 생산은 1.0%에서 6.2...
기사 본문
■11월 경제동향 5일 서울 시내 편의점 모습. 연합뉴스 [서울경제] 한국 경제가 건설투자 위축과 수출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소비를 중심으로 경기가 다소 개선되고 있다고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진단했다. KDI는 9일 발표한 ‘11월 경제동향’에서 “미국 관세인상의 부정적 영향이 파급되며 수출 증가세가 점차 둔화되는 가운데 건설투자의 부진도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소비가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내며 소비를 중심으로 경기가 다소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KDI가 경제동향에서 경기 개선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5월 ‘경기 둔화’를 명시한 이후 6개월 만이다. 지난달에는 “소비를 중심으로 경기부진이 다소 완화하고 있다”고 진단했으나 한 달 만에 긍정의 강도가 약간 더 강해진 셈이다. KDI는 서비스업 생산 증가를 중심으로 9월 전산업 생산(-0.4%→6.7%)이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이 포함된 서비스업 생산은 시장금리 하락세와 정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