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 최대 이익에도 건전성은 최악…NPL 커버리지 ‘역대 최저’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연합뉴스]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올해 3분기까지 15조원이 넘는 최대 이익을 거뒀지만, 부실 대출도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자영업자, 중소기업 등 취약차주(대출자)들이 원리금을 제때 갚지 못하기 때문이다. 최근 경기 회복마저 일부 대기업·수출기업 위주로 이뤄지면서, 당분간 금융권의 자산 건전성 지표가 계속 나빠질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9일 4대 금융의 3분기 말(9월 말) 기준 요주의여신(연체 1∼3개월) 합은 18조3490억원으로 집계됐다. 우리금융 출범 이후 합산 통계가 시작된 2019년 이후 최대치다. 고정이하여신(NPL·연체 3개월 이상)도 9조2682억원으로 집계됐다. 4대 금융 출범 이래 가장 많았던 2분기(9조3042억원)보다 360억원 정도 줄었지만, 1년 전인 작년 3분기 말(7조8651억원)보다 18%나 늘어 여전히 역대급 규모다. 이에 따라 전체 여신(대출) 중 NPL 비율(단순평균·0.72%) 역시 최고 기록인 올해 1분기 말(0.74%)이나...
기사 본문
요주의채권 최대…역대급 충당금·상매각 불구 NPL커버리지비율 최저 "저성장·양극화에 자영업 등 취약계층 연체 확대…더 늘수도" 빚 수렁에 빠진 韓경제…4대 금융지주 부실채권 역대 최대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2025.4.27 nowwego@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이자·수수료로 올해 3분기까지 15조원이 넘는 최대 이익을 거뒀지만, 동시에 부실 대출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수년간 저성장·고금리 환경이 이어지면서 한계에 이른 자영업자, 중소기업 등 취약차주(대출자)들이 원리금을 제때 갚지 못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최근 경기 회복마저 일부 대기업·수출기업 위주로 이뤄지면서, 당분간 금융권의 자산 건전성 지표가 계속 나빠질 것이라는 경고도 나온다. NPL커버리지비율 123.1%…1년새 18.5%p 급락 9일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1분기 실적과 함께 공개한 팩트북 등에 따르면, ...
기사 본문
최대 규모 부실 채권, 상·매각으로 털어내도 역부족이다 KB·신한·하나·우리 등 국내 4대 금융지주가 올해 들어 3분기까지 15조원이 넘는 사상 최대 이익을 거뒀지만, 부실 대출도 크게 늘어나면서 골머리를 앓고 있다. 9일 4대 금융지주가 발표한 실적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말(3분기) 기준 4대 금융의 ‘요주의여신’(要注意與信) 합은 18조3490억원으로, 4대 금융지주 합산 통계가 시작된 2019년 1분기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주의여신이란 연체 기간이 한 달에서 석 달 사이로 현재는 채권 회수에 문제가 없지만 앞으로 신용 상태가 악화될 위험이 있어 세심한 주의나 관리가 필요한 대출을 의미한다. 이는 저성장과 고금리 환경이 오랜 기간 계속되면서 한계에 이른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같은 취약 대출자들이 원리금을 제때 갚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요주의여신 보다 부실이 더 심한 고정이하여신(NPL·연체가 석 달 이상 지속된 대출)도 9조2682억원으로 ...
기사 본문
4대 금융지주 부실채권 역대 최대 [연합뉴스 자료]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이자·수수료로 올해 3분기까지 15조원이 넘는 최대 이익을 거뒀지만, 동시에 부실 대출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9일)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1분기 실적과 함께 공개한 팩트북 등에 따르면, 3분기 말(9월 말) 기준 이들의 요주의 여신(연체 1∼3개월) 합계는 18조 3,49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우리금융지주 출범으로 4대 금융지주 합산 통계가 시작된 2019년 1분기 이후 최대 규모입니다. 요주의 단계보다 부실이 더 심한 고정이하 여신(NPL·연체 3개월 이상)도 9조 2,682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4대 금융지주 출범 이래 가장 많았던 2분기보다는 360억 정도 줄었지만, 1년 전인 작년 3분기 말보다 18%나 늘어 여전히 역대급 규모입니다. 이에 따라 전체 여신(대출) 중 NPL비율(단순평균·0.72%) 역시 최고 기록인 올해 1분기 말(0...
기사 본문
3분기까지 15조 이익 불구 울상 요주의여신 18조3490억 '최대' 저성장·고금리로 건전성 악화 4대 금융지주가 올해 3·4분기까지 15조원이 넘는 최대 이익을 거둔 가운데 부실대출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저성장·고금리 장기화로 자영업자, 중소기업 등 취약차주가 원리금을 제때 갚지 못하면서 부실 감당능력 지표인 4대 금융지주의 단순평균 NLP커버리지비율이 불과 1년 새 18.5% 급락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3·4분기 말 기준 단순평균 NPL커버리지비율(대손충당금 잔액/고정이하여신)은 123.1%를 기록했다. 지난해 3·4분기 말(141.6%)과 비교하면 18.5%p 하락했다. 전체 여신(대출) 가운데 NPL 비율(단순평균)은 0.72%로, 올해 최고 기록인 지난 1·4분기 말(0.74%)과 2분기 말(0.74%)과 비교해 소폭 하락하는데 그쳤다. 연체 3개월 이상의 고정이하여신(NPL)도 9조2682억원으로 집계됐다. 4대 금융지주...
기사 본문
시중은행. 연합뉴스 KB·신한·하나·우리 등 국내 4대 금융지주가 올해 3분기까지 15조 원이 넘는 최대 이익을 거뒀지만, 부실 대출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9일 이들 금융지주가 발표한 실적 자료에 따르면 3분기 말(9월 말) 기준 요주의여신(연체 1~3개월) 합은 18조 3490억 원으로 집계됐다. 4대 금융지주 합산 통계가 시작된 2019년 1분기 이후 최대 규모다. 요주의여신이란 연체 기간이 1~3개월로 현재는 채권 회수에 문제가 없지만 앞으로 신용 상태가 악화할 위험이 있어 세심한 주의나 관리가 필요한 대출을 의미한다. 3개월 이상 연체해 요주의 단계보다 부실이 더 심한 고정이하여신(NPL)도 9조 2682억 원으로 집계됐다. 4대 금융지주 출범 이래 가장 많았던 2분기(9조 3042억 원)보다는 360억 원 정도 줄었지만, 작년 3분기 말(7조 8651 억원)보다 18% 늘었다. 이는 저성장과 고금리 환경이 오랜 기간 계속되면서 한계에 이른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등 취약...
기사 본문
고정이하여신 9조 돌파… NPL 커버리지 ‘역대 최저’ 고금리 장기화에 취약차주 부담↑… 연체 증가세 지속 [연합뉴스]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3분기 사상 최대 이익을 거뒀지만, 자산 건전성은 급격히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 중소기업 등 취약차주(대출자)들의 연체가 늘면서 부실대출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영향이다. 최근 경기 회복마저 일부 대기업·수출기업 위주로 이뤄지면서, 당분간 금융권의 자산 건전성 지표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4대 금융의 3분기 말 기준 요주의여신(연체 1∼3개월) 합은 9일 기준 18조3490억원으로 집계됐다. 우리금융이 출범한 후 합산 통계가 시작된 2019년 이후 최대치다. 같은 기간 4대 금융의 고정이하여신(NPL·연체 3개월 이상) 규모는 9조2682억원을 넘어섰다. 이 역시 4대 금융 합산 통계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이다. 1년 전인 작년 3분기 말(7조8651억원)보다 18%나 늘었다. 이에 따라 전체 여신(대출...
기사 본문
3분기 말 요주의여신 18.3조 최대 충당금 쌓고 부실채권 매각해도 주요 건전성 지표 역대 최악 수준 4대 금융지주가 올 3분기까지 누적 15조원이 넘는 사상 최고 순이익을 냈지만, 건전성 지표는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각 사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지주의 3분기 말 요주의여신 총액은 18조 3490억원으로 집계됐다. 우리금융지주 출범으로 4대 금융지주 합산 통계가 시작된 2019년 1분기 이후 최대 규모다. 요주의여신은 3개월 미만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잠재부실 채권을 의미한다. 회사별로 보면 하나금융의 요주의여신 규모가 6조 3257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KB금융(4조 1822억원), 우리금융(4조 719억원), 신한금융(3조 7692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연체 3개월 이상의 고정이하여신(NPL)은 4대 지주 합산 9조 2682억원으로 집계됐다. 4대 지주 출범 이래 가장 많았던 2분기(9조 3042억원)보다는 360억원 정도 줄었지만,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