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배송 금지하면 매출 18조원 감소"…소상공인들, 피해 발생시 '손실보상' 청구

2025년 11월 0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5개
수집 시간: 2025-11-09 13:39:17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머니투데이 2025-11-09 11:07:58 oid: 008, aid: 0005275429
기사 본문

소상공인연합회 "새벽배송 금지 시 매출 18조원 이상 감소 전망" 서울 서초구 쿠팡 서초1캠프에 쿠팡 배송차량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최근 민주노총 전국택배노조가 노동자 건강권 보장을 이유로 쿠팡 등 온라인 플랫폼의 새벽배송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가 강하게 반발했다. 소상공인들의 온라인 판로가 위축돼 소상공인들이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소공연은 9일 논평을 통해 "내수 부진으로 인한 역대급 위기 속에 온라인 판매로 겨우 활로를 모색하던 소상공인들에게 난데없는 새벽배송 금지 논의는 크나큰 불안감을 넘어 생존의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 최대 물류산업 학회인 한국로지스틱스학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새벽 배송과 주 7일 배송이 중단돼 택배 주문량이 약 40% 감소하면, 소상공인 매출은 18조 3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산된다"며 "이커머스 업체 매출 감소분 33조여원 등을 포함하면 경제적 손실...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08 07:25:11 oid: 022, aid: 0004081123
기사 본문

2024년 생활물류 종사자 실태조사 시간 제한보다 ‘주 5일제’ 선호도 더 높아 야간배송하는 이유 ‘소득 높아서’가 46% 국토부, 지난달 1차 회의에서 내용 공유 택배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정부 조사에서 10명 중 4명은 야간작업 여건 개선 조치가 필요 없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를 주관한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결과를 지난달 22일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회의에서 공유했다. 8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한국교통연구원이 시행한 2024년 생활물류 종사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야간작업을 수행하는 택배 종사자의 40.3%는 야간작업 개선 조치로 ‘필요 없음’을 택했다. 그 외에 필요 조치는 ‘주 5일 근무제 도입’(35.8%), ‘작업시간 제한’(13.4%), ‘금액 보상’(8.2%) 등으로 집계됐다. ‘새벽배송 금지’에 해당하는 시간 규제가 주 5일제 수요보다 적었던 셈이다. 조사는 택배 기사 87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9월부터 4개월간 진행됐다. 야간작업을 하는 택배 종사자 중...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1-09 12:54:19 oid: 014, aid: 0005431616
기사 본문

소상공인 생존 위협·경제 손실 54조원 우려 노조의 일방 주장, 민생경제에 재 뿌리는 행위 서울 동작구 노량진수산시장에 포장용스티로폼 박스가 쌓여있다. 뉴스1 제공 [파이낸셜뉴스] 소상공인연합회가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의 새벽배송 금지 주장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소공연은 9일 성명을 내고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이 '택배 사회적대화기구'를 통해 새벽배송을 금지하라고 주장한 데 대해 "정부의 민생경제 회복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이자, 소상공인 생태계 붕괴를 초래할 무책임한 요구"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소공연은 "내수 부진 속에서도 온라인 판매를 통해 간신히 버티고 있는 소상공인들에게 새벽배송 금지 논의는 생존의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며 "노조의 일방적 요구가 현실화될 경우 막대한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한국로지스틱스학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새벽배송과 주 7일 배송이 중단될 경우 택배 주문량이 40% 감소하고, 소상공인 매출은 18조3000억원이 줄어...

전체 기사 읽기

중앙SUNDAY 2025-11-08 01:47:09 oid: 353, aid: 0000053612
기사 본문

━ ‘새벽배송’을 바라보는 다섯 가지 시선 고(Go)? 스톱(Stop)? ‘새벽배송’ 논쟁이 수일째 사회를 달구고 있다. 지난달 22일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는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에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전국택배노조가 “오전 0~5시 택배 배송을 제한하자”고 제안하면서다. 진보단체·노조 측은 과로사 등을 거론하며 중단을 주장하는 반면, 택배기사·소비자 쪽은 “과도한 간섭”이라며 맞서고 있다. 한 물류산업 학회에선 새벽배송과 주7일 배송 서비스가 금지되면 54조원의 경제적 손실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새벽배송을 바라보는 다섯 가지 시선을 소개한다. ━ 손솔 (진보당 국회의원) Q : 새벽배송 금지돼야 하나. A : “사회적으로 꼭 필요한지, 근로자에게 고통을 주면서까지 유지돼야 하는 서비스인지 논의가 필요하다. 필수노동·필수서비스라면 안전하게 근로할 방법을 찾아야 하고 그게 아니면 줄여가야 한다. 2019년엔가 이틀에 한 번꼴로 새벽배송 기사의 과로사 소식이 들렸던 적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