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 1년 연장되면 고령 정규직 5만명 은퇴 유예 추산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65세 법정 정년 연장 입법 연내 통과 촉구 기자회견 [연합뉴스 자료사진] 정년이 1년 연장되면 정규직 고령자 약 5만명의 은퇴가 유예될 것으로 추산됩니다. 국가데이터처 경제활동인구 마이크로데이터를 통해 한국의 상용근로자의 연령별 분포를 세부 분석한 결과, 59세에서 60세로 넘어가는 시점에 고용자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용근로자는 1년 이상 계속 일할 것으로 예상되는 취업자로, 임금근로자 가운데 가장 안정적인 형태이며 통상 정규직으로 불립니다. 1964년생 상용근로자는 59세 때인 2023년엔 29만1천명이었는데 60세인 작년에는 23만7천명으로 5만5천명 감소했습니다. 1960∼1964년생이 59세에서 60세로 넘어가는 시점에 상용근로자는 평균 5만6천명 줄었고 감소율은 20.1%였습니다. 이는 상용근로자가 법정 정년인 60세에 대거 정년퇴직하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대기업인 대규모 사업장(종업원 300인 이상) 상용직에서는 법정 정년퇴직의 영향이 더욱 커...
기사 본문
정년 1년 늦추면 59~60세 상용근로자 평균 5만6000명 감소 당정 ‘65세 정년’ 입법 추진…“청년 고용 더 위축 우려” 취업박람회에서 일자리를 찾고 있는 구직자들. [연합뉴스] 최근 ‘65세 정년’ 입법 논의가 급물살을 타면서 정년 1년 연장 시 고령층 정규직 5만명 가량은 은퇴가 미뤄질 것으로 추산됐다. 정년 연장으로 정규직들의 지속 근로는 가능해지지만 청년 고용은 더 위축될 전망이다. 일자리를 둘러싼 세대 간 갈등이 우려돼 청년 고용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국가데이터처의 경제활동인구 마이크로데이터에서 ‘한국의 상용근로자 연령별 분포’를 보면 59세에서 60세 사이 상용근로자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근로자는 1년 이상 계속 일할 것으로 예상되는 임금근로자로, 정규직에 해당된다. 1960∼1964년생이 59세에서 60세로 넘어가는 시점에 상용근로자는 평균 5만6000명 줄어 20.1% 감소율을 보였다. 법정 정년인 60세에 이들 다수가 은퇴...
기사 본문
당정·노동계, '65세 정년' 입법 급물살 성장잠재력 하락·노인층 빈곤 해소 차원 “청년 취업납 심화·충분한 논의 없어” 우려 “점진적 추진, 청년 고용대책 마련 필요”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이 지난 5일 국회에서 진보당 윤종오 의원과 한국노총, 민주노총이 주최한 ‘65세 법정 정년 연장 입법 연내 촉구 기자회견’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가데이터처 제공 정부 여당과 노동계가 연내 정년 연장 입법 드라이브를 걸고 나선 가운데, 정년이 1년 연장되면 정규직 고령자 약 5만 명의 은퇴가 유예될 것으로 추산된다. 저출생 고령화 심화 속에 정년 연장을 추진하면서 청년 일자리 감소 등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9일 기획재정부와 국회 등에 따르면, 최근 이재명 정부는 정년 연장을 국정과제로 선정했고, 더불어민주당과 노동계의 주도로 만 65세 연장 입법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최근 정년 연장 논의에 불이 붙은 배경에는 법정 정년과 공적연금 수급 ...
기사 본문
與, 만 65세 정년 연장 추진…청년 고용 위축 우려 확산 대기업 정규직 60세 이후 급감, 법정 정년 영향 뚜렷 '2025 부산 잡(JOB) 페스티벌'이 열린 10월 27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구직자들이 구인 업체 부스에서 현장 면접을 보는 모습. 연합뉴스 여권을 중심으로 정년 연장 논의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정년이 1년 늘어날 경우 약 5만명의 고령 정규직 근로자가 은퇴를 유예하게 되는 것으로 추산됐다. 그러나 이로 인해 청년층의 '질 좋은 일자리' 공급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9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 결과 상용근로자 수는 59세에서 60세로 넘어가는 시점에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근로자는 1년 이상 계속 일할 것으로 예상되는 임금근로자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정규직을 가리킨다. 1964년생 상용근로자는 59세였던 2023년 29만1천명에서 60세인 지난해 23만7천명으로 5만5천명 감소했다.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