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 대비 1.6%↓…육류·유제품 품목 하락

2025년 11월 0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5개
수집 시간: 2025-11-09 06:46:2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TV조선 2025-11-08 15:11:17 oid: 448, aid: 0000569271
기사 본문

/연합뉴스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전월보다 1.6% 감소한 126.4포인트를 기록, 두 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품목별 가격지수는 유지류(기름)를 제외한 곡물, 육류, 유제품, 설탕 등에서 감소한 것으로 오늘(8일) 나타났다. FAO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 동향을 조사해 5개 품목군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발표하는데, 10월 곡물 가격지수는 103.6포인트로 전월 대비 1.3% 하락했다. 주요 곡물인 밀, 보리, 옥수수, 수수의 가격이 모두 내려갔고 남반구 지역의 안정적인 생산, 북반구의 겨울 밀 파종 진전 등이 영향을 미쳤다. 다만 쌀은 경쟁 심화와 주요 수출국 수확기 진입으로 2.5% 하락했다. 육류는 127.5포인트로, 전년 동기 대비 4.8% 높지만 전월 대비 2.0% 하락한 수치다. EU의 공급 과잉과 중국의 신규 관세, 조류인플루엔자(HPAI)로 인한 브라질 수출 제한 등이 영향을 미쳤다. 유제품은 142.2포인...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08 14:48:25 oid: 003, aid: 0013588660
기사 본문

FAO 10월 세계식량지수 126.4p…유지류만 상승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사진은 지난 3월 9일 서울시내 대형마트에 설탕이 진열돼 있는 모습. 2025.03.09. jhope@newsis.com [세종=뉴시스]박광온 기자 = 곡물·육류·유제품·설탕 가격이 내리면서 세계 식량가격지수가 두 달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8일 농림축산식품부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1.6% 하락한 126.4포인트(p)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126.9p) 대비로는 0.4% 내렸다. 앞서 세계 식량가격지수는 지난 7월 129.8p을 기록하며 2023년 2월(130.7p) 이후 2년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바 있다. 그러나 이후 8월 129.8p로 보합을 이뤘고, 9월 128.5p, 10월 126.4p로 두달 연속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FAO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 동향(95개)을 조사해 5개 품목...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08 14:32:44 oid: 421, aid: 0008592301
기사 본문

곡물·육류·유제품·설탕 품목 하락…유지류 상승 설탕 가격지수, 2020년 12월 이후 최저치 사진은 이날 서울 양재동 하나로마트 배추·무 코너 모습. 2025.10.29/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세종=뉴스1) 김승준 기자 =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전월(128.5포인트)보다 1.6% 감소한 126.4포인트를 기록, 두 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8일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품목별 가격지수는 유지류(기름류)를 제외한 곡물, 육류, 유제품, 설탕 등에서 감소했다. FAO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 동향을 조사해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발표한다. 2014~2016년 평균값을 100으로 기준 삼는다. 10월 곡물 가격지수는 103.6포인트로 전월 대비 1.3% 하락했다. 주요 곡물인 밀, 보리, 옥수수, 수수의 가격이 모두 내려갔고 남반구 지역의 안정적인 생산, 북반구의 겨울 밀 파종 진전 등이 ...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1-08 14:39:11 oid: 277, aid: 0005676463
기사 본문

설탕, 2020년 12월 이후 최저치 세계식량가격이 10월에도 하락세를 보였다. 주요 품목군 중 유지류를 제외하곤 내림세를 기록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5년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6.4포인트로 전월(128.5포인트) 대비 1.6% 하락하며 두 달 연속 내림세가 이어졌다. 품목군별로 곡물과 육류, 유제품, 설탕 가격은 하락, 유지류 가격은 상승했다. 곡물 가격지수는 103.6포인트로 전월 104.9포인트 대비 1.3% 하락했다. 주요 곡물인 밀과 보리, 옥수수, 수수의 가격이 모두 내려갔다. 남반구 지역의 안정적인 생산, 북반구 겨울 밀 파종 진전 등이 영향을 미쳤다. 다만 유럽연합(EU)과 미국의 옥수수 수확량 감소 우려, 미·중 간 무역 협정이 하락 폭을 일부 완화했다. 쌀 가격도 경쟁 심화와 주요 수출국 수확기 진입으로 2.5% 하락했다. 육류 가격지수는 125.0포인트를 기록하며 전월 127.5포인트 대비 2.0% 하락했다. 육류 가격지수는 전달보...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08 20:15:10 oid: 018, aid: 0006159566
기사 본문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比 1.6%↓ 곡물·육류·유제품·설탕 일제히 하락 환율 상승세로 원재료 인하 효과 제한적 [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세계 식량가격지수가 두 달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다만 최근 환율은 상승세를 보이면서 가공식품 등에 이용되는 수입 원재료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사진=연합뉴스) 8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전월 대비 1.6% 하락한 126.4포인트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월(126.9포인트) 대비로는 0.4% 내렸다. 지수는 2014∼2016년 평균 가격을 100으로 두고 비교해 나타낸 수치를 뜻한다. 앞서 세계 식량가격지수는 지난 7월 129.8포인트를 기록하며 2023년 2월(130.7포인트)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바 있다. 하지만 8월 129.8포인트로 보합을 이뤘고, 9월 128.5포인트, 10월 126.4포인트로 두달 연속 내림세를 보...

전체 기사 읽기

대전일보 2025-11-08 17:26:16 oid: 656, aid: 0000154651
기사 본문

대형마트에 진열된 설탕. 연합뉴스 세계식량가격이 두 달 연속 하락했다. 주요 품목군 중 유지류를 제외하곤 모두 내림세를 보였다. 8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5년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6.4포인트로 전월(128.5포인트) 대비 1.6% 하락했다. 품목군별로는 곡물과 육류, 유제품, 설탕 가격은 떨어졌으며, 유지류 가격은 올랐다. 곡물 가격지수는 103.6포인트로 전월 104.9포인트 대비 1.3% 하락했으며, 주요 곡물인 밀과 보리, 옥수수, 수수의 가격이 모두 내려갔다. 남반구 지역의 안정적인 생산, 북반구 겨울 밀 파종 진전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쌀 가격도 경쟁 심화와 주요 수출국 수확기 진입으로 2.5% 하락했다. 육류 가격지수는 125.0포인트를 기록하며 전월 127.5포인트 대비 2.0% 하락했다. 육류 가격지수는 직전 달보다 2% 떨어졌지만, 전년 동기 대비 4.8% 높았다. 돼지고기와 가금육 가격 급락이 전체 하락을 이끌었다는 분석...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8 17:01:49 oid: 001, aid: 0015731229
기사 본문

대형마트에 진열된 설탕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세계식량가격지수가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7일(현지시간) 발표한 지난 10월 기준 세계식량가격지수(2014∼2016년 평균 가격이 100)는 126.4포인트로 전달(128.5포인트) 대비 1.6% 내렸다. 곡물, 육류, 유제품, 설탕 가격은 하락했으며 유지류 가격은 상승했다. 설탕 가격지수는 전달 대비 5.3% 하락하면서 지난 2020년 12월 이후 최저인 94.1를 기록했다. 브라질의 생산이 호조를 보였고 태국·인도의 생산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또 국제 원유가 하락으로 바이오 연료 수요가 줄어든 것이 설탕 가격 추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유제품 가격지수는 전달보다 3.4% 하락하면서 4개월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버터 등 가격이 내린 것은 유럽연합과 뉴질랜드의 공급 확대, 아시아·중동 지역 수요 둔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육류 가격지수는 8개월간 상승하다 전달보다 2% 떨어졌다. 돼지...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08 17:17:08 oid: 016, aid: 0002554686
기사 본문

브라질 생산 호조·아시아 수요 둔화 영향 FAO “내년 곡물 생산 사상 최고 전망”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123RF] [헤럴드경제=노아름 기자] 세계식량가격지수가 2개월 연속 하락했다. 특히 설탕 가격지수가 크게 내렸는데 이는 바이오 연료 수요가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7일(현지시간) 발표한 지난 10월 기준 세계식량가격지수(2014∼2016년 평균 가격이 100)는 126.4포인트로 전달(128.5포인트) 대비 1.6% 내렸다. 곡물, 육류, 유제품, 설탕 가격은 하락했으며 유지류 가격은 상승했다. 설탕 가격지수는 전달 대비 5.3% 하락하면서 지난 2020년 12월 이후 최저인 94.1를 기록했다. 브라질의 생산이 호조를 보였고 태국·인도의 생산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또 국제 원유가 하락으로 바이오 연료 수요가 줄어든 것이 설탕 가격 추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유제품 가격지수는 전달보다 3.4% 하락하면서 4개월 연속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