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정부 NDC 충돌…“산업 포기 선언” Vs “기후 악당 선언”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내주 확정 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논란 원자력학회 “요금 급등, 산업 기반 흔들 것” 환경운동연합 “기후위기인데 韓 책임 방기” [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정부가 공개한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관련해 논란이 격화되고 있다. 원자력학계는 감당하기 힘든 목표치라며 산업 충격을 우려한 반면, 환경단체는 턱없이 낮은 목표치라며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을 비판하고 나섰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 대국민 공개 논의 공청회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앞서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지난 6일 2035 NDC에 대해 2018년 대비 ‘50∼60%’ 감축 또는 ‘53∼60%’ 감축을 최종 후보안으로 공개했다. 최종안은 다음 주에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국무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이달 중에 UN에 제출된다. 관련해 한국원자력학회는 7일 오후 입장문에서 ...
기사 본문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50~60% 의미는? 정부안 ①50~60% ②53~60% 제시 산업계 "48%" vs 시민사회 "65%"…이견 조율 실패 국회 입법 논의 최저치 61%보다도 낮은 상단…정부 "실현 가능성에 초점" 6년간 온실가스 9천만t 줄였는데…10년간 3~4배 더 줄여야 하는 상황 53%는 2030 NDC(40% 감축) 달성 전제로 한 선형 감축 목표…50%는 후퇴인 셈 홍종호 교수 "하한선 53%가 바람직…상한선은 58%가 솔직한 목표일 것" 탄녹위 심의→국무회의 의결→브라질 COP30서 국제사회에 발표 예정 편집자 주 '기후로운 경제생활'은 CBS가 국내 최초로 '기후'와 '경제'를 접목한 경제 유튜브/라디오 프로그램입니다. 한국의 대표 기후경제학자 서울대 환경대학원 홍종호 교수와 함께합니다. 매주 수/목/금 오후 9시 업로드됩니다. 표준FM 98.1mhz 목/금 오후 5시에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전체 영상 내용은 '경제연구실' 채널에서 참고하시기 바...
기사 본문
장혜영의 읽고사니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명 어렵지만 비관과 숙명론 떨치고 낙관과 실천으로 가는 길 험하다고 인류 생존 포기할텐가 기후위기를 둘러싼 상황을 시민들에게 설명하기 위한 언어가 어렵다는 데에 활동가들의 고민이 있다. 사진은 기후 다큐멘터리 ‘바로 지금 여기’의 한 장면. 배급사 제공 “방구를 덜 뀌자고 하면 어때요?” 지난 9월17일, 전국 각지에서 ‘관객이 여는 100개의 극장’이라는 부제로 ‘제1회 기후정의영화제’가 열렸다. 김진열, 남태제, 문정현 세명의 감독이 공동연출한 기후 다큐멘터리 ‘바로 지금 여기’의 극장 배급을 기후시민들의 힘으로 직접 이뤄낸 프로젝트였다. 서울 마포 지역의 극장 한곳에서 함께 상영을 추진한 사람들과 얼마 전 늦은 뒤풀이를 했다. 그날의 주된 화제는 ‘2035 엔디시(NDC,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현실화 캠페인의 어려움’이었다. 한국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파리기후협약의 당사국이다. 2015년 출범한 파리협약의 목표는 지구의 평균온도...
기사 본문
2018년 대비 감축목표 설정 정부안 공개에 농업계 우려 “현장 소통 없고 축산업 위축” 클립아트코리아 우리나라가 2035년까지 이행해야 할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의 정부안이 공개됐다. 국가적으로 2018년 대비 50% 이상의 감축목표가 설정된 가운데 농업계에는 최소 26% 이상의 감축목표가 주어질 전망이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6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2035 NDC’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2015년 채택된 파리협정에 따라 협정국들은 5년마다 이전보다 기준이 상향된 NDC를 마련해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국에 제출해야 한다. 한국은 2021년 12월 ‘2030 NDC 상향안’을 제출했고, 올해 ‘2035 NDC’를 제출할 예정이다. 공청회에 앞서 정부는 올 9∼10월 총괄, 전력, 산업, 수송, 건물, 농축수산·흡수원·순환경제 6개 분야에서 대국민 공개 논의를 진행했다. 당시 각계는 ▲48% 감축 ▲53% 감축 ▲61% 감축 ▲65% 감축 등 4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