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공대위 “10만명 일자리 사라질 판, 정부가 나서라”…무기한 단식 농성 예고

2025년 11월 0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1개
수집 시간: 2025-11-09 05:25:4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경향신문 2025-11-08 15:18:00 oid: 032, aid: 0003407429
기사 본문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의 한 홈플러스 매장 앞에 대주주인 MBK를 규탄하는 현수막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마트산업노조와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가 이달 말 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 본입찰을 앞두고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했다. 공대위는 8일 용산 대통령실 인근 삼각지 파출소 앞에서 ‘제2차 홈플러스 살리기 국민대회’를 열고 홈플러스 인수 성사를 위해 정부가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만일 홈플러스가 폐점·청산의 길로 간다면 총 10만명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며 “공적 기관이 중심이 돼 부실 채권을 정리하고, 지역 경제 회복을 위한 공적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농협이 홈플러스를 인수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홈플러스 사태 해결 정부 개입 촉구 서명운동’으로 받은 30만명의 서명을 대통령실에 전달할 예정이다. 집회에는 경찰 비공식 추산 10...

전체 기사 읽기

비즈워치 2025-11-08 13:00:17 oid: 648, aid: 0000041579
기사 본문

[주간유통]인수 희망자는 중소기업 2곳뿐 자금 조달 능력 의심…매각 무산 위기 추가 인수 희망자 등장 여부 중요해져 그래픽=비즈워치 [주간유통]은 한주간 유통·식음료 업계에서 있었던 주요 이슈들을 쉽고 재미있게 정리해 드리는 콘텐츠입니다. 뉴스 뒤에 숨겨져 있는 또 다른 사건들과 미처 기사로 풀어내지 못했던 다양한 이야기들을 여러분께 들려드릴 예정입니다. [편집자] 드디어 나타났는데 약 일주일 전인 지난 달 31일 오후 3시. 홈플러스 인수의향서(LOI) 접수가 마감됐습니다. 그동안 '무응찰' 우려가 나돌던 터라 관련업계에서는 접수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웠죠. 홈플러스는 지난 3월 회생절차가 개시된 후 6월 법원 허가를 받아 회생 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당시에는 '스토킹 호스' 방식으로 홈플러스 매각을 추진했습니다. 스토킹 호스란 회생기업이 유력 원매자를 찾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한 후 공개입찰을 병행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하지만 홈플러스를 인수하겠다는 ...

전체 기사 읽기

이코노미스트 2025-11-08 17:15:08 oid: 243, aid: 0000087728
기사 본문

홈플러스 청산 시 협력사 포함 10만명 일자리 증발 정부 개입 서명운동 30만 모여...대통령실 전달 계획 홈플러스 서울 지역의 한 매장. 납품 문제 등으로 인해 매대가 부실하다. [사진 이지완 기자] [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는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의 주장이다. 공대위는 마트산업노동조합과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8일 공대위는 서울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제2차 홈플러스 살리기 국민대회'(집회)를 개최했다. 이날 집회에는 경찰 비공식 추산 1000명이 집결했다. 공대위는 현장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요구했다. 이들의 요구는 홈플러스 인수합병(M&A) 성공을 위한 해결 방안을 마련과 농협의 홈플러스 인수 방법도 검토 등이다. 공대위 측은 "홈플러스 청산 시 10만명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며 "공적 기관 중심으로 부실채권을 정리해야 한다...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08 17:36:08 oid: 016, aid: 0002554690
기사 본문

공대위 “폐점 땐 10만명 일자리 사라져” 대통령실에 30만명 서명 전달 예정 제2차 홈플러스 살리기 국민대회 [출처=연합뉴스] [헤럴드경제=노아름 기자] 마트산업노조와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가 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 본입찰을 앞두고 정부의 적극적 대응을 요구했다. 공대위는 8일 용산 대통령실 인근 삼각지 파출소 앞에서 ‘제2차 홈플러스 살리기 국민대회’를 열어 홈플러스 인수 성사를 위해 정부가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농협이 홈플러스를 인수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집회에는 경찰 비공식 추산 1000명이 모였다. 이들은 “만일 홈플러스가 폐점·청산의 길로 간다면 총 10만명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며 “공적 기관이 중심이 돼 부실 채권을 정리하고, 지역 경제 회복을 위한 공적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홈플러스 유동화전단채 피해자와 입점점주협의회 등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