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 3분기 매출 1조 3880억원·영업이익 1094억원

2025년 11월 09일 수집된 기사: 3개 전체 기사: 6개
수집 시간: 2025-11-09 04:17:5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7개

서울경제 2025-11-07 17:16:10 oid: 011, aid: 0004553300
기사 본문

DL㈜ CI. 사진 제공=DL그룹 [서울경제] DL그룹 지주사인 DL㈜은 7일 잠정 실적발표를 통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조 3880억 원, 영업이익 1094억 원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663억원, 영업이익은 374억원 증가했다. 주요 자회사별로 보면 DL케미칼이 스페셜티 제품인 PB(폴리부텐)부문에서 높은 수익성을 기록하며 실적을 방어했다. 의료용 IR(이소프렌) 라텍스를 생산하는 카리플렉스도 2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했다. 크레이튼은 주요 원재료 가격 하락의 부정적 영향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스프레드를 유지하며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DL에너지는 계절적 성수기로 전력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미국 LNG 발전소들의 용량요금 단가 상승이 본격 반영되며 좋은 실적을 기록했다. 글래드는 외국인 관광객 입국 증가 등 호텔 업황 호조가 지속되면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DL㈜ 관계자는 “석유화학 업황 부진과 원재료 가격 하락 등 어려운 경...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1-07 16:40:13 oid: 374, aid: 0000473606
기사 본문

[DL 로고 (DL 제공=연합뉴스)] DL이 석유화학 업황 부진에도 전 분기 대비 수익성을 크게 개선하며 3분기 실적 방어에 나섰습니다. DL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천93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9.9%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오늘(7일)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1조3천880억 원으로 2.4% 줄었으나, 순이익은 250억 원으로 13.1% 증가했습니다.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5%, 영업이익은 51.9% 각각 늘었습니다. 자회사별로는 DL케미칼의 영업이익이 360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4.5% 감소했습니다. 다만 스페셜티 제품인 풀리부텐(PB) 부문의 수익성이 양호해 전 분기 대비로는 7.1% 증가했습니다. 의료용 이소프렌(IR) 라텍스를 생산하는 카리플렉스는 영업이익 115억 원을 기록해 작년보다 31.1% 줄었으나, 견조한 수요를 바탕으로 전 분기 대비 25% 늘었습니다. DL케미칼의 미국 자회사 크레이튼은 원자재 가격 하락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

전체 기사 읽기

조선비즈 2025-11-07 17:45:11 oid: 366, aid: 0001121177
기사 본문

DL CI DL㈜은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09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90% 감소했다고 7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조3880억원으로 2.42%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250억원으로 13.05% 증가했다. 주요 자회사별로는 DL케미칼이 영업이익 36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4.5% 감소했다. 매출액은 1조1978억원으로 2.8% 줄었다. 스페셜티 제품인 PB(폴리부텐) 부문에서 높은 수익성을 기록하며 실적을 방어했다. 의료용 IR(이소프렌) 라텍스를 생산하는 카리플렉스는 영업이익 115억원, 매출액 639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1.1%, 1.4% 감소한 수치다. 크레이튼의 경우 주요 원재료 가격 하락의 부정적 영향에 따라 영업이익이 79.3% 감소한 3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7200억원으로, 1.2% 증가했다. DL에너지는 영업이익 506억원, 매출액 58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0%, 7.4% 감소한 수...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07 16:00:03 oid: 421, aid: 0008591584
기사 본문

전분기 대비 매출 663억원, 영업이익 374억원 증가 "고부가 제품 확대와 운영효율 제고로 수익성 향상" DL 로고.(DL 제공) / 뉴스1 ⓒ News1 (서울=뉴스1) 황보준엽 기자 = DL(000210)이 올해 3분기 호실적을 기록했다. 석유화학 업황 부진 속에서도 고부가 스페셜티(특수화학) 제품과 에너지·호텔 사업의 수익성이 실적을 끌어올렸다. DL은 7일 잠정 실적발표를 통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조 3880억 원, 영업이익 1094억 원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663억 원, 영업이익은 374억 원 증가한 수치다. DL 관계자는 "DL케미칼은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에 힘입어 수익성을 유지했으며, DL에너지와 글래드가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고 말했다. 주요 자회사인 DL케미칼은 고부가 제품인 폴리부텐(PB) 부문에서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며 실적을 방어했다. 의료용 이소프렌(IR) 라텍스를 생산하는 카리플렉스 역시 2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늘었다...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07 16:47:28 oid: 003, aid: 0013587994
기사 본문

전분기 대비 매출 663억원, 영업이익 374억원 증가 [서울=뉴시스] 홍세희 기자 = DL은 7일 잠정 실적발표를 통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조3880억원, 영업이익 1094억원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는 전분기 대비 매출은 663억원, 영업이익은 374억원 증가한 수치다. 주요 자회사별로는 DL케미칼이 스페셜티 제품인 PB(폴리부텐)부문에서 높은 수익성을 기록하며 실적을 방어했다. 의료용 IR(이소프렌) 라텍스를 생산하는 카리플렉스도 2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했다. 크레이튼은 주요 원재료 가격 하락의 부정적 영향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스프레드를 유지하며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DL에너지는 계절적 성수기로 전력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미국 LNG 발전소들의 용량요금 단가 상승이 본격 반영되며 좋은 실적을 기록했다. 글래드는 외국인 관광객 입국 증가 등 호텔 업황 호조가 지속되면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DL 관계자는 "석유화학 업황 부진과 원재...

전체 기사 읽기

머니S 2025-11-07 17:49:34 oid: 417, aid: 0001112003
기사 본문

"주요 자회사 수익 기반 견조" DL이 올 3분기 연결기준 경영실적을 발표, 전년 동기 대비 9.9% 감소한 109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사진은 서울 마곡 DL그룹 본사. /사진 제공=DL DL이앤씨 등을 주력 계열로 둔 DL이 올 3분기 연결기준 경영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전년 동기 대비 9.9% 감소한 109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2.42% 감소한 1조3880억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DL케미칼이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인 PB(폴리부텐)부문에서 높은 수익성을 기록하며 실적을 방어했다. DL에너지와 글래드도 호실적을 견인했다. DL에너지는 계절적 성수기로 전력 수요가 증가하자 미국 LNG 발전소들의 용량요금 단가 상승이 본격 반영됐다. 글래드는 외국인 관광객 입국 증가 등 호텔 업황 호조가 지속되면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DL 관계자는 "석유화학 업황 부진과 원재료 가격 하락 등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주요 자회사들의...

전체 기사 읽기

아이뉴스24 2025-11-07 18:37:07 oid: 031, aid: 0000979079
기사 본문

매출액 1조38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2% 줄어 DL㈜는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09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90% 감소했다고 7일 밝혔다. 매출액은 1조3880억원으로 같은 기간 2.42% 줄었다. 당기순이익은 250억원으로 13.05% 증가했다. [사진=DL] 주요 자회사별로 보면 DL케미칼이 영업이익 36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4.5% 감소했다. 매출액은 1조1978억원으로 2.8% 줄었다. 스페셜티 제품인 폴리부텐(PB) 부문에서 선전한 결과다. 의료용 IR(이소프렌) 라텍스를 생산하는 카리플렉스는 영업이익 115억원, 매출액 63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1.1%, 1.4% 줄었다. DL케미칼의 미국 자회사 크레이튼은 주요 원재료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79.3% 감소한 3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7200억원으로, 1.2% 증가했다. DL에너지는 영업이익이 506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7.0% 감소했다. 계절적 성...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