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에서 헤리티지로… 우지라면 ‘삼양1963’ 먹어보니 “진한 국물·풍미로 차별화”[동아리]
관련 기사 목록 6개
기사 본문
‘동아’닷컴 ‘리’뷰(Review)는 직접 체험한 ‘경험’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제품이나 공간, 문화, 예술 등 우리 주변 모든 고객경험을 다룹니다. 삼양1963. 황소영 기자 fangso@donga.com 삼양식품이 ‘우지(牛脂)’를 다시 꺼냈다. 창업주 고(故) 전중윤 회장 며느리이자 삼양식품그룹 총괄사장인 김정수 대표가 직접 기획한 신제품 ‘삼양1963’은 36년 만에 부활한 삼양의 헤리티지로 볼 수 있다. 삼양은 지난 3일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 인근에서 신제품 발표회를 열었다. 고 전중윤 회장이 1963년 라면 사업을 결심한 장소이면서 이날은 ‘우지파동’이 발생한 지 정확히 36년이 되는 날이기도 했다. 김정수 대표는 “삼양의 뿌리는 진실과 정직이었다”며 “과거 우지파동이 있었지만 사실 우지는 불명예의 상징이 아니라 삼양이 한국식품산업에 도입한 과학적 원료였다”고 강조했다. 깊은 소고기 육수 풍미… “기존 라면과 확실히 다르다” 기존 삼양라면(사진 왼쪽)과 새로 출시된 삼양...
기사 본문
36년 만에 ‘우지 라면’ 부활 초심 통해 미래 의지 전해 10월 3일 서울 중구 보코 서울 명동 호텔에서 열린 신제품 ‘삼양1963’ 출시 발표회에서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신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 삼양식품] [이코노미스트 강예슬 기자] “‘삼양1963’은 단순한 복고 제품이 아닙니다. 삼양식품의 창업 정신을 현대적으로 되살린 상징이며 명예의 복원이자 진심의 귀환입니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지난 11월 3일 서울 중구 보코 서울 명동 호텔에서 열린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삼양 1963은 과거의 복원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초석”이라며 “삼양식품의 정신을 잇는 새로운 출발점이자 선언”이라고 강조했다. 출시 전부터 화제…“우지는 ‘진심’의 재료” 삼양식품은 이날 약 60년 전 출시된 삼양라면의 맛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차세대 라면인 삼양1963을 공개했다. 삼양1963은 삼양식품이 삼양 브랜드를 통해 처음으로 선보이는 프리미엄 미식 라면이다. 과거 삼양라면의 핵심 재료...
기사 본문
기존 삼양라면 이상 매출 목표…내수 공략 후 수출도 고려 한 봉지 약 1500원 ‘프리미엄 라면’…2030·50대 이상 타깃 ‘삼양1963’이 컨베이어를 따라 포장기로 이동 중이다. [사진 삼양식품] [이코노미스트 강예슬 기자] 삼양식품이 ‘우지 파동’ 이후 자취를 감췄던 ‘우지’(牛脂·쇠기름)를 다시 꺼내 들었다. 세계 시장에서의 성공을 통해 얻은 자신감을 바탕으로 내수 시장에서 실추된 명예를 회복하고, ‘불닭볶음면’에 치우친 주력 상품군을 확장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시총 ‘10조 클럽’ 입성에도…내수 점유율은 10%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삼양식품은 연결 기준 매출 5531억원, 영업이익 1201억원을 기록했다. 1년 전보다 매출액은 30.3%, 영업이익은 34.2% 증가한 수준이다. 영업이익은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1000억원을 돌파했다. 상반기 누적 매출은 1조821억원으로 집계됐다. 반기 기준 역대 처음으로 1조원대를 달성했다. 8101...
기사 본문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 신제품 '삼양라면 1963' 공개 우지파동, 동물성 기름 해롭다는 편견서 비롯 '시아버지' 전중윤 명예회장 '평생의 한' 대만식 카스테라, 식용유 둘러싼 오해에 줄도산 발암물질 취급 사카린, 현재 항암물질로 주목 "그야말로 사필귀정(事必歸正·모든 길은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감)이다." 지난 3일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서울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신제품 설명회에서 눈시울을 붉혔다. 이날 삼양식품은 소기름으로 만든 라면 신제품 '삼양라면 1963'을 공개했다. 삼양식품이 소기름으로 튀긴 라면을 내놓은 건 1989년 이후 36년 만이다. 김 부회장은 "한때 금기처럼 여겨졌던 우지(牛脂·소기름)는 삼양라면의 풍미를 완성하는 진심의 재료"라며 "삼양식품 창업주이자 제 시아버님이기도 한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이 평생 품은 한을 조금은 풀어드리지 않았나 싶다"고 말했다. 김정수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식품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우...
기사 본문
우지 강조한 라면 출시에 재조명 받는 1989년 우지파동 검찰 일방적 발표, 즉각 반응하며 공포 부추긴 언론 8년 만에 무죄 판결 받았지만 걷잡을 수 없는 피해 ▲ '삼양1963' 제품 홍보 이미지 갈무리. '우지'(牛脂·소기름)라는 표현이 다시 언론에 등장했다. 삼양식품이 '우지'를 강조한 '삼양1963'을 출시하면서다. 삼양식품 '삼양1963' 라면 신제품 발표회에 김정수 부회장이 직접 무대에 올라 작심 발언을 했다. 그는 "잘못된 정보와 왜곡된 여론 속에서 공업용 우지라는 단어가 우리를 무너뜨렸고, 공장에 불이 꺼지고 수많은 동료가 떠나야 했다"며 이 제품으로 창업주의 한을 풀겠다고 했다. 삼양식품은 유튜브에 <무죄 판결 받은 라면이 돌아옵니다> 광고 영상을 냈다. 당시 삼양식품 직원이 '우지파동' 사태 때를 떠올리며 "지금도 그 생각하면 분하죠. 억울하죠"라고 한다. 투서→검찰 발표→언론 받아쓰기 사건의 발단은 198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양식품 등 몇몇 기업이 식용으로...
기사 본문
삼양1963. ⓒ 데일리안 DB [데일리안 = 데스크] 삼양식품이 ‘삼양1963’이란 새 라면을 출시해 화제다. 신제품 출시 간담회에 이례적으로 그룹의 최고위층인 김정수 부회장이 직접 나섰다. 그 정도로 이 라면의 출시가 삼양에겐 뜻 깊은 사건이라는 뜻이다. 김 부회장은 "잘못된 정보와 왜곡된 여론 속에서 공업용 우지라는 단어가 우리를 무너뜨렸고, 공장에 불이 꺼지고 수많은 동료가 떠나야 했다"며 이번 신제품으로 작고한 창업주의 한을 풀어드리겠다고 했다. 김동찬 삼양식품 대표도 "그 당시 이런 일들이 익명의 투서 한 장에서 시작됐다"며 "지금 와서 돌이켜보면 참 무책임한 일이었고 이 일로 한 기업이 무너질 뻔했다"라고 했다. 삼양1963 영상 광고에 등장하는 삼양 전 직원들은 “(당시) 시중에 깔린 라면들을 수거해야 했다”며 “지금도 그 생각을 하면 분하고 억울하다”고 눈물을 흘렸다. 삼양에게 한 맺힌 그 사건은 1989년에 벌어졌다. 그해 11월 3일 ‘몇몇 기업이 비식용 우지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