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했어?’…1인 평균 5만8천원, 2414억 지급

2025년 10월 1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3개
수집 시간: 2025-10-16 22:05:4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한겨레 2025-10-16 12:02:16 oid: 028, aid: 0002771126
기사 본문

상생페이백 누리집 갈무리 지난달 상생페이백으로 416만명에게 2414억원이 지급된 것으로 집계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9월15일부터 10월14일까지 1012만명이 상생페이백을 신청했으며, 요건(지난해 월평균 카드소비액보다 올해 9월 소비액이 증가)을 갖춘 415만명에게 9월 페이백으로 모두 2414억원이 지급됐다”고 16일 밝혔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약 5만8155원이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살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카드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지원 취지로 추진됐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전국 전통시장, 상점가 등 약 13만개 오프라인 온누리상품권 가맹점과 디지털 온누리 앱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 사용할 수 있다. 중기부는 “2414억원은 백화점·아울렛,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의 카드소비액을 제외한 전년 대비 카드소비...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0-16 21:01:01 oid: 032, aid: 0003402568
기사 본문

수도권과 30대가 가장 많이 신청 정부 “1조2070억 소비진작 효과”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9월분을 415만명에게 총 2414억원, 1인당 약 5만8100원 지급했다고 16일 밝혔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11월 월별 카드 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사업이다. 지난달 15일부터 접수를 시작해 이달 14일까지 1058만명이 신청했다. 지역별로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70만명으로 54%를 차지했다.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등 순으로 신청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이 40대(24.8%), 50대(19.6%) 등이었다. 지난 9일까지 상생페이백 신청을 완료한 국민 중 지난해 월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지난달 소비액이 증가해 지급 대상이 된 국민은 전체 신청자의 41% 수준인 415만명으로 ...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0-16 12:00:23 oid: 374, aid: 0000468787
기사 본문

415만명에 2414억 환급 '1인당 평균 5만8000원' 지난해 보다 카드를 더쓰면 증가분의 일부를 돌려주는 상생페이백 제도에 접수한달 동안 총 1천 57만 9937명이 신청하고, 9월 페이백 지급 대상자 415만명에게 1인당 평균 5만 8천원이 환급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접수 한 달간 총 1천 58만명이 신청하고, 9월 페이백으로 총 2천 414억원을 지급했다고 오늘(16일)밝혔습니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작년 월 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입니다. 접수 한 달(9.15~10.14) 동안 약 1천 58만명 신청했는데,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4%(570만),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순으로 신청이 많았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 40대 24.8%, 5...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0-16 18:12:26 oid: 028, aid: 0002771269
기사 본문

추석연휴를 앞둔 2일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추석 제사용품 구매에 드는 비용이 4인 기준 평균 32만2천752원으로 추석 3주 전 조사 때보다 2.3% 줄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지난달 상생페이백으로 416만명이 2414억원을 지급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석달에 나눠 지급할 실제 사업비(1조3200억원) 중 첫달 환급에 약 5분의1만 쓰이면서 남은 기간 배정된 예산이 모두 활용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6일 “상생페이백 신청자 1012만명 가운데 415만명에게 2414억원을 환급했다”고 밝혔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약 5만8000원이다. 올해 1차 추가경정예산에 소비 진작 목적으로 편성(1조3700억원)돼 시행된 상생페이백은 만 19살 이상 국민이 올해 9~11월 카드 소비액을 지난해 월평균보다 늘린 경우,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까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주는 사업이다. 석달 연속 요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