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미뤄진 홈플러스 회생안 마감…“이번에 해결 못하면 청산해야”

2025년 11월 0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8개
수집 시간: 2025-11-08 15:27:5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매일경제 2025-11-08 06:44:12 oid: 009, aid: 0005586674
기사 본문

홈플러스, 인수자 못찾아 회생안 마감 시한 또 연장 매각 늦춰지자 시선도 냉담 인수자 안나타날것 회의론도 청산땐 10만명 일자리 잃어 지역 경제 타격에도 불가피 서울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 [연합뉴스] 기업 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회생계획안 제출 시한을 또다시 미뤘다. 벌써 다섯 번째 연장으로, 인수자 확보에 난항을 겪는 모습이다. 유통업계에선 “이번에도 계획안 마련이 지연되면 청산이나 부분 매각을 통해 정리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인수자 찾기 난항…다섯 번째 시한 연장 8일 유통업계 및 법조계에 따르면 법원이 지난 6일 홈플러스의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오는 10일에서 내달 29일로 연장하기로 했다. 지난 6월 3일이었던 홈플러스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이 이번을 포함해 모두 다섯 차례 연장된 것이다. 홈플러스가 계속해서 회생계획안 마감 시한을 미루는 이유는 적절한 인수자를 찾지 못하고 있어서다. 인수 의사를 밝힌 기업이 많지 않은 데다, 최근 공개 매각 절차에서 매...

전체 기사 읽기

비즈워치 2025-11-08 13:00:17 oid: 648, aid: 0000041579
기사 본문

[주간유통]인수 희망자는 중소기업 2곳뿐 자금 조달 능력 의심…매각 무산 위기 추가 인수 희망자 등장 여부 중요해져 그래픽=비즈워치 [주간유통]은 한주간 유통·식음료 업계에서 있었던 주요 이슈들을 쉽고 재미있게 정리해 드리는 콘텐츠입니다. 뉴스 뒤에 숨겨져 있는 또 다른 사건들과 미처 기사로 풀어내지 못했던 다양한 이야기들을 여러분께 들려드릴 예정입니다. [편집자] 드디어 나타났는데 약 일주일 전인 지난 달 31일 오후 3시. 홈플러스 인수의향서(LOI) 접수가 마감됐습니다. 그동안 '무응찰' 우려가 나돌던 터라 관련업계에서는 접수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웠죠. 홈플러스는 지난 3월 회생절차가 개시된 후 6월 법원 허가를 받아 회생 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당시에는 '스토킹 호스' 방식으로 홈플러스 매각을 추진했습니다. 스토킹 호스란 회생기업이 유력 원매자를 찾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한 후 공개입찰을 병행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하지만 홈플러스를 인수하겠다는 ...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1-08 15:18:00 oid: 032, aid: 0003407429
기사 본문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의 한 홈플러스 매장 앞에 대주주인 MBK를 규탄하는 현수막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마트산업노조와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가 이달 말 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 본입찰을 앞두고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했다. 공대위는 8일 용산 대통령실 인근 삼각지 파출소 앞에서 ‘제2차 홈플러스 살리기 국민대회’를 열고 홈플러스 인수 성사를 위해 정부가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만일 홈플러스가 폐점·청산의 길로 간다면 총 10만명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며 “공적 기관이 중심이 돼 부실 채권을 정리하고, 지역 경제 회복을 위한 공적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농협이 홈플러스를 인수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홈플러스 사태 해결 정부 개입 촉구 서명운동’으로 받은 30만명의 서명을 대통령실에 전달할 예정이다. 집회에는 경찰 비공식 추산 10...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8 14:26:41 oid: 001, aid: 0015731133
기사 본문

제2차 홈플러스 살리기 국민대회 [촬영 양수연 수습기자] (서울=연합뉴스) 정윤주 기자 = 마트산업노조와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가 이달 말 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 본입찰을 앞두고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했다. 공대위는 8일 용산 대통령실 인근 삼각지 파출소 앞에서 '제2차 홈플러스 살리기 국민대회'를 열어 홈플러스 인수 성사를 위해 정부가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농협이 홈플러스를 인수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집회에는 경찰 비공식 추산 1천명이 모였다. 이들은 "만일 홈플러스가 폐점·청산의 길로 간다면 총 10만명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며 "공적 기관이 중심이 돼 부실 채권을 정리하고, 지역 경제 회복을 위한 공적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홈플러스 사태 해결 정부 개입 촉구 서명운동'으로 받은 30만명의 서명을 대통령실에 전달할 계획이다. 최철한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사무국장은 "대통령실이 오후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