젬백스 GV1001, 알츠하이머 임상2상 결과 앞두고 확인된 결정적 두 단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이 기사는 2025년11월03일 09시10분에 팜이데일리 프리미엄 콘텐츠 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젬백스앤카엘의 GV1001 알츠하이머 치료제에 대한 글로벌 임상 2상 결과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GV1001은 과거 알츠하이머 국내 임상 2상을 성공한 바 있고, 최근 연구에서 치매 원인이 되는 병리지표 개선이 확인됐다. GV1001은 세포 수명과 관련한 텔로머라제의 16개 아미노산으로 만들어진 펩타이드 기반 치료제다. 이미지는 GV1001의 기원을 형상화한 이미지다. (갈무리=김지완 기자) 31일 젬백스(082270)에 따르면, 회사는 치료제 후보물질 GV1001(펩타이드 기반)의 글로벌 임상 2상(CSR) 결과를 다음 달 초 발표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임상은 미국·유럽 7개국 43개 기관에서 경증 및 중등증 알츠하이머 환자 총 199명을 대상으로 약 50주 동안 진행됐다. 용량군은 0.56㎎ 및 1.12㎎, 위약군 등 3개다....
기사 본문
젬백스앤카엘(젬백스)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GV1001의 글로벌 2상 임상시험에 대한 최종 결과 보고서(CSR)를 수령했다고 7일 밝혔다. 젬백스는 이번 임상시험에서 기존 치료제 대비 우수한 안전성을 확인하면서 국내외 전문가들과 글로벌 3상을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임상은 미국과 유럽 7개국 43개 기관에서 초기(mild)부터 중기(moderate)의 알츠하이머병 환자 199명을 대상으로 GV1001 0.56mg 또는 1.12mg을 피하 주사하여 52주 동안 위약 대비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했다. 이번 임상시험의 1차 평가지표 중 하나인 안전성에서 GV1001은 모든 용량의 투약군에서 위약군 대비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했다. GV1001은 알츠하이머병 항체 치료제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부작용인 '아밀로이드 관련 영상 이상'(ARIA)이 한 건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상 반응 (AE), 중대한 이상 반응 (SAE) 등 다양한 안전성 지표를 통해 임상 표준에 부합하는 안전성 프로파일...
기사 본문
이 기사는 2025년10월31일 07시40분에 팜이데일리 프리미엄 콘텐츠 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비현실적이라 여겼던 목표에 점차 빛이 보인다”. 이지영 서울시 보라매병원 신경과 교수(희귀질환센터장)는 최근 열린 학술세션에서 젬백스(082270) GV1001 임상시험 결과를 공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지영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신경과 교수(희귀질환센터장)가 지난 2일 분당서울대병원 헬스케어이노베이션파크 ‘GV1001 중개·임상연구 학술토론회’에서 ‘최근 PSP 치료제 개발 및 GV1001 임상시험의 진전’ 주제로 강연하는 모습. (사진=삼성제약) 이날 퇴행성 뇌질환 중에서도 가장 난치성으로 꼽히는 ‘진행성 핵상마비’(PSP·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치료에서 새로운 가능성이 제시됐다. 이 교수는 “PSP는 1963년에 처음 기술된 이후 진단조차 어려운 질환으로 남아 있다”며 “국내에서도 신경과 의사들조차 환자를 직접 본 경험이 ...
기사 본문
알츠하이머 치료제 2상 결과 보고서 수령 [서울=뉴시스] 젬백스앤카엘 로고.(사진=젬백스앤카엘 제공) 2025.11.0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연주 기자 = 젬백스앤카엘은 알츠하이머병 치료 물질 ‘GV1001’의 글로벌 2상 임상시험에 대한 최종 결과 보고서(CSR)를 수령했다고 7일 밝혔다. 수령 결과, 신약 GV1001의 안전성은 검증됐으나 유효성 1차 지표 평가에선 위약(가짜 약) 대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못 냈다고 했다. 이번 임상은 미국과 유럽 7개국 43개 기관에서 초기~중기 알츠하이머병 환자 199명을 대상으로 GV1001 0.56㎎ 또는 1.12㎎을 피하주사해 52주 동안 위약 대비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했다. 임상의 1차 평가지표 중 하나인 안전성에서 GV1001은 모든 용량의 투약군에서 위약군 대비 안전성과 내약성이 나타났다. 알츠하이머병 항체 치료제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부작용인 ‘아밀로이드 관련 영상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