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기능이 온·습도 조절?"‥AI 과장광고 의심 사례 20건 적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것처럼 제품 성능을 부풀려 광고하는 이른바 '인공지능 워싱' 의심 사례가 20건 적발됐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이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국내 온라인몰에서 파는 가전과 전자제품을 조사했더니, 20개 중 19개가 인공지능으로 보기 어려운 단순 감지 기술을 쓰고 제품명에 '인공지능'이라는 단어를 넣거나, 실제보다 기능을 부풀려 광고하고 있었습니다. 냉풍기가 온도를 감지해 풍량을 자동 조절하는 기능이나, 제습기가 자동으로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인공지능 기능'으로 표현한 사례 등이 19건 조사됐습니다. 인공지능이 세탁물 옷감 재질을 판단해 최적화된 세탁방식을 골라주는 '인공지능 세탁모드' 세탁기도 작동 조건이나 한계를 제대로 표시하지 않았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 3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67% 넘는 응답자가 '인공지능 제품'을 살 때, 실제로 인공지능이 적용됐는지 구분하기 어렵다는 점을 우려했습니다. 또 응답자의 57.9%는 인공지능 ...
기사 본문
경향신문 경제부 기자들이 쓰는 [경제뭔데] 코너입니다. 한 주간 일어난 경제 관련 뉴스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서 전해드립니다. 센서 기반 제습 기능을 AI 기능으로 과장한 ‘AI 워싱’ 사례. 공정위 제공 요즘 인공지능(AI)이 생활 속 깊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생성형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AI 챗봇이나 AI 검색 서비스는 이미 우리 일상 곳곳에서 쓰이고 있죠. 이제는 가전제품 속에서도 AI 기능을 찾는 게 자연스러워졌습니다. 냉장고, 세탁기, TV 같은 전자제품들이 점차 ‘스마트한 도우미’로 변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관심도 뜨겁습니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이 함께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소비자 3000명 중 절반 이상(57.9%)이 “AI 기능이 들어간 제품이라면 일반 제품보다 비싸도 사고 싶다”라고 답했습니다. 이들이 감수할 수 있는 추가 비용은 평균 20.9%였습니다. 그만큼 AI가 주는 편리함과 기대감이 크다는 의미죠. 하지만 모든 AI 제품이 진짜 ‘...
기사 본문
공정위, 내년 부당광고 가이드라인 제정 냉풍기·제습기·세탁기에서 AI 기능 과장···표시 문구 수정 “AI 기능 구분 어렵다” 응답 67%···소비자 혼란 현실화 센서 기반 자동 풍량 조절 기능을 AI기능으로 표현했다. 사진 제공=공정위. [서울경제] 인공지능(AI) 기능이 없는 제품을 AI가 탑재된 것처럼 홍보해 소비자를 오도한 이른바 ‘AI워싱 광고가 정부 조사에서 처음으로 적발됐다. 정부는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에 인공지능 관련 부당 광고 가이드라인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주요 온라인몰을 중심으로 가전·전자제품을 점검한 결과, AI워싱이 의심되는 광고 20건을 확인하고 관련 사업자들이 자진 시정하도록 조치했다고 7일 밝혔다. 공정위 조사 결과 단순 센서 기술이나 자동 제어 기능을 마치 고도화된 인공지능 기술인 것처럼 포장한 사례가 다수 발견됐다. 대표적으로 냉풍기의 온도 센서 기반 자동 풍량 조절 기능을 AI 냉방 또는 AI기능으로 광고한 제품이...
기사 본문
공정위, AI워싱 모니터링·소비자 인식조사 결과 내년 ‘부당 표시·광고 가이드라인’ 마련 추진 공정거래위원회.ⓒ연합뉴스 [데일리안 = 김지현 기자] 냉풍기 온도 센서 기반 자동 풍량 조절 기능을 인공지능(AI) 기능으로 표현하는 ‘AI워싱’ 의심사례가 다수 적발됐다.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7일 AI워싱 행위에 대한 의심사례 모니터링 및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최근 AI기술 혁신에 따라 생성형 AI를 활용한 AI 챗봇 및 AI 검색 서비스 활용이 일상화되고 가전·전자제품을 중심으로 AI기능이 일부 탑재되는 등 AI제품·서비스가 지속 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편익이 증진되고 기업의 생산성도 향상되는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만 AI기술이 적용되지 않았거나 적용 수준이 미미함에도 AI기능을 실제보다 과장해 표시·광고, 소비자를 오인시키는 소위 AI워싱과 같은 기만적인 행위도 함께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AI워싱 행위는 실제보다 제품의 성능을 과장해 소비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