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 3분기 영업이익 1094억… 전년 동기 대비 9.9% 감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주요 자회사 수익 기반 견조" DL이 올 3분기 연결기준 경영실적을 발표, 전년 동기 대비 9.9% 감소한 109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사진은 서울 마곡 DL그룹 본사. /사진 제공=DL DL이앤씨 등을 주력 계열로 둔 DL이 올 3분기 연결기준 경영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전년 동기 대비 9.9% 감소한 109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2.42% 감소한 1조3880억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DL케미칼이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인 PB(폴리부텐)부문에서 높은 수익성을 기록하며 실적을 방어했다. DL에너지와 글래드도 호실적을 견인했다. DL에너지는 계절적 성수기로 전력 수요가 증가하자 미국 LNG 발전소들의 용량요금 단가 상승이 본격 반영됐다. 글래드는 외국인 관광객 입국 증가 등 호텔 업황 호조가 지속되면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DL 관계자는 "석유화학 업황 부진과 원재료 가격 하락 등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주요 자회사들의...
기사 본문
건설사 별 희비 교차…삼성물산 영업익 반토막 현대건설, 해외사업 리스크…대우건설 착공 현장 감소 GS건설, 어닝서프라이즈…영업익 81% 급등 ⓒ뉴시스 [데일리안 = 임정희 기자] 대형 건설사들의 3분기 경영실적이 속속 발표되고 있는 가운데 각 사별로 수익성에 따른 희비가 교차하는 모습이다. 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3분기 각 사별 경영실적을 집계한 결과 삼성·현대·대우건설 등의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GS건설과 DL이앤씨, HDC현대산업개발 등은 영업이익 규모가 껑충 뛰면서 실적 개선세를 보였다. 삼성·대우, 사업장 감소…현대, 해외 프로젝트 리스크 영업이익이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곳은 삼성물산이다. 삼성물산의 영업이익은 1년 전 대비 52.9% 감소한 1110억원에 머물렀다. 매출도 1년 새 31.0% 감소한 3조900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 감소 원인으로는 삼성전자가 발주한 국내외 하이테크 프로젝트 주요 공정이 마무리된 점이 꼽힌다. 건축부문 매출이 1년 전...
기사 본문
삼성·현대·대우 울고 DL·GS·HDC 웃었다 원가율 안정과 고수익 중심의 수주 전략에 따라 올 3분기 주요 상장 건설업체들의 실적 희비가 교차했다. /그래픽=강지호 디자인 기자 지난 6일 DL이앤씨를 끝으로 올 3분기 시공능력 상위 상장 건설업체들의 경영실적 발표가 마무리됐다. 원가율 안정과 고수익 중심의 수주 전략에 따라 업체 간 실적 희비가 엇갈렸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 3분기 국내 시공능력 1~3위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현대건설, 대우건설은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하락했다. DL이앤씨, GS건설, HDC현대산업개발은 매출 감소에도 영업이익 부문에서 큰 폭 성장을 이뤘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52.9% 급감한 111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3조900억원으로 31.0% 감소했다. 회사 측은 실적 하락의 이유에 대해 하이테크 공사가 대거 종료된 영향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 등 계열사의 반도체·디스플레이 플랜트 공정이 ...
기사 본문
/사진 제공=DL이앤씨 DL이앤씨가 3분기 기업설명회(IR)에서 올해 수주 가이던스를 대폭 하향했다. 사업 부문 중 플랜트와 토목의 신규 수주가 부진해 낙폭이 컸다. 이에 올해 수익성 중심 경영이 성과를 보였으나 이를 상쇄한 수주 실적이 아쉽다는 평가가 나온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DL이앤씨의 올 3분기 연결기준 실적은 매출 1조9070억원, 영업이익 1168억원, 수주 3조167억원이었다.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40.1% 증가해 영업이익률은 6.12%를 기록하는 등 수익성 중심 경영이 성과를 냈다.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3239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2709억원)을 웃돈다. /자료=DL이앤씨 IR 다만 올해 신규 수주가 부진해 가이던스가 하향됐다. 조정된 수주 가이던스는 9조7000억원으로 당초 목표였던 13조2000억원에서 26.52% 줄어들었다. 이 중 플랜트는 2조9000억원에서 4000억원으로 급감했으며 토목은 2조4000억원에서 1조4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