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농식품·농산업 수출 112억 4천만 달러…역대 최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올해 10월까지 농식품과 농산업을 합친 '케이-푸드 플러스' 수출이 역대 최대로 나타났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10월 기준 케이-푸드 플러스 수출액이 지난해보다 5.7% 증가한 112억 4천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오늘(7일) 밝혔습니다. 농식품 수출액은 85억 9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5% 늘었습니다. 지역별로 중동 20.4%, 유럽연합 14.8%, 북미 13.9% 순으로 증가했습니다. 7~10월 동안에는 미국 시장의 성장세가 주춤한 사이, 중동(23.5%)과 중국·홍콩 등 중화권(7.7%)에서 수출이 크게 늘었습니다. 품목별로는 라면(21.7%), 조제품 기타(13.6%), 커피조제품(21.3%), 김치(6.4%), 포도(50.9%), 아이스크림(22.1%) 등의 수출이 증가했습니다. 라면은 매운 볶음면의 인기를 바탕으로 중국(54.4%), CIS(43.8%), 일본(24%), 미국(21.3%) 등에서 수출이 크게 늘었습니다. 조제품 기타는 이너뷰티 제품 등 건강기능식품의 수요...
기사 본문
중동·EU 두자릿수 성장, 대만 포도 192% 급등 농산업 수출도 7.8%↑…동물약·비료 중심 상승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10월까지 K-푸드 플러스(K-푸드+)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한 112억4000만달러(잠정)를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챗GPT [데일리안 = 김소희 기자] 미국 시장의 성장세가 주춤한 사이, 중동과 중화권을 중심으로 K-푸드 수출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10월까지 K-푸드 플러스(K-푸드+)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한 112억4000만달러(잠정)를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농식품 수출은 85억9000만달러로 5.0% 늘었고, 농산업 수출은 26억4000만달러로 7.8%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중동(GCC) 수출이 20.4% 증가하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유럽연합(EU)과 영국은 14.8%, 북미는 13.9% 증가했다. 중동은 올해 들어 아이스크림(80.7%), 음료(80.3%), 소스류(33.9%) 중...
기사 본문
중동 수출 23%↑…농약·비료·종자 농산업 수출 7.8%↑ 라면·김치·아이스크림…K-푸드 삼총사, 수출 효자 등극 [세종=뉴시스] 2025 상하이 국제식품박람회 통합한국관 전경. (사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임소현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K-푸드+' 지난달 말 기준 올해 누적 수출액(잠정)이 지난해보다 5.7% 증가한 112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중동과 유럽, 북미를 중심으로 수출이 고르게 늘었으며 라면·커피조제품·아이스크림 등 한류 식품이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농식품부에 따르면 농식품(K-푸드)은 85억9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했으며 수출 증가율이 높은 권역은 중동(GCC, 20.4%), 유럽연합(EU+영국, 14.8%), 북미(13.9%) 순이었다. 7~10월 동안에는 미국 시장의 수출 성장세가 주춤(0.6%)하는 사이, 중동(23.5%)과 중화권(중국·홍콩·대만, 7.7%...
기사 본문
미국 뉴저지주 저지시티의 한 대형마트 진열장에 전시된 불닭 볶음면 모습. 강대묵 기자 그야말로 'K-푸드' 전성시대다. 올해 10월 기준 'K-푸드+' 수출 실적은 112억 4000만 불. 한화 가치로 16조 2743억 원에 달한다. 이제 한국의 맛은 단순한 '음식'이 아닌 '문화 수출품' 반열에 올라 국가의 자존심이 됐다. 한류 열풍과 SNS 영향력이 K-푸드 확산의 '기폭제'가 됐지만, 그 이면엔 대한민국 농축산품의 경쟁력을 끌어올린 '농림축산식품부'의 영향력이 컸다. 불닭 볶음면의 화끈함과 김치의 감칠맛에 매료된 세계인들이, 이제는 K-농약·비료·종자까지 손길을 내밀고 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전 세계적으로 K-푸드에 대한 관심과 위상이 높아지고 있으며, K-푸드는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 문화와 기술이 결합된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농식품부는 2025년 10월 기준 K-푸드+ 수출액이 지난해 대비 5.7% 증가한 112억 4000만 불을 기록했다고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