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 배송 없애면 연간 54조 손실…소상공인도 타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한국로지스틱스학회 보고서 발표 "새벽배송, 뚜렷한 고용창출 효과" 새벽 배송 및 주 7일 배송 서비스가 중단될 경우 이커머스·택배업계 등이 연간 약 54조원의 손실을 떠안게 된다는 예측이 나왔다. 7일 국내 물류산업 학회 '한국로지스틱스학회'는 '새벽 배송과 주 7일 배송의 파급효과 관련 연구' 보고서를 통해 "새벽 배송과 주 7일 배송이 중단돼 택배 주문량의 약 40%가 감소하면 연간 54조3000억원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는 쿠팡 등 이커머스 업체가 매출 33조2000억원 규모 타격을 입고, 소상공인 매출도 18조3000억원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다. 택배업계도 2조8000억원대 손실을 볼 것으로 예상됐다. 택배차량 이미지. 사진은 기사 중 특정 표현과 관련 없음. 연합뉴스 학회 보고서는 국내 새벽 배송, 주 7일 배송이 전체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도 분석했다. 해당 서비스의 최종 수요는 1조5400억원이었으며, 생산 유발액은 2조7200억원이다. 부가가치유발...
기사 본문
2024년 생활물류 종사자 실태조사 시간 제한보다 ‘주 5일제’ 선호도 더 높아 야간배송하는 이유 ‘소득 높아서’가 46% 국토부, 지난달 1차 회의에서 내용 공유 택배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정부 조사에서 10명 중 4명은 야간작업 여건 개선 조치가 필요 없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를 주관한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결과를 지난달 22일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회의에서 공유했다. 8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한국교통연구원이 시행한 2024년 생활물류 종사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야간작업을 수행하는 택배 종사자의 40.3%는 야간작업 개선 조치로 ‘필요 없음’을 택했다. 그 외에 필요 조치는 ‘주 5일 근무제 도입’(35.8%), ‘작업시간 제한’(13.4%), ‘금액 보상’(8.2%) 등으로 집계됐다. ‘새벽배송 금지’에 해당하는 시간 규제가 주 5일제 수요보다 적었던 셈이다. 조사는 택배 기사 87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9월부터 4개월간 진행됐다. 야간작업을 하는 택배 종사자 중...
기사 본문
<앵커> 지난 22일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회의에서 '택배기사 과로 개선 방안'으로 새벽 배송을 제한하자고 했는데요. 여러 곳에서 이에 반박하고, 정치권 논쟁까지 이어졌습니다. 새벽 배송 금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기자> 작년 5월 쿠팡 택배기사 고 정슬기 씨가 과로사의 대표적 원인인 뇌심혈관계 질환으로 숨졌고, 올해 8월 배송 중 몸에 이상을 느낀 택배기사가 응급실 대기 중 사망한 것도 뇌졸중과 심근경색이 사인으로 추정됐고, 하루 12시간, 7일 연속 근무가 잦았다는 증언이 있었습니다. 이런 사건들이 반복되자 '새벽 배송 제한으로 택배기사들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보장하고자 한다'는 게 택배노조의 입장인데요. 하지만 소비자단체, 이커머스업계 등 여러 곳에서 반발했고 특히 현장에서 일하는 일부 비노조 택배기사와 쿠팡 노동조합에서는 현실을 모르는 주장이라며 반박했죠. [정진영/쿠팡 노동조합 위원장 : 현장에 일하고 있는 한 명의 노동자로서의 입장을 좀 말씀드리...
기사 본문
━ ‘새벽배송’을 바라보는 다섯 가지 시선 고(Go)? 스톱(Stop)? ‘새벽배송’ 논쟁이 수일째 사회를 달구고 있다. 지난달 22일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는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에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전국택배노조가 “오전 0~5시 택배 배송을 제한하자”고 제안하면서다. 진보단체·노조 측은 과로사 등을 거론하며 중단을 주장하는 반면, 택배기사·소비자 쪽은 “과도한 간섭”이라며 맞서고 있다. 한 물류산업 학회에선 새벽배송과 주7일 배송 서비스가 금지되면 54조원의 경제적 손실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새벽배송을 바라보는 다섯 가지 시선을 소개한다. ━ 손솔 (진보당 국회의원) Q : 새벽배송 금지돼야 하나. A : “사회적으로 꼭 필요한지, 근로자에게 고통을 주면서까지 유지돼야 하는 서비스인지 논의가 필요하다. 필수노동·필수서비스라면 안전하게 근로할 방법을 찾아야 하고 그게 아니면 줄여가야 한다. 2019년엔가 이틀에 한 번꼴로 새벽배송 기사의 과로사 소식이 들렸던 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