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신약개발 모델개발"…한미약품, 국책사업기관 선정

2025년 11월 0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9개
수집 시간: 2025-11-08 04:46:3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뉴시스 2025-11-07 16:53:01 oid: 003, aid: 0013588012
기사 본문

역이행 연구 설계 AI 소프트웨어 개발 AI SW 조기도입…예측력·임상 성공률↑ [서울=뉴시스] 한미약품 R&D센터 (사진=한미약품 제공) 2025.11.0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승주 기자 = 한미약품이 정부 주도로 추진되는 국내 인공지능(AI) 전주기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을 위한 국책사업의 핵심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 한미약품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K-AI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 신규 과제에 참여하는 공동 연구기관으로 지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멀티모달 데이터셋 구축을 목표로, 전임상과 임상 데이터를 통합해 분석할 수 있는 '역이행 연구 설계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역이행 연구는 임상 시험에서 확보한 데이터를 전임상 단계로 환류시켜 신약개발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접근을 말한다. 과제 수행은 국내 병원과 제약기업, 학계 등이 협력하는 다기...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1-06 19:08:17 oid: 020, aid: 0003672632
기사 본문

美 FDA, 한미 HM17321 임상 1상 IND 승인 체중 감량·근육 증가 동시 실현… “운동·대사 기능도 개선” 기존 GLP-1 치료제와 근본 설계부터 차별화 병용요법 가능해 양적·질적 비만 치료 기대 한미약품 HM17321은 CRF2 수용체(On-Target)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해 근육 증가와 지방 감소를 동시에 유도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근육 증대와 대사·기능 개선, 양질의 체중 감량, 심혈관 개선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미약품이 세계 최초로 체중을 감량하면서 근육을 증가시키는 ‘꿈의 비만약’ 미국 임상을 본격화한다. 체중 감량 수치에 방점을 둔 기존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기반 약물들은 근 손실이 불가피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한미약품이 이를 극복한 신개념 비만 혁신 신약 개발에 한 발짝 다가선 것이다. 한미약품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비만치료제 ‘HM17321(LA-UCN2)’ 임상 1상 진입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1-07 16:10:53 oid: 277, aid: 0005676336
기사 본문

'역이행 연구 설계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개발·구축 한미약품이 정부 주도로 추진되는 국내 인공지능(AI) 전주기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을 위한 국책사업의 핵심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 한미약품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K-AI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 신규 과제에 참여하는 공동 연구기관으로 지정됐다고 7일 밝혔다. 경기도 화성시 한미약품 R&D센터 전경. 한미약품 이번 과제는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멀티모달 데이터셋 구축을 목표로, 전임상과 임상 데이터를 통합해 분석할 수 있는 '역이행 연구 설계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역이행 연구는 임상 시험에서 확보한 데이터를 전임상 단계로 환류시켜 신약개발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접근을 말한다. 과제 수행은 국내 병원과 제약기업, 학계 등이 협력하는 다기관 공동연구 형태로 운영되며, 한미약품은 삼성서울병원이 주관하는 '역이행 연구 설계 AI SW 개발' 분야의 공동 기관으로 참여한다. 이 컨소시...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1-07 16:23:13 oid: 119, aid: 0003022472
기사 본문

역이행 연구 설계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개발 AI 기반 전임상 모델 예측력 높여 성공률 향상 한미약품 R&D 센터 전경 ⓒ한미약품 [데일리안 = 이소영 기자] 한미약품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K-AI 신약 개발 전임상·임상 모델 개발 사업’ 신규 과제에 참여하는 공동 연구기관으로 지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신약 개발 전임상·임상 멀티모달 데이터셋 구축을 목표로, 전임상과 임상 데이터를 통합해 분석할 수 있는 ‘역이행 연구 설계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역이행 연구는 임상 시험에서 확보한 데이터를 전임상 단계로 환류시켜 신약개발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접근을 말한다. 과제 수행은 국내 병원과 제약 기업, 학계 등이 협력하는 다기관 공동연구 형태로 운영된다. 한미약품은 삼성서울병원이 주관하는 ‘역이행 연구 설계 AI SW 개발’ 분야의 공동 기관으로 참여한다. 해당 컨소시엄에는 삼성서울병원과 강북삼성병원을 비롯해 한미약품 등 대형 제약...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