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만 국민 상생페이백으로 평균 5.8만원 돌려 받았다
관련 기사 목록 12개
기사 본문
신청 1058만명 중 41% 혜택 중소벤처기업부의 상생페이백 사업.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상생페이백으로 국민 415만명이 1인 평균 5만8155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접수 한 달간 총 1058만명이 신청했으며, 9월 페이백으로 총 2414억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작년 월 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지난 9월 15일부터 접수를 시작한 상생페이백 신청 인원은 이달 14일 기준 1058만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신청 비중이 54%(570만)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순으로 신청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 40대 24.8%, 50대 19.6%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9일까지 신청을 완료한 국민 중...
기사 본문
추석연휴를 앞둔 2일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추석 제사용품 구매에 드는 비용이 4인 기준 평균 32만2천752원으로 추석 3주 전 조사 때보다 2.3% 줄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지난달 상생페이백으로 416만명이 2414억원을 지급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석달에 나눠 지급할 실제 사업비(1조3200억원) 중 첫달 환급에 약 5분의1만 쓰이면서 남은 기간 배정된 예산이 모두 활용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6일 “상생페이백 신청자 1012만명 가운데 415만명에게 2414억원을 환급했다”고 밝혔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약 5만8000원이다. 올해 1차 추가경정예산에 소비 진작 목적으로 편성(1조3700억원)돼 시행된 상생페이백은 만 19살 이상 국민이 올해 9~11월 카드 소비액을 지난해 월평균보다 늘린 경우,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까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주는 사업이다. 석달 연속 요건...
기사 본문
415만명에 2414억 환급 '1인당 평균 5만8000원' 지난해 보다 카드를 더쓰면 증가분의 일부를 돌려주는 상생페이백 제도에 접수한달 동안 총 1천 57만 9937명이 신청하고, 9월 페이백 지급 대상자 415만명에게 1인당 평균 5만 8천원이 환급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접수 한 달간 총 1천 58만명이 신청하고, 9월 페이백으로 총 2천 414억원을 지급했다고 오늘(16일)밝혔습니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작년 월 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입니다. 접수 한 달(9.15~10.14) 동안 약 1천 58만명 신청했는데,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4%(570만),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순으로 신청이 많았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 40대 24.8%, 5...
기사 본문
6만4027원이 지급된 상생패이백 화면 [독자 제공]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 “별생각 없었는데, 용돈 받은 기분” 직장인 A씨는 16일 상생패이백 메시지를 받곤 깜짝 놀랐다. 그는 “우연히 접한 정책이었고 돈도 안 드니까 한번 해보자는 마음에 가입했었다”며 “잊고 있었는데, 6만4027원이 지급됐다니 생각보다 많아 기분 좋다”고 전했다. A씨만 받은 게 아니다. 무려 415만명이나 받았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5만8155원. 안 받으면 손해다. [상생패이백 홈페이지 캡쳐]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상생패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작년 월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지난 9월 15일부터 접수를 시작했고, 접수 한 달 동안 약 1058만명이 신청했다. 그리고 9월 소비액을 바탕으로 이날 패이백이 지급됐다. 총 2414억원 규모다. 신청자는 수도권(서울·...
기사 본문
수도권과 30대가 가장 많이 신청 정부 “1조2070억 소비진작 효과”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9월분을 415만명에게 총 2414억원, 1인당 약 5만8100원 지급했다고 16일 밝혔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11월 월별 카드 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사업이다. 지난달 15일부터 접수를 시작해 이달 14일까지 1058만명이 신청했다. 지역별로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70만명으로 54%를 차지했다.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등 순으로 신청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이 40대(24.8%), 50대(19.6%) 등이었다. 지난 9일까지 상생페이백 신청을 완료한 국민 중 지난해 월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지난달 소비액이 증가해 지급 대상이 된 국민은 전체 신청자의 41% 수준인 415만명으로 ...
기사 본문
- 접수 한 달 동안 총 1057만 9937명 신청…9월 페이백 지급 대상자 415만명, 1인당 평균 5.8만원 환급 [헤럴드경제= 이권형기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 이하 중기부)는 상생페이백 접수 한 달간 총 1058만명이 신청했으며, 9월 페이백으로 총 2414억원을 지급했다고 16일 밝혔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작년 월 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지난 9월 15일부터 접수를 시작한 상생페이백은 접수 한 달(9월15일~10월 14일) 동안 약 1058만명이 신청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4%(570만)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순으로 신청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 40대 24.8%, 50대 19.6%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지난 9일까지 신청...
기사 본문
상생페이백 누리집 갈무리 지난달 상생페이백으로 416만명에게 2414억원이 지급된 것으로 집계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9월15일부터 10월14일까지 1012만명이 상생페이백을 신청했으며, 요건(지난해 월평균 카드소비액보다 올해 9월 소비액이 증가)을 갖춘 415만명에게 9월 페이백으로 모두 2414억원이 지급됐다”고 16일 밝혔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약 5만8155원이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살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카드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지원 취지로 추진됐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전국 전통시장, 상점가 등 약 13만개 오프라인 온누리상품권 가맹점과 디지털 온누리 앱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 사용할 수 있다. 중기부는 “2414억원은 백화점·아울렛,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의 카드소비액을 제외한 전년 대비 카드소비...
기사 본문
한 달간 1천58만명 신청…"1조2천70억원 소비진작 효과 발생"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강애란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달 415만명에게 상생페이백 2천414억원을 지급했다고 16일 밝혔다. 상생페이백은 9∼11월 월별 카드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접수를 시작한 지난달 15일부터 한 달간 1천58만명이 신청했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70만명으로 54%를 차지했으며 연령별로는 30대가 25.4%로 가장 많았다. 지난 9일까지 신청을 완료한 국민 중 지난해 월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지난 달 소비액이 증가해 페이백 대상이 된 국민은 415만명으로 확인됐다. 대상자에게는 전날 2천414억원의 페이백이 지급됐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약 5만8천155원이다. 페이백 금액은 백화점·아웃렛,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의 카드 소비액을 제외하고 작년 대비 ...
기사 본문
9월에 2414억 지급…고령층 참여 저조 상생페이백 접수 한달간 416만명에게 2414억원이 지급된 것으로 집계됐다. 상대적으로 고령층 참여가 저조해 디지털 장벽 해소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14일 오후 서울시 서대문구 인왕시장 한 채소 매장 TV에 지역 상권 활성화와 소비쿠폰을 주제로 한 ‘디지털 토크 라이브’ 생중계가 틀어져 있다. 뉴스1 16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 9월15일부터 10월14일까지 1012만명이 상생페이백을 신청했다. 이중 요건을 갖춘 415만명(42%)에게 9월 페이백으로 총 2414억원이 전날 지급됐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약 5만8155원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4%(570만명)로 나타났다. 이어 부산(6.4%), 경남(6.0%) 순으로 신청이 많았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살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카드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
기사 본문
접수 한 달 동안 천만명 이상 신청 지난 7월 6일 서울시내의 한 전통시장에 온누리상품권 사용 안내가 게시돼 있다. 2025.7.6/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서울=뉴스1) 이재상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16일 상생페이백 접수 한 달간 총 1058만명이 신청했으며 9월 페이백으로 총 2414억 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 소비액이 작년 월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 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지난 9월 15일부터 접수를 시작한 상생페이백은 접수 한 달(9월 15일~10월 14일) 동안 약 1058만명이 신청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4%(570만명)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순으로 신청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 40대 24.8%, 50대 19.6% 순으로 ...
기사 본문
사진=머니투데이DB.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접수 한 달간 총 1058만명이 신청했으며 9월 페이백으로 총 2414억원을 지급했다고 16일 밝혔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작년 월 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지난 9월 15일부터 접수를 시작한 상생페이백은 접수 한 달(10월 14일까지 기준) 동안 약 1058만명이 신청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4%(570만)로 나타났다.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순으로 신청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 40대 24.8%, 50대 19.6%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지난 10월 9일까지 신청을 완료한 국민 중 지난해 월평균 카드소비액 보다 올해 9월 소비액이 증가해 페이백 지급 대상이 된 국민은 총 415만명이다. 해당 지급 대상자에게는 ...
기사 본문
작년보다 월 평균 카드 소비액 많으면 증가분의 20% 디지털온누리상품권 환급 인당 환급액 약 5만8100원···11월까지 신청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제도 시행 한달 간 1058만명의 신청자가 몰렸다고 16일 밝혔다. <중기부> 중소벤처기업부가 올해 신설한 상생페이백 제도에 한 달간 1058만명이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보다 올해 신용카드 소비액이 늘어난 사람에게 최대 10만원을 현금처럼 쓸 수 있는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하는 제도에 신청자가 쇄도했다. 16일 중기부에 따르면 지난달 15일부터 이달 14일까지 한달간 상생페이백 접수에 약 1058만명이 신청했다. 지난 9일까지 신청을 마친 국민 중 지난해 월평균 카드소비액보다 올해 9월 소비액이 증가해 환급 기준을 충족한 사람은 신청자의 41%인 415만명이었다. 이들에게는 지난 15일 총 2414억원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됐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약 5만8155원이다. 중기부는 백화점과 아울렛, 대형마트, 온라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