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출산 1년 이내인 부부, 어린이 보험금 깎고, 보험금 납부 유예해 준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정부·보험업계 ‘저출산 극복 지원 3종 세트’ 발표 육아휴직 중이거나 출산한 지 1년이 되지 않은 부부라면 내년 4월부터 어린이 보험료를 할인받을 수 있게 된다. 또 보험료 납부도 최대 1년까지 유예할 수 있다. 16일 이억원 금융위원장과 국내 보험사 20곳 최고경영자(CEO)는 간담회를 갖고 육아 가정의 소득 감소로 발생하는 보험료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험업권 ‘저출산 극복 지원 3종 세트’를 발표했다. 지원 내용은 어린이 보험 보험료 할인, 보험료 납입 유예, 보험 계약 대출 상환 유예 등 크게 세 가지다. 지원 대상은 본인 또는 배우자가 출산한 경우 출산일로부터 1년 이내이거나, 육아휴직 중인 보험 계약자다. 어린이 보험 보험료 할인 기간은 1년 이상으로, 할인율은 보험 회사가 자율로 결정한다. 연 보험료가 9조4000억원에 달하는 국내 모든 어린이 보험이 대상이다. 육아휴직한 계약자는 모든 자녀에 대해 보험료를 할인받을 수 있다. 다만 출산은 피보험자를...
기사 본문
저출산 지원 3종 세트 출시…연간 1200억원 부담 완화 효과 생산적 금융 전환 위해 건전성 제도 개편 방안도 마련 최종관찰만기 확대 10년에 걸쳐 추진·듀레이션 규제 도입 소비자의 보험료 부담을 덜어주는 '저출산 지원 3종 세트'가 내년 본격적으로 도입된다. 이번 조치로 연간 약 1200억원 규모의 소비자 부담 완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16일 서울 종로구 손해보험협회에서 20개 보험사 최고경영자(CEO)와 간담회를 가졌다. 금융당국과 보험업권은 이 자리에서 저출산 지원 3종 세트를 발표했다. 이는 사망보험금 유동화, 지방자치단체 상생 상품에 이어 보험업계에서 추진하는 세 번째 국민 체감형 지원 상품이다. 전산 개발을 거쳐 내년 4월 시행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연간 약 1200억원 규모의 소비자 부담 완화 효과를 기대한다. 우선 출산이나 육아휴직시 어린이보험 보험료를 일정 기간 할인받을 수 있다. 모든 어린이보험이 대상이며 할인 기간(최소 1년 이상)과 할인...
기사 본문
이억원 위원장 보험 CEO간담회 최종관찰만기 30년 확대 도입시점 2035년으로 대폭 연장, 듀레이션 규제 신설 출산 및 육아휴직 부부에 어린이보험료 할인·납입유예·약관대출 상환유예 (서울=뉴스1) 이광호 기자 =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15일 오전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열린 소비자중심 금융 대전환을 위한 현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0.15/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이광호 기자 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K-ICS·킥스)에 큰 부담 요인이었던 할인율 규제가 오는 2035년까지 10년간 단계 도입된다. 보험부채를 평가할 때 적용하는 할인율 규제인 '최종관찰만기 30년 확대'를 당초 2027년 도입키로 했다가 2035년으로 연기 해서다. 대신 자산-부채의 만기 차이를 좁혀 안정적인 관리를 하도록 듀레이션 규제가 신규 도입된다. 보험업권은 연간 120...
기사 본문
이억원 "장기적 자산운용 기반의 규제 틀 단계적으로 바꿔 나가겠다" 기본자본 비율 규제방안 연내 마련…할인율 현실화 방안 논의 이억원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1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2025.10.15/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박재찬 보험전문기자 =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취임 후 처음으로 보험사 대표들을 만난 자리에서 '저출산 극복 지원 3종세트' 운영방안을 논의했다. 약 1200억 원의 소비자 부담 완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3종 세트는 내년 4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또 이 위원장은 IFRS17 및 킥스(K-ICS)의 안착을 위해 기본자본 비율 규제방안을 연내 마련하고, 할인율 현실화 및 듀레이션 규제와 해약환급금준비금 적립의 합리화 도입 방안 등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16일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생명.손해보험협회 및 20개 보험사 CEO와 함께 보험업권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취임 후 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