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기술 없는데 제품명에 ‘AI’…광고 20건 적발

2025년 11월 0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2개
수집 시간: 2025-11-08 02:15:2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KBS 2025-11-07 10:22:39 oid: 056, aid: 0012061898
기사 본문

제품의 인공지능, AI 성능을 부풀린 광고로 의심되는 사례가 줄줄이 적발됐습니다. 정부는 AI 성능을 과장해 소비자를 오인하게 하는 광고를 줄이기 위해, 관련 가이드라인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한국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는 오늘(7일) 'AI 워싱' 행위에 대한 의심 사례 모니터링과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AI 워싱'이란 AI 기술이 적용되지 않았거나 적용 수준이 미미한데도, AI 기능을 실제보다 과장해 표시·광고함으로써 소비자를 오인시키는 행위를 뜻합니다. 실제로 공정위와 소비자원이 국내 7개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 중인 가전·전자제품을 대상으로 'AI 워싱' 의심 사례를 조사한 결과, 모두 20건의 사례가 발견됐습니다. AI 기술이 적용됐다고 보기 어려운데도 제품명에 'AI' 명칭을 포함하거나, AI 기능을 실제보다 과장해 광고한 경우가 대부분(19건)이었습니다. 습도나 온도 센서를 통해 습도, 풍량이 조절되는 기능을 '인공지능 기능' 'AI 기능' 등으로 표현한 ...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07 10:29:11 oid: 011, aid: 0004553150
기사 본문

공정위, 내년 부당광고 가이드라인 제정 냉풍기·제습기·세탁기에서 AI 기능 과장···표시 문구 수정 “AI 기능 구분 어렵다” 응답 67%···소비자 혼란 현실화 센서 기반 자동 풍량 조절 기능을 AI기능으로 표현했다. 사진 제공=공정위. [서울경제] 인공지능(AI) 기능이 없는 제품을 AI가 탑재된 것처럼 홍보해 소비자를 오도한 이른바 ‘AI워싱 광고가 정부 조사에서 처음으로 적발됐다. 정부는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에 인공지능 관련 부당 광고 가이드라인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주요 온라인몰을 중심으로 가전·전자제품을 점검한 결과, AI워싱이 의심되는 광고 20건을 확인하고 관련 사업자들이 자진 시정하도록 조치했다고 7일 밝혔다. 공정위 조사 결과 단순 센서 기술이나 자동 제어 기능을 마치 고도화된 인공지능 기술인 것처럼 포장한 사례가 다수 발견됐다. 대표적으로 냉풍기의 온도 센서 기반 자동 풍량 조절 기능을 AI 냉방 또는 AI기능으로 광고한 제품이...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1-07 10:56:10 oid: 119, aid: 0003022321
기사 본문

공정위, AI워싱 모니터링·소비자 인식조사 결과 내년 ‘부당 표시·광고 가이드라인’ 마련 추진 공정거래위원회.ⓒ연합뉴스 [데일리안 = 김지현 기자] 냉풍기 온도 센서 기반 자동 풍량 조절 기능을 인공지능(AI) 기능으로 표현하는 ‘AI워싱’ 의심사례가 다수 적발됐다.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7일 AI워싱 행위에 대한 의심사례 모니터링 및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최근 AI기술 혁신에 따라 생성형 AI를 활용한 AI 챗봇 및 AI 검색 서비스 활용이 일상화되고 가전·전자제품을 중심으로 AI기능이 일부 탑재되는 등 AI제품·서비스가 지속 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편익이 증진되고 기업의 생산성도 향상되는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만 AI기술이 적용되지 않았거나 적용 수준이 미미함에도 AI기능을 실제보다 과장해 표시·광고, 소비자를 오인시키는 소위 AI워싱과 같은 기만적인 행위도 함께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AI워싱 행위는 실제보다 제품의 성능을 과장해 소비자의...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07 10:01:11 oid: 018, aid: 0006158319
기사 본문

공정위·소비자원, 'AI워싱' 의심사례 모니터링 결과 공정위, 부당 표시·광고 가이드라인 마련 추진 [세종=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냉풍기의 온도 센서 기반 자동 풍량 조절 기능을 ‘인공지능(AI) 기능’으로 표현하는 등 ‘AI워싱’ 의심사례가 적발돼 시정됐다. 사진=게티이미지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7일 AI워싱 행위에 대한 의심사례 모니터링 및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근 AI기술 혁신에 따라 생성형 AI를 활용한 AI 챗봇·검색 서비스 활용이 일상화되고, 가전·전자제품을 중심으로 AI기능이 일부 탑재되는 등 AI제품·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이에 소비자 편익이 증진되고 기업 생상성도 향상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만, AI기술이 적용되지 않았거나 적용 수준이 미미함에도 AI기능을 실제보다 과장해 표시·공고해 소비자를 오인하게 하는 이른바 AI워싱과 같은 기만적인 행위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양 기관은 AI워싱 행위가 실제보다 제품 성능을 과장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