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없는 ‘AI 가전’…꼼수 광고 20건 적발

2025년 11월 0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2개
수집 시간: 2025-11-08 01:45:0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7개

KBS 2025-11-07 12:10:06 oid: 056, aid: 0012061980
기사 본문

[앵커] 인공지능, AI가 화두가 되니 이런 꼼수도 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지도 않았는데, 제품명에 'AI'를 넣은 꼼수 광고 20건이 적발됐습니다. 주로 가전제품들이 많았습니다. 김준범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공정거래위원회와 소비자원은 국내 온라인 쇼핑몰 7곳을 조사해, 일명 'AI 워싱' 의심 광고 20건을 적발했습니다. 'AI 워싱'이란 인공지능 기술이 없거나 미미한데도, 실제보다 더 부풀려 표시하거나 광고하는 수법입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일반적인 자동화를 인공지능 기술로 표현하는 식입니다. 습도나 온도 센서로 습도, 풍량 등을 조절하는 기능뿐인데도, 제품명에 'AI'를 포함해 소비자들의 오인을 유도하는 식입니다. 일부 세탁기는 세탁물이 3kg 미만일 때만 'AI 세탁 모드'가 작동하는데도, 이런 제한 사항을 표시 안 했습니다. 이런 문제는 무선 청소기, 스마트워치, 안마의자, 전기매트, 쌀 냉장고, 학습교구 등 다양한 제품군에 걸쳐 총 20건 적발됐습니...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07 10:29:11 oid: 011, aid: 0004553150
기사 본문

공정위, 내년 부당광고 가이드라인 제정 냉풍기·제습기·세탁기에서 AI 기능 과장···표시 문구 수정 “AI 기능 구분 어렵다” 응답 67%···소비자 혼란 현실화 센서 기반 자동 풍량 조절 기능을 AI기능으로 표현했다. 사진 제공=공정위. [서울경제] 인공지능(AI) 기능이 없는 제품을 AI가 탑재된 것처럼 홍보해 소비자를 오도한 이른바 ‘AI워싱 광고가 정부 조사에서 처음으로 적발됐다. 정부는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에 인공지능 관련 부당 광고 가이드라인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주요 온라인몰을 중심으로 가전·전자제품을 점검한 결과, AI워싱이 의심되는 광고 20건을 확인하고 관련 사업자들이 자진 시정하도록 조치했다고 7일 밝혔다. 공정위 조사 결과 단순 센서 기술이나 자동 제어 기능을 마치 고도화된 인공지능 기술인 것처럼 포장한 사례가 다수 발견됐다. 대표적으로 냉풍기의 온도 센서 기반 자동 풍량 조절 기능을 AI 냉방 또는 AI기능으로 광고한 제품이...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1-07 10:56:10 oid: 119, aid: 0003022321
기사 본문

공정위, AI워싱 모니터링·소비자 인식조사 결과 내년 ‘부당 표시·광고 가이드라인’ 마련 추진 공정거래위원회.ⓒ연합뉴스 [데일리안 = 김지현 기자] 냉풍기 온도 센서 기반 자동 풍량 조절 기능을 인공지능(AI) 기능으로 표현하는 ‘AI워싱’ 의심사례가 다수 적발됐다.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7일 AI워싱 행위에 대한 의심사례 모니터링 및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최근 AI기술 혁신에 따라 생성형 AI를 활용한 AI 챗봇 및 AI 검색 서비스 활용이 일상화되고 가전·전자제품을 중심으로 AI기능이 일부 탑재되는 등 AI제품·서비스가 지속 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편익이 증진되고 기업의 생산성도 향상되는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만 AI기술이 적용되지 않았거나 적용 수준이 미미함에도 AI기능을 실제보다 과장해 표시·광고, 소비자를 오인시키는 소위 AI워싱과 같은 기만적인 행위도 함께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AI워싱 행위는 실제보다 제품의 성능을 과장해 소비자의...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07 10:01:11 oid: 018, aid: 0006158319
기사 본문

공정위·소비자원, 'AI워싱' 의심사례 모니터링 결과 공정위, 부당 표시·광고 가이드라인 마련 추진 [세종=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냉풍기의 온도 센서 기반 자동 풍량 조절 기능을 ‘인공지능(AI) 기능’으로 표현하는 등 ‘AI워싱’ 의심사례가 적발돼 시정됐다. 사진=게티이미지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7일 AI워싱 행위에 대한 의심사례 모니터링 및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근 AI기술 혁신에 따라 생성형 AI를 활용한 AI 챗봇·검색 서비스 활용이 일상화되고, 가전·전자제품을 중심으로 AI기능이 일부 탑재되는 등 AI제품·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이에 소비자 편익이 증진되고 기업 생상성도 향상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만, AI기술이 적용되지 않았거나 적용 수준이 미미함에도 AI기능을 실제보다 과장해 표시·공고해 소비자를 오인하게 하는 이른바 AI워싱과 같은 기만적인 행위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양 기관은 AI워싱 행위가 실제보다 제품 성능을 과장해...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1-08 06:00:01 oid: 032, aid: 0003407384
기사 본문

경향신문 경제부 기자들이 쓰는 [경제뭔데] 코너입니다. 한 주간 일어난 경제 관련 뉴스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서 전해드립니다. 센서 기반 제습 기능을 AI 기능으로 과장한 ‘AI 워싱’ 사례. 공정위 제공 요즘 인공지능(AI)이 생활 속 깊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생성형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AI 챗봇이나 AI 검색 서비스는 이미 우리 일상 곳곳에서 쓰이고 있죠. 이제는 가전제품 속에서도 AI 기능을 찾는 게 자연스러워졌습니다. 냉장고, 세탁기, TV 같은 전자제품들이 점차 ‘스마트한 도우미’로 변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관심도 뜨겁습니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이 함께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소비자 3000명 중 절반 이상(57.9%)이 “AI 기능이 들어간 제품이라면 일반 제품보다 비싸도 사고 싶다”라고 답했습니다. 이들이 감수할 수 있는 추가 비용은 평균 20.9%였습니다. 그만큼 AI가 주는 편리함과 기대감이 크다는 의미죠. 하지만 모든 AI 제품이 진짜 ‘...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1-08 05:01:10 oid: 079, aid: 0004083754
기사 본문

공정위, 'AI워싱' 첫 실태조사 결과 발표 "온도센서 통한 조절도 AI로 광고" 황당 사례 등 20건 적발 해외 사례 보면 더욱 심각…AI워싱 사회 문제 될 가능성도 공정위 내년 중 가이드라인 마련 등 중점 모니터링 돌입 연합뉴스 "인공지능(AI) 시대"라는 구호가 일상이 됐지만, 소비자들에게는 실체 없는 'AI 제품'이 쏟아지고 있다. 명확한 AI 기술을 적용하지도 않고 용어만 앞세워 소비자의 주목을 끄는 이른바 'AI 워싱(Washing)'이 시장 신뢰를 흔들고 있다. 8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공정위는 한국소비자원과 함께 AI 워싱 공동 대응 체계를 마련 중이다. 전날에는 양 기관이 함께 'AI 워싱' 의심 표시·광고에 대한 첫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AI 워싱'은 실제로는 관련 기술이 적용되지 않았거나 매우 제한적으로 적용된 제품·서비스를 마치 혁신적인냥 광고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는 친환경성이 떨어지는 제품을 '그린'으로 포장하는 '그린워싱'과 유사한 마케팅 전략으...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1-07 10:01:13 oid: 079, aid: 0004083477
기사 본문

'AI워싱(AI-Washing)' 의심 광고 사례 20건 적발…해당 사업자들 자진 시정하도록 조치 AI 인공지능 모드라더니…사실은 온도센서로 풍량조절 '자동 온도 조절'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인공지능(AI) 기술이 아닌데도, AI기능인 것처럼 홍보하며 소비자를 오인시킬 수 있는 이른바 'AI워싱(AI-Washing)' 의심 광고 사례 20건을 적발하고, 해당 사업자들이 자진 시정하도록 조치했다고 7일 밝혔다. 주요 사례로는 냉풍기의 온도 센서 기반 자동 풍량 조절 기능을 'AI기능'으로 표시한 사례가 있었다. 결국 해당 제품은 '자동 온도 조절'로 문구를 수정했다. 또 제습기의 습도 센서 기반 자동 조절 기능을 '인공지능 기능'으로 광고한 사례도 확인돼 관련 문구가 삭제됐다. 냉풍기의 온도 센서 기반 자동 풍량 조절 기능을 'AI기능'으로 표현. 시정 후 '자동온도 에코모드'로 표현. 공정위 제공 이외에도 세탁기의 'AI세탁모드'가 소량 세탁물일 때만 작동함에도 불구하고 제...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