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통제 강화에…희토류 공급망 TF 발족

2025년 10월 1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4개
수집 시간: 2025-10-16 20:26:1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이데일리 2025-10-16 18:46:07 oid: 018, aid: 0006139863
기사 본문

연내 희토류 공급망 종합대책 마련키로 “모든 가능성 열어놓고 면밀 대응할 것”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중국의 희토류 통제 강화에 대응해 16일 희토류 공급망 전담조직(TF)을 출범했다. 문신학 산업통상부 차관(오른쪽 2번째)이 16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산업통상부는 이날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회의를 열고 희토류 공급망 TF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희토류를 독점적으로 공급하는 중국이 관련 통제를 강화한 데 따른 것이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 9일 희토류 기술통제와 함께 희토류 수출 때 당국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수출통제 품목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12월부터는 중국산 희토류 7종이 포함된 제품의 제삼국 수출에 대해서도 중국 당국의 허가를 받도록 했다. 희토류는 반도체나 전기차, 배터리 등 첨단산업의 핵심 소재인 만큼, 이 조치는 우리 산업에도 큰 영향을...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16 15:25:33 oid: 001, aid: 0015682545
기사 본문

산업차관 단장, 기재부·외교부·유관기관 참여…中수출통제강화 대응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회의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16일 서울 중구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에서 열린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회의에서 문신학 산업통상부 차관이 발언하고 있다. 2025.10.16 cityboy@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정부가 중국의 희토류 수출통제 강화에 대응해 범부처가 참여하는 '희토류 공급망 태스크포스(TF)'를 16일 발족했다. 이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국내 기업에 대한 중국의 희토류 수출 허가가 신속히 발급되도록 지원하고, '희토류 수급 지원센터'를 통한 긴급 대응 지원에 나선다. 중장기적으로는 희토류 공급망 안정 대책 마련에 집중한다. 산업부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 회의'를 열고 범부처 희토류 공급망 TF를 가동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TF는 산업부 차관이 단장을 맡고 기획재정부, 외교부 등 관계부처와 ...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0-16 05:00:02 oid: 025, aid: 0003475592
기사 본문

전기차 구동모터 들어가는 영구자석. 영구자석은 희토류가 있어야 생산할 수 있다. 사진 성림첨단산업 희토류 생태계를 장악한 중국이 중(重)희토류 7종에 이어 희토류 생산 설비까지 수출 통제 대상에 추가하면서 국내 중소기업들이 비명을 지르고 있다. 희토류 가공 장비의 90%는 중국산이라, 국내 관련 기업들은 대체재를 찾지 못할 경우 공장을 멈춰야 할 상황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가 9일 발표한 ‘일부 희토류 장비 및 원부자재 관련 품목에 대한 수출 통제 결정’에는 희토류 생산·가공에 사용되는 각종 장비도 포함됐다. 11월 8일부터 중국 기업은 ▶희토류 원심 추출 장비 ▶불순물 제거·침전 장비 ▶전기분해·용해·소결용 기기 등은 중국 상무부의 허가를 받아야 수출할 수 있다. 수입산 희토류는 먼저 수출국(주로 중국)에서 1차 정련·가공 과정을 거치지만, 국내 업체가 수입 희토류를 영구자석으로 가공하려면 복잡한 과정을 더 거쳐야 한다. ①1700도 이상의 고온 진공 용해로에서 희...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0-16 18:48:07 oid: 022, aid: 0004075547
기사 본문

베선트 “비시장경제와 경쟁 위해 개입” 그리어 USTR 대표, 동맹국 협조 강조 韓, 연내 희토류 공급망 종합대책 마련 미국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대응하기 위해 자국 내 전략산업 기업에 대한 통제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15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린 ‘인베스트 인 아메리카 포럼’에서 “정부는 추가로 기업 지분을 인수해 핵심 광물을 비축하고 기업의 투자 방향을 유도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USTR)가 15일(현지시간) 워싱턴DC 재무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베선트 장관은 “중국처럼 국가가 산업을 좌우하는 비시장경제와 경쟁하려면 정부도 전략적으로 개입할 수밖에 없다”고 배경을 설명하면서 “스마트폰, 전투기 엔진, 의료기기, 전기차 모터 등 제조에 필수적인 희토류 광물의 국내 채굴 및 가공 확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