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증가세 꺾였지만…대출 보릿고개 넘어 빙하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6·27 대책 후 9월 가계대출 전달 4분의 1 집값 잡기 위해 석 달 만에 초강력 규제 스트레스 금리 하한 1.5→3%, 대출금 10% 안팎 감소 주요 시중은행 이미 가계대출 목표치 초과 주담대 위험가중치 상향 내년 1월로 앞당겨…연 27조 줄어 [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대출 시장에 그야말로 ‘빙하기’가 찾아왔다. 수도권 집값 상승세를 진정시키기 위해 정부가 연이어 초강력 대출 규제를 내놓으면서다. ‘6·27 대책’ 영향으로 지난달 가계대출 증가 폭이 4분의 1로 줄었지만 연말을 앞두고 대출 문은 더 좁아질 전망이다.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스1)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가계대출 잔액은 1조1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증가 폭이 전달(4조7000억원)의 4분의 1 수준으로 지난 3월(7000억원) 이후 가장 적은 규모다. 1년 전(5조4000억원)과 비교하면 증가 폭이 5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 ...
기사 본문
9월 은행권 가계대출 1170.2조원...전월比 2조원↑ 6·27 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폭 6개월래 최저 주택거래량 급감 영향...전세자금대출도 감소 전환 한은 “10·15 효과, 판단 어려워...좀 더 지켜봐야”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6·27 가계대출 규제가 시행 3개월 만에 가계대출 불씨를 꺼트렸다. 주택 거래량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규제 직전 6조원을 넘긴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이 지난달 2조원까지 급감했다. 비은행권을 포함한 전체 가계대출 증가액도 1조원대로 떨어진 가운데, 정부가 지난 15일에 꺼내든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의 경우 부동산 시장 과열 진정 효과를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9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 2조원으로 ‘뚝’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5년 9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170조2000억원으로 전월보다 2조원 증가했다. 지난 2월(3조2000억원)과 ...
기사 본문
한은, 2025년 9월 금융시장 동향 발표 은행권 가계대출 2조↑…9월(+4.1조)의 절반 주담대 2.5조↑…전세자금대출 -0.2조로 감소 전환 "10·15 부동산 대책, 효과 지켜봐야"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15일 오후 서울 남산에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보이고 있다.정부가 6·27 대출 규제과 9·7공급대책에 이어 발표한 추가 대책은 기존 규제지역인 강남3구·용산구를 포함한 서울 25개 구 전역과 한강 이남의 경기도 12곳 등 총 27곳을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 등 '삼중 규제지역'으로 묶고 금융규제까지 강화하는 내용이다. 2025.10.15. ks@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9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반토막 났다.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효과와 계절적 요인으로 주택담보대출이 축소된 영향이다. 여기에 전세자금대출도 9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다. 기업대출은 미국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
기사 본문
9월 금융권 가계대출 1조1000억↑ 3월이후 최저…주담대 증가세 둔화 계절적 요인에 전세자금 수요 감소 "10·15규제 영향 대출수요 더 억제" 6·27부동산대책 효과가 3개월 만에 본격화됐다.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의 전월 대비 증가 폭이 둔화되며 반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 15일 추가로 수요 억제책이 나온 만큼 가계대출 증가세가 더 억제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6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1조1000억원 증가했다. 전월 증가 폭(4조7000억원)과 비교하면 4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지난 3월(7000억원) 이후 최저다. 주택담보대출은 3조6000억원이 증가해 전월(5조1000억원) 대비 증가세가 둔화됐다. 은행권(3조8000억원→2조5000억원), 2금융권(1조3000억원→1조1000억원) 모두 증가 폭이 축소됐다. 계절적 요인으로 전세자금 수요가 감소한 점도 주담대 증가 폭이 줄어든 원인이었다. 은행권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