냄새·해충 잡고 땅심도 키우고…감귤 부산물 친환경 자재로 재탄생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농촌진흥청, 버려지는 감귤 부산물 활용 다각화 방안 찾아 침출수는 악취 저감제, 해충 유인제…껍질, 펄프는 토양 개량제로 만들어 냄새 99% 저감, 해충 피해율 37%p 감소…순환농업 기반 기술로 확산 가공 후 남은 감귤 부산물. 농촌진흥청 제공 감귤즙을 짠 뒤 폐기물 등으로 버려지던 부산물이 악취 저감제를 비롯한 친환경 농업 자재로 재탄생한다. 농촌진흥청은 감귤 부산물을 악취 저감제, 해충 유인제, 토양 개량제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감귤 부산물 자원 순환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우리나라에서는 한 해 전체 감귤 생산량의 10% 정도(2024년 기준 4만 톤 가량)의 부산물이 발생하지만 대부분 폐기하거나 축산 농가용 사료로 단순 활용돼 왔다. 이에 연구진은 산업체, 대학 등과 함께 감귤 부산물 활용 다각화를 목표로 부산물의 약 30%를 차지하는 침출수는 악취 저감제와 해충 유인제로, 약 70%를 차지하는 고체 상태의 껍질과 펄프(과육)는 토양 개량제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
기사 본문
[뉴스투데이] ◀ 앵커 ▶ 감귤주스를 만들고 남은 찌꺼기로 친환경 악취 저감제를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돼지 분뇨 저장소에 넣었더니 악취 성분 99%가 제거된 걸로 확인됐습니다. 이준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제주 서귀포의 감귤가공공장입니다. 감귤즙을 짜고 남은 껍질 찌꺼기가 커다란 포대에 담깁니다. 감귤 생산량의 10%, 제주에서만 해마다 약 4만 톤이 나옵니다. 지금까지는 대부분 버리거나 가축 사료로 썼습니다. 앞으로는 더 가치 있게 쓰입니다. 쌓아둔 감귤껍질에서 나오는 침출수를 악취 저감제로 바꾸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 침출수를 살균해 중화한 뒤 유산균과 효모 같은 미생물을 배양하는 방식입니다. 돼지 분뇨 저장조 2곳에 넣어봤더니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와 황화수소가 최대 99% 감소했습니다. [김대현/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장] "경제적인 측면에서 감귤 침출수는 미생물 배양에 유용한 성분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저렴해 많은 양의 저감제를...
기사 본문
침출수 악취 저감제, 암모니아 91%·황화수소 99%↓ 리모넨 성분 유인제, 큰검정풍뎅이 포획률 45%↑ 껍질·펄프 기반 토양개량제, 수분 보유력 50% 이상↑ [세종=뉴시스] 감귤박. (사진=농촌진흥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임소현 기자 = 감귤즙을 짠 뒤 버려지던 감귤 부산물이 악취 저감제·해충 유인제·토양 개량제로 새롭게 활용된다. 제주 지역 등에서 버려지던 감귤 폐기물이 친환경 농업 자재로 거듭나며 농가소득 증대와 환경 개선 효과가 기대된다. 농촌진흥청은 감귤 부산물을 악취 저감제, 해충 유인제, 토양 개량제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감귤 부산물 자원 순환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우리나라에서는 한 해 전체 감귤 생산량의 10% 정도(2024년 기준 4만t가량)의 부산물이 발생하지만 대부분 폐기하거나 축산 농가용 사료로 단순 활용돼 왔다. 이에 연구진은 산업체, 대학 등과 함께 감귤 부산물 활용 다각화를 목표로 부산물의 약 30%를 차지하는 침출수...
기사 본문
농진청, 자원순환 기술 개발…냄새 99%·해충 피해율 37%p ↓ 가공 후 남은 감귤 부산물./농진청 감귤즙을 짠 뒤 폐기물로 버려지던 부산물이 친환경 농업 자재로 재탄생한다. 농촌진흥청은 감귤 부산물을 악취 저감제, 해충 유인제, 토양 개량제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자원 순환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우리나라에서는 한 해 전체 감귤 생산량의 10% 정도 부산물이 발생하지만, 대부분 폐기하거나 축산 농가용 사료로 단순 활용돼 왔다. 이에 연구진은 산업체, 대학 등과 함께 감귤 부산물 활용 다각화를 목표로 부산물의 약 30%를 차지하는 침출수(탈리액)는 악취 저감제와 해충 유인제로, 약 70%를 차지하는 고체 상태의 껍질과 펄프(과육)는 토양 개량제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악취 저감제를 양돈 분뇨 저장조 2곳에 투입한 결과 주요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와 황화수소가 각각 91%, 99% 감소함을 확인했다. 이는 기존 유용 미생물 처리 때와 비슷한 수준이나 감귤 부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