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까지 온실가스 50~60% 감축…베일 벗은 새 NDC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김성환 기후장관, 최종 정부안 '범위'로 제시 산업계 "48%도 버겁다" vs 시민사회 "최소 60% 이상 돼야" "달성 가능한 목표 제시도 책임 있는 정부 자세"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정부안이 6일 공개됐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제공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6일 우리나라가 2035년까지 달성할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2018년 배출량 대비 50~60% 범위로 확정하려 한다고 밝혔다. 그간 산업계가 주장한 48%부터 시민사회가 요구한 65% 사이에서 팽팽한 줄다리기를 해온 가운데, 이전처럼 명확한 수치(2030 NDC=40% 감축)를 제시하는 방식이 아니라 보다 유연한 목표치를 설정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정리한 것이다. 김 장관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2035 NDC 대국민 공개 논의 공청회' 개회사에서 "범위 목표 하한선은 2035년 배출량을 2018년 대비 ①50%, ②53%를 감축하고, 상한선은 60% 감축하는 것"이라며 ...
기사 본문
[아침신문 솎아보기] 주요국 미치지 못한 정부 국가온실감축 목표에 비판 ‘배치기’ 집중된 국회 운영위 국감…장동혁 광주행에 “‘윤 어게인’ 절연하라” ▲2025년 11월 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 대국민 공개 논의 공청회에서 안영환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기후변화정책 분과위원장이 좌장으로 토론을 진행하는 가운데 한 참석자가 2035 NDC 정부안에 반대한다는 내용을 담은 손팻말을 들고 있다. 이날 정부는 2035 NDC 최종 후보로 2018년 대비 '50∼60%' 감축 안과 '53∼60%' 감축 안을 제시했다. ⓒ연합뉴스 정부가 6일 발표한 2035 국가온실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50~53%에서 최대 60%로 제시했다. 유럽연합(EU)은 66.25~72.5%, 미국은 61~66%, 일본은 60%를 제시했으나 한국은 하한선을 50% 초반대로 제시했다. 최종 방안은 다음주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국무회의를...
기사 본문
[뉴스투데이] ◀ 앵커 ▶ 정부가 국가 온실가스를 2035년까지, 2018년보다 최대 60% 감축하기로 했습니다. 산업계와 시민단체가 요구한 중간으로 정한 건데, 기후위기 대응을 포기한 거란 비판이 나왔습니다. 김민욱 기자입니다. ◀ 리포트 ▶ 2018년 온실가스 순 배출량 7억 4천230만 이산화탄소 환산 톤 대비 50~60% 감축.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어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NDC 정부안을 공개했습니다. 2035년까지 50% 또는 53%를 하한선으로 설정하고 상한선 60% 범위 내 감축을 목표로 정했습니다. 하한선을 50%로 할지 53%로 할지는 의견 수렴과 정부 내 논의를 통해 정할 예정입니다. 2018년 총배출량의 40% 감축이라는 2030 감축목표와 달리 2035년 목표에서는 구체적인 수치를 못 박지 않았습니다. 당초 논의 과정에서 산업계는 48% 감축을, 시민사회는 65% 감축을 요구해 왔습니다. 양쪽의 요구 중간 범위가 정부 안으로 나온 겁니다. [김성환/...
기사 본문
50∼60% 또는 53∼60% 정부안, "기후위기 대응에 불충분"…산업계도 불만 "범위 중 상한은 법적 의미 없어"…'전문가만 모아 깜깜이 논의' 지적도 정부 2035 NDC 후보에 항의하는 공청회 참석자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6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공청회에서 참석자들이 정부 후보 안에 항의하고 있다. 2025.11.6 jylee24@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정부가 6일 내놓은 최소 '50% 또는 53%', 최대 '60%'의 범위의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는 기후위기 대응에 필요한 수준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평가된다. 산업계도 달성이 불가능한 목표라며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책임을 다하지 못한 채 사회적 합의를 끌어내는 데 실패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특히 NDC 수립 주무 부처인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출범 1개월 만에 '출범 취지'에 의문이 제기되는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