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만원짜리 티켓을 800만원에’… 국세청, 팬심 이용해 폭리 챙긴 암표상 ‘정조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프로 암표상 중엔 교사·공공기관 직원도 개인 14명, 법인 3곳 세무조사… 암표 판매 규모 200억 넘어 다수 계정과 매크로 프로그램을 통해 대량 티켓팅을 한 후, 고가에 팔아 수익을 남기는 암표상의 사업 구조도. /국세청 제공 정가 20만원짜리 아이돌 그룹의 콘서트 티켓을 웃돈을 붙여 팔아 폭리를 취한 암표상들을 국세청이 정조준했다. 국세청은 아티스트와 프로스포츠 팀을 응원하는 팬심을 악용해 이들을 챙겨 온 암표업자들의 소득 탈루행위를 포착하고 이들에 대한 세무조사에 착수했다고 6일 밝혔다. 국세청에 따르면 티켓 거래 플랫폼의 판매 인원 중 상위 1%에 해당하는 단 400여 명이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거래를 독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1인당 연평균 거래 금액은 무려 6700만원에 달했다. 국세청은 암표상 중에서도 소득 탈루 혐의가 짙은 17명(개인 14명, 법인 3곳)을 선정해 세무조사에 나섰다. 이들 17개 업자는 수만건 이상의 거래를 통해 최소 200여억원이 넘는 규모의...
기사 본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류 콘텐츠 관련 여행상품을 기획하는 A업체는 B업체에게 티켓당 10만원 상당의 수수료를 지급하고 K-POP 콘서트 암표를 매수했다. B업체는 100명이 넘는 아르바이트생에게 매크로 프로그램을 돌리도록 해 암표를 매집했다. A업체는 B업체를 통해 확보한 4만여장의 암표를 6년에 걸쳐 관광객 등에게 팔거나 정가의 2.5배에 달하는 가격으로 인터넷에 되팔았다. 이런 과정을 통해 두 업체는 100억원에 달하는 수입액을 축소 신고했다. A업체의 경우 대표자·직원 배우자 등 특수관계인이 실제 근무하지 않았는데도 인건비 지급대상으로 신고해 경비를 부풀리기도 했다. 국세청은 A·B업체의 수익규모를 검증해 과소 신고분을 추징하고, 경비처리 적정성 여부 또한 중점 조사할 계획이다. ◆공기관 직원·교사도 암표팔이 7일 국세청에 따르면 팬심을 악용해 폭리를 취해 온 전문 암표상 개인·법인 등 17개 업자를 대상으로 세무조사에 착수했다고 전날 밝혔다. 조사대상에는 전문 암표기업은 물론 ...
기사 본문
국세청, 200억대 티켓 암표상 대상 세무조사 착수 상위 1% 암표상 전체 티켓 거래 절반 차지 가수 임영웅. (사진, 물고기뮤직) 인기 공연과 스포츠 경기 티켓을 대량 구매해 수십 배 웃돈을 붙여 되판 암표상들이 국세청 세무조사 대상에 올랐습니다. 일부는 공공기관 직원과 사립학교 교사로 드러났습니다. 국세청은 국민의 정당한 구매 기회를 빼앗으며 폭리를 취한 암표상들의 탈세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강도 높은 세무조사에 착수했다고 어제(6일) 밝혔습니다. 조사 결과, 주요 티켓 거래 플랫폼 상위 1% 판매자들이 전체 거래의 절반을 차지했고, 이 중 탈루 혐의가 짙은 17명(법인 포함)이 조사 대상으로 선정됐습니다. 이들은 수년간 4만여 장의 티켓을 확보해 정가의 최대 30배에 재판매, 약 200억 원 규모의 암표 거래를 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임영웅 콘서트와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결승전 등 인기 티켓이 10만 원짜리에서 200만 원까지 치솟기도 했습니다. 암표상 탈세 방식 (국세청 제공)...
기사 본문
17개 암표업자 세무조사 착수…민생침해 탈세 엄단 프로야구·K팝공연 입장권 등 수십배 웃돈받고 판매 기업형업자, 공공기관 직원, 교사 등 조사 대상 올라 '매크로 프로그램' 팔고 차명계좌로 세금 회피하기도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안덕수 국세청 조사국장이 6일 세종시 정부세종2청사에서 국민의 정당한 권리를 빼앗아 이득을 챙겨 온 암표업자들의 탈루 행위 근절을 위해 강도 높은 세무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히고 있다. 2025.11.06. ppkjm@newsis.com [세종=뉴시스] 안호균 기자 = #1. 암표상 A씨는 주요 티켓 판매 플랫폼에서 활동하며 K팝 아티스트 공연이나 뮤지컬, 프로야구 경기 입장권을 취급하며 폭리를 취해왔다. 인기 가수 임영웅의 콘서트,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결승전과 같이 대중의 관심이 집중되는 행사 티켓은 암표상을 거쳐 가격이 수백만원까지 치솟았다. A씨는 인기 공연의 경우 입장권 정가 대비 약 15배에 달하는 240만원에, 주요 프로야구 경기는 10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