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출생아 12년 만에 증가세…혼인 늘고 이혼 줄었다

2025년 11월 0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0개
수집 시간: 2025-11-07 06:18:57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헤럴드경제 2025-11-06 14:56:09 oid: 016, aid: 0002553852
기사 본문

코로나19 이후 다문화 혼인 증가세 반영 男10살 이상 연상이 37.3%…비중은 줄어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난 출생아 수가 12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다문화 혼인도 2019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았던 반면, 이혼은 1년 만에 다시 줄었다. 국가 데이터처는 6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를 발표했다. 지난해 다문화 출생아는 1만3416명으로 전년보다 10.4%(1266명) 늘었다. 이는 2012년(2만2908명) 이후 처음 증가한 것이며, 증가율은 2009년(41.5%) 이후 가장 높았다. 증가 규모로는 2011년(1702명) 이후 최대 수준이다. 신생아실에서 간호사들이 아기를 돌보고 있다. [연합] 전체 출생아 가운데 다문화 출생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5.6%로 전년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2020년 6.0%에서 2022년 5.0%까지 감소했다가, 2023년(5.3%)에 이어 2년 연속 확대됐다. 다문화 어머니의 평균 출...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07 05:34:07 oid: 022, aid: 0004080895
기사 본문

지난해 다문화 출생아가 12년 만에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다문화 혼인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문화 혼인 건수는 2019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았다. 이혼 건수는 1년 만에 다시 감소했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는 6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2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를 발표했다. 작년 다문화 출생아는 1만3416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10.4%(1266명) 증가했다. 다문화 출생아 수가 증가한 것은 2012년(2만2908명) 이후 처음이다. 증가율은 2009년(41.5%) 이후 가장 높았다. 증가 규모는 2011년(1702명) 이후 가장 많았다. 서울 남산 백범광장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다문화 축제’에서 우리다문화어린이합창단이 개막공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체 출생에서 다문화 출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5.6%로, 전년보다 0.3%포인트(p) 확대됐다. 2020년 6.0%에서 2022년 5.0%로 줄었다가 2023년 5.3%에 이어 2년 연속 늘었...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1-06 12:01:20 oid: 079, aid: 0004083134
기사 본문

코로나19 마무리되며 최근 3년간 급증한 다문화 혼인…지난해는 혼인 증가세 다소 둔화 이들이 낳은 첫째아 태어나기 시작해…다문화 출생아 증가율, 역대 2위 기록 연합뉴스 코로나19 엔데믹으로 다문화 혼인이 빠르게 회복되면서, 이들이 낳은 다문화 출생아가 12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서고, 증가폭도 13년 만에 가장 크게 늘었다. 국가데이터처가 6일 발표한 '202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혼인은 2만 1450건으로, 전년보다 1019건(5.0%) 증가했다. 다만 지난해 전체 혼인 건수가 14.8%나 증가했기 때문에 전체 혼인 가운데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1.0%p 떨어진 9.6%로, 10% 아래로 내려왔다. 다문화 혼인 건수 및 비중 추이. 국가데이터처 제공 이에 따라 다문화 혼인은 3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앞서 코로나19로 해외 교류가 제한돼 크게 줄었던 다문화 혼인은 코로나19가 잠잠해지면서 2022년 25.1%, 2023년 17.2% 급증하다...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6 12:00:18 oid: 001, aid: 0015727701
기사 본문

혼인, 코로나 이후 3년 연속 증가…2019년 이후 최대치 평균 男 37.1세·女 29.7세 첫 결혼…母 평균 출산 32.5세 대한민국 다문화 페스타서 공연하는 우리다문화어린이합창단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25일 서울 남산 백범광장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다문화 페스타에서 우리다문화어린이합창단이 개막공연하고 있다.2025.10.25 nowwego@yna.co.kr (세종=연합뉴스) 안채원 기자 = 코로나19 이후 3년 연속 혼인이 늘어나면서 작년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난 출생아 수가 12년 만에 증가했다. 다문화 혼인 건수는 2019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았고, 이혼 건수는 1년 만에 다시 감소했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는 6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2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를 발표했다. 다문화 출생아 비중 3년 연속 증가세 작년 다문화 출생아는 1만3천416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10.4%(1천266명) 증가했다. 다문화 출생아 수가 증가한 것은 2...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