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실업률의 역설…KDI “쉬었음 증가에 실업률 하락”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일자리 매칭효율성 개선도 실업률 떨어트려 낮은 실업률이 반드시 고용 개선 의미하진 않아 28일 인천 남동구 인천시청에서 열린 ‘2025 인천 중장년·여성채용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채용공고를 살펴 보고 있다. 2025.10.28 연합뉴스 일도 구직도 하지 않는 20대 ‘쉬었음’ 증가가 최근 실업률 하락세로 이어졌다는 국책연구기관 분석이 나왔다. 구직 플랫폼 확산으로 일자리 연결 효율이 높아진 점도 실업률을 낮춘 요인으로 꼽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4일 현안 분석 보고서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에서 경기 둔화에도 실업률이 하락하는 현상을 분석했다. 보고서는 20대 쉬었음이 가파르게 증가하기 시작한 2015년과 올해를 분석했다. 실업률은 2015년 3.6%에서 올해 7월 2.7%로 떨어졌다. 실업률은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구직활동을 했음에도 아직 취업하지 못한 실업자 비율이다. 20대 쉬었음 인구 비중이 2015년 수...
기사 본문
일자리 매칭 기술 발전도 영향 최근 고용시장의 실업률이 내려가고 있지만,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의 증가에 따른 착시가 반영된 결과라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쉬었음 인구를 경제활동인구로 분류하지 않는 통계 집계 방식이 실업률이 내려가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6일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 현안분석에서 한국경제의 둔화에도 실업률이 하락하는 이면을 분석했다. 통계상 쉬었음 인구는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하고 있다. 구직활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활동인구’의 실업자로 보지 않는 것이다. 쉬었음 인구는 2005년 기준 생산가능인구의 3.2%(123만명)에서 올해 5.6%(254만명)로 급증했다. 반면 실업률은 2015년 3.6%에서 올해 2.7%로 하락했다. 보고서는 “20대의 구직포기 증가는 지난 10년간 실업률 하락폭의 45∼71%를 설명한다”고 진단했다. 만약 20대 쉬었음 인구의 비중이 2015...
기사 본문
KDI,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 발표 구직 포기, 디지털 구직 플랫폼 확산 산업수요 부합한 인적자원 육성 ‘쉬었음’ 분석해 장기비구직자 복귀도와야 경기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소상공인+5070 일자리 박람회에서 중장년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뉴시스 [데일리안 = 김지현 기자] 경제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실업률이 낮은 수준에 머무르는 괴리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쉬었음’ 등 구직 포기, 디지털 구인구직 플랫폼 확산에 따른 매칭효율성 개선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노동시장 구조에 변화가 따르면서 전문가는 구직포기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산업수요에 부합하는 인적자원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진단한다. 청년층 노동시장 참여 의지 약화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이 6일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한국개발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이 6일 발표한 ‘최근 낮은 실업...
기사 본문
애초 구직활동 해야 실업자로 분류…아예 구직 포기하면 통계상 실업자에서 빠져 별다른 사유 없이 취업도, 구직도 하지 않은 '쉬었음' 인구 10년새 급증 특히 20대 생산가능인구 중 쉬었음 비중은 3.6%에서 7.2%로 2배나 늘어 "낮은 실업률=고용 여건 개선 아냐…양질 일자리 창출 노력하고, '쉬었음' 인구 심층 분석 필요" 연합뉴스 최근 실업률이 하락한 까닭에는 일자리를 찾을 의욕을 아예 잃은 청년들이 늘은 탓도 있는 만큼, 실업률 지표가 하락했다는 사실만으로 고용 여건이 개선됐다고 말할 수 없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지적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는 6일 발표한 KDI 현안분석 보고서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에서 최근 저조한 성장세에도 실업률은 낮은 수준에 머물러 경기와 실업률 간의 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직전 3%대 중후반에 있던 한국의 실업률은 코로나19 충격이 가시기 시작한 2021년부터 빠르게 하락해 2% 중후반대 수준을 유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