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2개
기사 본문
“2035년까지 감축 목표는 무리” 정부가 2035년 이후 내연기관차 신차 판매 금지를 검토하자, 자동차 부품 업계가 속도 조절을 요구하고 나섰다. 수천 개 부품기업과 11만명이 넘는 종사자들의 생존권이 달린 문제인데, 과도한 목표 설정이 산업 생태계 붕괴와 대규모 고용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 자동차 부품사 모임인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KAICA)은 13일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논의 중인 무공해차 보급 목표에 대한 입장을 발표했다. 지난달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2035년 이후 내연차 판매를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힌 데 따른 공동 대응 차원이다. 이택성 KAICA 이사장은 이날 “1만여 개 국내 부품사 중 45.2%가 내연기관 관련 부품을 생산하고 있고, 해당 기업 종사자는 11만5000명에 달한다”며 “부품업계가 감당하기 어려운 목표를 견지할 경우 부품 산업 공급 체계의 심각한 영향과 대규모 고용 위기가 현실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기후부는 국...
기사 본문
정부, 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곧 마련 10년 내 무공해차 최대 980만대 보급할 수도 내연기관 중심 중소 부품업계 "현실 감안해야"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을 추진하면서 자동차 부품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향후 10년 안에 전기차·수소차 등 무공해차를 900만대 이상 보급해야 하는데 국내 업체 상당수가 여전히 내연기관에 머물러 있어서다. 여기에 미국의 관세 확대,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등 대외 불확실성까지 겹치며 업계 부담이 커지고 있다. 14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부품기업 중 45.2%가 내연기관 관련 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차 전환을 준비하고 있는 기업은 전체 20%에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부품기업의 95% 이상이 중소·중견기업으로 전환에 필요한 설비와 인프라를 갖추기 어렵다는 현실적 한계 때문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13일 서울 서초구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설정 관련 부품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