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지던 감귤 부산물, 친환경 자원으로 '재탄생'[녹색]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앵커] 감귤을 짜고 남은 껍질과 찌꺼기는 그동안 대부분 폐기물로 버려졌습니다. 하지만 이제 감귤 부산물이 악취와 해충을 줄이고 땅심을 키우는 친환경 자원으로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보도에 최명신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나라에선 한 해 전체 감귤 생산량의 10% 정도인 4만 톤가량의 감귤 부산물이 발생합니다. 대부분 폐기 처분되는데, 처리 비용만 해도 톤당 15만 원이 소요됩니다. 농촌진흥청이 이 부산물을 친환경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다각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감귤을 가공한 뒤 생기는 침출수, '탈리액'에는 미생물이 잘 자라는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이 성분을 살균·중화한 뒤 유용 미생물을 배양하면 악취를 줄이는 친환경 미생물제가 탄생합니다. [김진욱 / 양돈 농업인 (제주시 한경면) : 감귤 미생물 쓰고 나서 이제 악취가 저감됐고, 또 돼지 활력이 좋았고, 그다음에 이제 민원 발생이 덜해가지고 (도움됐습니다.)] 감귤 정유 성분인 '리모넨'을 이용하면 친환경 해충 유인제도 ...
기사 본문
침출수 악취 저감제, 암모니아 91%·황화수소 99%↓ 리모넨 성분 유인제, 큰검정풍뎅이 포획률 45%↑ 껍질·펄프 기반 토양개량제, 수분 보유력 50% 이상↑ [세종=뉴시스] 감귤박. (사진=농촌진흥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임소현 기자 = 감귤즙을 짠 뒤 버려지던 감귤 부산물이 악취 저감제·해충 유인제·토양 개량제로 새롭게 활용된다. 제주 지역 등에서 버려지던 감귤 폐기물이 친환경 농업 자재로 거듭나며 농가소득 증대와 환경 개선 효과가 기대된다. 농촌진흥청은 감귤 부산물을 악취 저감제, 해충 유인제, 토양 개량제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감귤 부산물 자원 순환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우리나라에서는 한 해 전체 감귤 생산량의 10% 정도(2024년 기준 4만t가량)의 부산물이 발생하지만 대부분 폐기하거나 축산 농가용 사료로 단순 활용돼 왔다. 이에 연구진은 산업체, 대학 등과 함께 감귤 부산물 활용 다각화를 목표로 부산물의 약 30%를 차지하는 침출수...
기사 본문
농진청, 자원순환 기술 개발…냄새 99%·해충 피해율 37%p ↓ 가공 후 남은 감귤 부산물./농진청 감귤즙을 짠 뒤 폐기물로 버려지던 부산물이 친환경 농업 자재로 재탄생한다. 농촌진흥청은 감귤 부산물을 악취 저감제, 해충 유인제, 토양 개량제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자원 순환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우리나라에서는 한 해 전체 감귤 생산량의 10% 정도 부산물이 발생하지만, 대부분 폐기하거나 축산 농가용 사료로 단순 활용돼 왔다. 이에 연구진은 산업체, 대학 등과 함께 감귤 부산물 활용 다각화를 목표로 부산물의 약 30%를 차지하는 침출수(탈리액)는 악취 저감제와 해충 유인제로, 약 70%를 차지하는 고체 상태의 껍질과 펄프(과육)는 토양 개량제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악취 저감제를 양돈 분뇨 저장조 2곳에 투입한 결과 주요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와 황화수소가 각각 91%, 99% 감소함을 확인했다. 이는 기존 유용 미생물 처리 때와 비슷한 수준이나 감귤 부산물...
기사 본문
농촌진흥청, 버려지는 감귤 부산물 활용 기술 개발 감귤박 (농촌진흥청 제공) 2025.11.6 /뉴스1 (세종=뉴스1) 김승준 기자 = 감귤즙을 짠 뒤 폐기물로 버려지던 부산물이 친환경 농업 자재로 재탄생한다. 농촌진흥청은 감귤 부산물을 악취 저감제, 해충 유인제, 토양 개량제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감귤 부산물 자원 순환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우리나라에서는 한 해 전체 감귤 생산량의 10% 정도의 부산물이 발생하지만, 대부분 폐기하거나 축산 농가용 사료로 단순히 활용됐다. 이에 연구진은 산업체, 대학 등과 함께 감귤 부산물 활용 다각화를 목표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부산물의 약 30%를 차지하는 침출수(탈리액)는 악취 저감제와 해충 유인제로, 약 70%를 차지하는 고체 상태의 껍질과 펄프(과육)는 토양 개량제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악취 저감 미생물제는 감귤 부산물 침출수(탈리액)를 살균, 중화한 뒤, 유산균, 고초균, 효모 등 유용 미생물을 배양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