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가 2주 연속 상승세 꺾여…‘한강벨트’ 둔화폭 컸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값 동향 경기 일부 지역에선 ‘풍선 효과’ 서울 강남구 개포동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아파트. 시공사업단 제공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상승세가 2주 연속 둔화했다. 다만 규제를 피한 일부 지역에서는 상승폭이 확대되는 등 풍선효과도 일부 관측되고 있다. 6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값 동향’을 보면, 11월 첫째 주(11월3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19% 상승했다. 이는 직전 주(0.23%) 대비 0.04%포인트 축소된 것으로, 10·15 대책 시행 이후 2주째 상승세 둔화가 이어졌다. 성동구(0.37%→0.29%), 광진구(0.20%→0.15%), 마포구(0.32%→0.23%), 영등포구(0.37%→0.26%) 등 한강벨트 권역의 상승폭 둔화폭이 컸고 송파구(0.48%→0.43%), 동작구(...
기사 본문
서울·경기 등 고강도 규제 매수 위축·상승세도 꺾여 갭투자 막히자, 지방으로 10·15 부동산대책으로 수도권 대출규제와 실거주 의무가 강화되자 매수자들이 지방으로 움직이고 있다. 고강도 규제로 서울 부동산 시장 상승세는 한풀 꺾였지만 지방 대장지역들을 중심으로 '풍선효과'가 현실화하면서 지방 집값은 약 2년 만에 처음으로 상승세로 돌아섰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첫째주(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방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오르며 전주(0.00%) 대비 상승전환했다. 2023년 11월 넷째주 하락전환한 이후 100주 만의 상승전환이다. 정부가 지난달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면서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가 어려워지자 투자수요가 지방으로 이동한 탓으로 분석된다. 반면 서울은 0.19% 상승하며 전주(0.23%)보다 상승폭을 줄였다. 자치구별로는 동작구(0.43%)가 사당·상도동 구축 위주로, 송파구(0...
기사 본문
오름세 꺾였지만 주요지역 상승률 여전…분당 0.59%·송파 0.43% 등 규제 피한 구리 상승률 5년4개월만에 최대…화성은 1년2개월만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상승세가 2주 연속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규제 강화와 더불어 토허구역의 2년 실거주 의무 부과로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까지 차단되면서 거래 위축과 관망세가 뚜렷해진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매물 감소와 맞물려 가격 상승 자체는 지속되는 양상이며, 규제를 피한 일부 지역에서는 상승폭이 크게 확대되는 등 풍선효과도 관측되고 있다.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첫째 주(11월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19% 상승했다. 상승폭은 직전 주(0.2...
기사 본문
오름세 꺾였지만 주요지역 상승률 여전…분당 0.59%·송파 0.43% 등 규제 피한 구리 상승률 5년4개월만에 최대…화성은 1년2개월만 ▲ 지난 3일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이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2주 연속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규제 강화와 토지거래허가구역의 2년 실거주 의무로 갭투자(전세 끼고 주택 구입)가 차단되면서 거래 위축과 관망세가 확산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매물 감소로 인해 가격 상승 흐름은 이어지고 있으며, 규제를 피한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상승폭이 확대되는 '풍선효과'가 관측됐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첫째 주(11월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보다 0.19% 상승했다. 상승폭은 전주(0.23%) 대비 0.04%p 축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