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오름폭 0.19%로 둔화...경기 구리·화성 상승세↑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10·15 부동산 대책 여파로 거래 전반이 급격히 위축된 가운데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2주 연속 축소됐습니다. 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첫째 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1주 전보다 0.19% 올랐습니다. 상승 폭은 전주 대비 0.04%p 축소됐으며, 25개 자치구 가운데 21개 지역에서 오름폭이 주춤했습니다. 성동구가 0.37%에서 0.29%, 마포구가 0.32%에서 0.23%, 광진구는 0.2%에서 0.15% 등으로 상승세가 둔화했습니다. 다만 송파구는 0.48%에서 0.43%, 동작구 0.44%→0.43% 등 일부 지역은 오름세는 둔화했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경기 일부 지역에서는 풍선효과도 감지됐습니다. 서울 동부권과 인접한 구리시가 0.18%에서 0.52%, 동탄을 끼고 있는 경기 화성시가 0.13%에서 0.26%로 오르는 등 규제를 피한 경기도권 일부 지역에선 상승세가 커졌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1...
기사 본문
오름세 꺾였지만 주요지역 상승률 여전…분당 0.59%·송파 0.43% 등 규제 피한 구리 상승률 5년4개월만에 최대…화성은 1년2개월만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상승세가 2주 연속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규제 강화와 더불어 토허구역의 2년 실거주 의무 부과로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까지 차단되면서 거래 위축과 관망세가 뚜렷해진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매물 감소와 맞물려 가격 상승 자체는 지속되는 양상이며, 규제를 피한 일부 지역에서는 상승폭이 크게 확대되는 등 풍선효과도 관측되고 있다.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첫째 주(11월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19% 상승했다. 상승폭은 직전 주(0.2...
기사 본문
오름세 꺾였지만 주요지역 상승률 여전…분당 0.59%·송파 0.43% 등 규제 피한 구리 상승률 5년4개월만에 최대…화성은 1년2개월만 ▲ 지난 3일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이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2주 연속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규제 강화와 토지거래허가구역의 2년 실거주 의무로 갭투자(전세 끼고 주택 구입)가 차단되면서 거래 위축과 관망세가 확산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매물 감소로 인해 가격 상승 흐름은 이어지고 있으며, 규제를 피한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상승폭이 확대되는 '풍선효과'가 관측됐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첫째 주(11월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보다 0.19% 상승했다. 상승폭은 전주(0.23%) 대비 0.04%p 축소됐다....
기사 본문
━ 부동산원 주간 가격동향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수도권 아파트값 오름세가 한풀 꺾였다. 다만 전세 물건 부족 등으로 전셋값은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첫째 주(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19% 올라 지난주 상승폭(0.23%)보다 둔화했다. 6주 전인 9월22일 상승률(0.19%) 수준이다.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이후 강화된 대출규제와 실거주 의무 부과 등에 따라 시장이 냉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성동(0.37%→0.29%)·광진(0.20%→0.15%)·마포(0.32%→0.23%)·영등포(0.37%→0.26%)구 등 이전까지 비규제지역이었던 한강벨트 권역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축소됐다. 다만 송파(0.48%→0.43%)·동작(0.44%→0.43%)·강동(0.42%→0.35%)·양천(0.38%→0.34%) 등 재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