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성장 둔화 속 낮은 실업률…청년 구직 포기·채용 플랫폼 확산 영향"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쉬었음' 청년·매칭효율성 개선 없었다면 실업률 최대 0.9%p↑ "성장 둔화로 양질 일자리 창출 줄고 청년층 근로의욕 꺾여" 서울의 한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구직자가 일자리 게시판을 보는 모습. 2025.8.18/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세종=뉴스1) 심서현 기자 = 경기 둔화에도 2%대의 낮은 실업률이 이어지는 현상은 20대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탈과 디지털 구인·구직 플랫폼 확산으로 인한 '매칭효율성' 증가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6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최근 저조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실업률과 경제 성장률 간 괴리를 노동시장의 구조 변화 관점에서 분석했다. 특히 두 지표 간 괴리의 주요 원인으로 구직 포기자 증가와 매칭효율성 개선을 관찰했다. KDI는 20대 구직 포기자의 비중이 2005~2015년 추세로 상승했을 경우 실제 실업률은 현재보다 0.4%...
기사 본문
KDI,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 발표 구직 포기, 디지털 구직 플랫폼 확산 산업수요 부합한 인적자원 육성 ‘쉬었음’ 분석해 장기비구직자 복귀도와야 경기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소상공인+5070 일자리 박람회에서 중장년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뉴시스 [데일리안 = 김지현 기자] 경제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실업률이 낮은 수준에 머무르는 괴리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쉬었음’ 등 구직 포기, 디지털 구인구직 플랫폼 확산에 따른 매칭효율성 개선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노동시장 구조에 변화가 따르면서 전문가는 구직포기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산업수요에 부합하는 인적자원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진단한다. 청년층 노동시장 참여 의지 약화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이 6일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한국개발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이 6일 발표한 ‘최근 낮은 실업...
기사 본문
20대 ‘쉬었음’ 증가가 실업률 낮춰 구인구직 매칭 개선도 하락 요인 최근 낮아진 실업률이 경기 회복이 아닌 청년층의 구직 포기 증가 때문이라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특히 최근 급증한 청년층 ‘쉬었음’ 인구가 고용지표를 왜곡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6일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최근 저조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실업률이 2%대 중후반의 낮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며 “실업률과 경기 상황의 괴리는 주로 구직 포기자 증가와 매칭효율성 개선 등 두 가지 요인에서 발생한다”고 진단했다. ‘쉬었음’ 인구는 별다른 구직 활동을 하지 않은 채 경제활동에서 이탈한 집단으로, 실업자 통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인구가 늘어나도 실업률은 오히려 떨어지는 역설이 일어날 수 있다. 실제로 20대 쉬었음이 급증하기 시작한 2015년 3.6%였던 실업률은 올해 7월 2.7%로 하락했다. 20대 ‘쉬었음’ 인구는 이 기간 꾸준히 늘어 올해 ...
기사 본문
애초 구직활동 해야 실업자로 분류…아예 구직 포기하면 통계상 실업자에서 빠져 별다른 사유 없이 취업도, 구직도 하지 않은 '쉬었음' 인구 10년새 급증 특히 20대 생산가능인구 중 쉬었음 비중은 3.6%에서 7.2%로 2배나 늘어 "낮은 실업률=고용 여건 개선 아냐…양질 일자리 창출 노력하고, '쉬었음' 인구 심층 분석 필요" 연합뉴스 최근 실업률이 하락한 까닭에는 일자리를 찾을 의욕을 아예 잃은 청년들이 늘은 탓도 있는 만큼, 실업률 지표가 하락했다는 사실만으로 고용 여건이 개선됐다고 말할 수 없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지적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는 6일 발표한 KDI 현안분석 보고서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에서 최근 저조한 성장세에도 실업률은 낮은 수준에 머물러 경기와 실업률 간의 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직전 3%대 중후반에 있던 한국의 실업률은 코로나19 충격이 가시기 시작한 2021년부터 빠르게 하락해 2% 중후반대 수준을 유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