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다문화 혼인 ‘2.1만건’…출생아 수 12년 만에 늘어

2025년 11월 0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8개
수집 시간: 2025-11-07 01:35:2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데일리안 2025-11-06 12:17:12 oid: 119, aid: 0003021850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202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다문화 혼인 2만1450건…1019건↑ 출생아 1만3416명…10.4% 증가 서울 마포구 아현동 웨딩거리 한 웨딩드레스 판매점 앞을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뉴시스 [데일리안 = 김지현 기자] 지난해 다문화 혼인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난 출생아 수도 1만3000명으로 집계되며 12년 만에 반등했다. 국가데이터처가 6일 발표한 ‘202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혼인은 2만1450건으로 전년(2만431건)보다 1019건(5.0%) 증가했다. 전체 혼인에서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9.6%로 1년 전과 비교해 1.0%포인트(p) 감소했다. 유형별로 보면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와의 혼인은 71.2%(1만5271건)로 가장 많았고 한국인 아내와 외국인 남편과의 혼인은 18.2%(3898건)에 머물렀다. 귀화자와의 혼인은 10.6%(2281건)로 집계됐다. 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 연령 중 ...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1-06 12:01:20 oid: 079, aid: 0004083134
기사 본문

코로나19 마무리되며 최근 3년간 급증한 다문화 혼인…지난해는 혼인 증가세 다소 둔화 이들이 낳은 첫째아 태어나기 시작해…다문화 출생아 증가율, 역대 2위 기록 연합뉴스 코로나19 엔데믹으로 다문화 혼인이 빠르게 회복되면서, 이들이 낳은 다문화 출생아가 12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서고, 증가폭도 13년 만에 가장 크게 늘었다. 국가데이터처가 6일 발표한 '202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혼인은 2만 1450건으로, 전년보다 1019건(5.0%) 증가했다. 다만 지난해 전체 혼인 건수가 14.8%나 증가했기 때문에 전체 혼인 가운데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1.0%p 떨어진 9.6%로, 10% 아래로 내려왔다. 다문화 혼인 건수 및 비중 추이. 국가데이터처 제공 이에 따라 다문화 혼인은 3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앞서 코로나19로 해외 교류가 제한돼 크게 줄었던 다문화 혼인은 코로나19가 잠잠해지면서 2022년 25.1%, 2023년 17.2% 급증하다...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06 23:47:08 oid: 009, aid: 0005586103
기사 본문

작년 다문화 출생 1.3만명 12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 한국女·미국男 혼인 등 국제결혼 확 늘어난 영향 [챗GPT] 지난해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난 출생아 수가 12년 만에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다문화 혼인이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이다. 6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가정 출생아는 1만3416명으로 전년 대비 1266명(10.4%) 늘었다. 다문화 가정 출생아 수는 2012년 이후 줄곧 감소하다가 12년 만에 반등했다. 증가 규모는 2011년 1702명 이후로 13년 만에 가장 컸고, 증가율로는 2008년 통계를 작성한 이래 두 번째로 높았다. 지난해 전체 출생아 수는 23만8300명으로 전년 대비 3.6% 증가했다. 2015년 이후 9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었다. 다문화 가정 출생아 수 증가율(10.4%)이 전체 출생아 수 증가율(3.6%)을 앞지르며 전체 출생아 수 증가율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다문화...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6 12:00:18 oid: 001, aid: 0015727701
기사 본문

혼인, 코로나 이후 3년 연속 증가…2019년 이후 최대치 평균 男 37.1세·女 29.7세 첫 결혼…母 평균 출산 32.5세 대한민국 다문화 페스타서 공연하는 우리다문화어린이합창단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25일 서울 남산 백범광장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다문화 페스타에서 우리다문화어린이합창단이 개막공연하고 있다.2025.10.25 nowwego@yna.co.kr (세종=연합뉴스) 안채원 기자 = 코로나19 이후 3년 연속 혼인이 늘어나면서 작년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난 출생아 수가 12년 만에 증가했다. 다문화 혼인 건수는 2019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았고, 이혼 건수는 1년 만에 다시 감소했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는 6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2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를 발표했다. 다문화 출생아 비중 3년 연속 증가세 작년 다문화 출생아는 1만3천416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10.4%(1천266명) 증가했다. 다문화 출생아 수가 증가한 것은 2...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