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2주 연속 ‘주춤’…구리·기흥 ‘풍선효과’ 뚜렷

2025년 11월 0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6개
수집 시간: 2025-11-07 01:16:05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경향신문 2025-11-06 20:47:02 oid: 032, aid: 0003407172
기사 본문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서울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거래절벽’ 속에 2주 연속 주춤했다.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 경기 구리, 용인 기흥, 화성, 남양주 등은 ‘풍선효과’가 전주보다 뚜렷해졌다. 한국부동산원이 6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11월 첫째주(3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전주 대비 0.19% 올랐다. 전주(0.23%) 대비 상승폭이 0.04%포인트 줄어든 것이다. 서울 아파트값은 40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상승폭은 10·15 대책 이후 2주 연속 둔화했다. 서울 자치구 중 전주 대비 상승폭 축소가 큰 곳은 영등포(0.37%→0.26%), 마포구(0.32%→0.23%), 성동구(0.37%→0.29%) 등 이른바 ‘한강벨트’로 불리는 지역들이었다. 이밖에 송파구(0.48%→0.43%), 동작구(0.44%→0.43%), 금천구(0.05%→0.04%), 노원구(0.05%→0.03%) 등 대부분의 지역이 상승폭이 줄었다. 다만 중랑구(0.02%...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07 00:02:00 oid: 025, aid: 0003481009
기사 본문

━ 부동산원 주간 가격동향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수도권 아파트값 오름세가 한풀 꺾였다. 다만 전세 물건 부족 등으로 전셋값은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첫째 주(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19% 올라 지난주 상승폭(0.23%)보다 둔화했다. 6주 전인 9월22일 상승률(0.19%) 수준이다.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이후 강화된 대출규제와 실거주 의무 부과 등에 따라 시장이 냉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성동(0.37%→0.29%)·광진(0.20%→0.15%)·마포(0.32%→0.23%)·영등포(0.37%→0.26%)구 등 이전까지 비규제지역이었던 한강벨트 권역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축소됐다. 다만 송파(0.48%→0.43%)·동작(0.44%→0.43%)·강동(0.42%→0.35%)·양천(0.38%→0.34%) 등 재건축...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6 14:00:02 oid: 001, aid: 0015727981
기사 본문

오름세 꺾였지만 주요지역 상승률 여전…분당 0.59%·송파 0.43% 등 규제 피한 구리 상승률 5년4개월만에 최대…화성은 1년2개월만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상승세가 2주 연속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규제 강화와 더불어 토허구역의 2년 실거주 의무 부과로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까지 차단되면서 거래 위축과 관망세가 뚜렷해진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매물 감소와 맞물려 가격 상승 자체는 지속되는 양상이며, 규제를 피한 일부 지역에서는 상승폭이 크게 확대되는 등 풍선효과도 관측되고 있다.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첫째 주(11월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19% 상승했다. 상승폭은 직전 주(0.2...

전체 기사 읽기

강원도민일보 2025-11-06 14:22:19 oid: 654, aid: 0000150074
기사 본문

오름세 꺾였지만 주요지역 상승률 여전…분당 0.59%·송파 0.43% 등 규제 피한 구리 상승률 5년4개월만에 최대…화성은 1년2개월만 ▲ 지난 3일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이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2주 연속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규제 강화와 토지거래허가구역의 2년 실거주 의무로 갭투자(전세 끼고 주택 구입)가 차단되면서 거래 위축과 관망세가 확산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매물 감소로 인해 가격 상승 흐름은 이어지고 있으며, 규제를 피한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상승폭이 확대되는 '풍선효과'가 관측됐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첫째 주(11월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보다 0.19% 상승했다. 상승폭은 전주(0.23%) 대비 0.04%p 축소됐다....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07 07:05:09 oid: 011, aid: 0004553054
기사 본문

■ 토허구역 확대지정 풍선효과 경기 비규제 지역 매매수요 활활 부산·대구 등 지방도 상승세 뚜렷 서울 가격 상승폭은 3주연속 줄어 [서울경제]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적용이 제외된 수도권 내 지역과 지방 핵심지에서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거세다. 풍선효과 발생을 차단하기 위해 정부가 서울 전역 및 경기 12곳 등 수도권 37곳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지만 비규제 지역으로 수요가 옮겨붙고 있기 때문이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첫째 주(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10·15 규제를 빗겨간 수도권 주요 지역에서 아파트 매매가격이 급등했다. 비규제 지역 중 가장 상승 폭이 컸던 경기도 구리는 10·15 규제 이후 3주 연속 집값이 올라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0.52%로 집계됐다. 전주(0.18%) 대비 0.34%포인트나 오른 수치다. 실제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e편한세상인창어반포레’ 전용면적 8...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06 14:00:10 oid: 018, aid: 0006157576
기사 본문

부동산원 11월 첫째 주 아파트 가격동향 10·15 대책 이후 거래 위축…매수세 급감 마포·용산·강남3구 상승폭 절반 수준 감소 성남·과천 등 규제지역 상승세 둔화 뚜렷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10·15 대책 이후 2주 연속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량이 줄고 매수 문의가 줄어들며 관망세가 짙어지는 가운데, 수도권에서는 구리·화성·오산 등 비규제지역에서 오름 폭이 커지는 ‘풍선 효과’가 포착됐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사진=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자료=한국부동산원)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첫째 주(3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9% 상승했다. 10월 셋째 주 0.50% 오르며 부동산원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던 데서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던 10월 넷째 주(0.23%) 대비 오름 폭을 줄였다. 10·15 대책 이후 서울 전역에서 거래량이 줄고 매수 문의가 감소하는 가운데 재건축 단지와 주요 입지 중심으...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06 17:46:46 oid: 025, aid: 0003480938
기사 본문

10ㆍ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수도권 아파트값 오름세가 한풀 꺾였다. 다만 전세 물건 부족 등으로 전셋값은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첫째 주(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19% 올라 지난주 상승폭(0.23%)보다 둔화했다. 6주 전인 9월22일 상승률(0.19%) 수준이다.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ㆍ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이후 강화된 대출규제와 실거주 의무 부과 등에 따라 시장이 냉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성동(0.37%→0.29%)·광진(0.20%→0.15%)·마포(0.32%→0.23%)·영등포(0.37%→0.26%)구 등 이전까지 비규제지역이었던 한강벨트 권역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축소됐다. 다만 송파(0.48%→0.43%)·동작(0.44%→0.43%)·강동(0.42%→0.35%)·양천(0.38%→0.34%) 등 재건축 단지가 많은 지역은 상대적...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1-06 14:29:59 oid: 029, aid: 0002991978
기사 본문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대책 이후 부동산 시장 관망세가 지속되며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소폭 감소했다. 6일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11월 첫째 주(3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전주(0.23%) 대비 0.04%포인트 하락한 0.19%를 기록했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중심으로 상승거래가 체결됐지만 매수문의와 거래가 감소하며 시장 관망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성동구(0.37%→0.29%), 광진구(0.20%→0.15%), 마포구(0.32%→0.23%), 영등포구(0.37%→0.26%) 등 한강벨트 중심으로 상승폭 축소가 뚜렷했다. 송파구(0.48%→0.43%)와 동작구(0.44%→0.43%), 강동구(0.42%→0.35%), 양천구(0.38%→0.34%) 등도 상승폭은 줄었지만 비교적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강북구(0.01%→0.01%), 도봉구(0.02%→0.02%), 노...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