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다문화 출생아 수 10% 증가… 12년 만에 반등

2025년 11월 0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8개
수집 시간: 2025-11-07 00:37:2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국민일보 2025-11-07 00:14:09 oid: 005, aid: 0001812863
기사 본문

다문화 혼인 늘고 셋째 출산 많아 국내 출생아 증가세 전환에 기여 지난해 다문화 가구에서 태어난 출생아가 12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증가율도 전체 출생아 수 증가율의 3배 가까이 돼 출생아 수 반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국가데이터처가 6일 발표한 ‘202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를 보면 지난해 다문화 출생아는 1만3416명으로 전년보다 10.4%(1266명) 늘었다. 다문화 가구 출생아는 2012년(2만2908명) 이후 줄곧 감소하다 지난해 증가세로 돌아섰다. 증가 규모도 2011년(1702명) 이후 가장 많다. 이는 지난해 국내 전체 출생아 수 증가율(3.6%)의 3배 정도에 해당한다. 다문화 가구는 부모 중 한 명이 외국인·귀화자인 경우, 부모 모두 귀화자인 경우를 뜻한다. 이에 따라 지난해 국내 출생아 수가 9년 만에 반등한 데에는 다문화 가구 출생아 수 증가 영향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가데이터처 관계자는 “전체에서 다문화 출생아 비중(5.6%)이 큰 것은...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06 23:47:08 oid: 009, aid: 0005586103
기사 본문

작년 다문화 출생 1.3만명 12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 한국女·미국男 혼인 등 국제결혼 확 늘어난 영향 [챗GPT] 지난해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난 출생아 수가 12년 만에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다문화 혼인이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이다. 6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가정 출생아는 1만3416명으로 전년 대비 1266명(10.4%) 늘었다. 다문화 가정 출생아 수는 2012년 이후 줄곧 감소하다가 12년 만에 반등했다. 증가 규모는 2011년 1702명 이후로 13년 만에 가장 컸고, 증가율로는 2008년 통계를 작성한 이래 두 번째로 높았다. 지난해 전체 출생아 수는 23만8300명으로 전년 대비 3.6% 증가했다. 2015년 이후 9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었다. 다문화 가정 출생아 수 증가율(10.4%)이 전체 출생아 수 증가율(3.6%)을 앞지르며 전체 출생아 수 증가율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다문화...

전체 기사 읽기

강원일보 2025-11-07 00:08:09 oid: 087, aid: 0001153086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202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도내 다문화 출생아 수 325명 전년대비 3.5% 늘어 2019년부터 감소했던 다문화 출생 다시 증가 ◇다문화 혼인건수 및 비중 추이 자료=국가데이터처 강원지역 다문화 출생아 수가 5년 만에 증가했다. 국가데이터처가 6일 발표한 ‘202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난 출생아 수는 전년대비 3.5% 증가한 325명으로 집계됐다. 도내 다문화 출생아는 2019년부터 4년 연속으로 감소세를 이어왔다. 국가데이터처는 다문화 출생아 증가 원인을 코로나19 이후 주춤했던 다문화 혼인이 다시 증가한 영향 때문으로 분석했다. 2022년에는 도내 다문화 혼인은 전년보다 36.3% 급증하며 역대 최다 증가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지난해 도내 다문화 혼인 건수는 548건이었으며, 이는 전체(6,220건) 중 8.8%의 비중을 차지했다. 도내 부부 10쌍 중 1쌍이 다문화 부부인 셈이다. 다문화 혼인 중에서는 한국인 ...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1-06 12:01:20 oid: 079, aid: 0004083134
기사 본문

코로나19 마무리되며 최근 3년간 급증한 다문화 혼인…지난해는 혼인 증가세 다소 둔화 이들이 낳은 첫째아 태어나기 시작해…다문화 출생아 증가율, 역대 2위 기록 연합뉴스 코로나19 엔데믹으로 다문화 혼인이 빠르게 회복되면서, 이들이 낳은 다문화 출생아가 12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서고, 증가폭도 13년 만에 가장 크게 늘었다. 국가데이터처가 6일 발표한 '202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혼인은 2만 1450건으로, 전년보다 1019건(5.0%) 증가했다. 다만 지난해 전체 혼인 건수가 14.8%나 증가했기 때문에 전체 혼인 가운데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1.0%p 떨어진 9.6%로, 10% 아래로 내려왔다. 다문화 혼인 건수 및 비중 추이. 국가데이터처 제공 이에 따라 다문화 혼인은 3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앞서 코로나19로 해외 교류가 제한돼 크게 줄었던 다문화 혼인은 코로나19가 잠잠해지면서 2022년 25.1%, 2023년 17.2% 급증하다...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