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실업률 낮아져도 ‘고용 호조’ 아니다”… ‘쉬었음’ 인구 늘어난 탓

2025년 11월 07일 수집된 기사: 3개 전체 기사: 33개
수집 시간: 2025-11-07 00:27:05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11개

조선비즈 2025-11-06 12:01:15 oid: 366, aid: 0001120681
기사 본문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 보고서 “매칭 효율성 높이며 청년 노동시장 참여 유인 강화해야” 5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2025 대구·경북 채용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경기 둔화 속에서도 실업률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꼭 ‘고용 호조’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이 나왔다. 구직을 포기한 청년층이 증가하는 가운데, 구인·구직 매칭 효율성이 개선되면서 실업률이 낮게 나타나는 착시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6일 발표한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2021년 이후 경제성장률이 둔화되기 시작했음에도 실업률이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이는 것은 노동시장에 구조적 변화가 발생했음을 시사한다”며 이같이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생산가능인구 대비 ‘쉬었음’ 인구 비중은 2005년 3.2%(123만명)에서 2025년 5.6%(254만명)로 꾸준히 증가해 왔다. 특히 20대의 ‘쉬었음’ 인...

전체 기사 읽기

국민일보 2025-11-07 00:17:09 oid: 005, aid: 0001812864
기사 본문

20대 ‘쉬었음’ 증가가 실업률 낮춰 구인구직 매칭 개선도 하락 요인 최근 낮아진 실업률이 경기 회복이 아닌 청년층의 구직 포기 증가 때문이라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특히 최근 급증한 청년층 ‘쉬었음’ 인구가 고용지표를 왜곡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6일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최근 저조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실업률이 2%대 중후반의 낮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며 “실업률과 경기 상황의 괴리는 주로 구직 포기자 증가와 매칭효율성 개선 등 두 가지 요인에서 발생한다”고 진단했다. ‘쉬었음’ 인구는 별다른 구직 활동을 하지 않은 채 경제활동에서 이탈한 집단으로, 실업자 통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인구가 늘어나도 실업률은 오히려 떨어지는 역설이 일어날 수 있다. 실제로 20대 쉬었음이 급증하기 시작한 2015년 3.6%였던 실업률은 올해 7월 2.7%로 하락했다. 20대 ‘쉬었음’ 인구는 이 기간 꾸준히 늘어 올해 ...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1-06 12:03:10 oid: 119, aid: 0003021846
기사 본문

KDI,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 발표 구직 포기, 디지털 구직 플랫폼 확산 산업수요 부합한 인적자원 육성 ‘쉬었음’ 분석해 장기비구직자 복귀도와야 경기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소상공인+5070 일자리 박람회에서 중장년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뉴시스 [데일리안 = 김지현 기자] 경제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실업률이 낮은 수준에 머무르는 괴리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쉬었음’ 등 구직 포기, 디지털 구인구직 플랫폼 확산에 따른 매칭효율성 개선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노동시장 구조에 변화가 따르면서 전문가는 구직포기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산업수요에 부합하는 인적자원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진단한다. 청년층 노동시장 참여 의지 약화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이 6일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한국개발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이 6일 발표한 ‘최근 낮은 실업...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06 15:21:07 oid: 018, aid: 0006157662
기사 본문

9월 실업률 2.1%…구직포기 인구 역대최다인 264만 구직포기한 20대 비중 3.6%→7.2% 껑충 "원하는 일자리 없어" 응답자 30%→34% "노동경직성 심화 속 첫 직장 중요…산업 수요 맞춤형 교육 필요" [세종=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실업률이 2%대를 유지하면서 완전고용에 가까운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암울한 현실을 마주하게 된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업률 통계에는 잡히지 않는 구직 포기자가 늘어나며 통계를 왜곡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향후 한국 경제의 미래를 책임질 20대의 구직 포기자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국가경쟁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마저 커진다. 전문가들은 20대 눈높이를 충족할 양질의 일자리 제공과 함께 산업 현장 수요에 맞는 교육을 병행하는 등 제도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지난 10월 21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 마곡에서 열린 ‘2025 상생협력 채용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채용공고를 살펴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쉬었음’ 비...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1-07 03:04:40 oid: 020, aid: 0003672724
기사 본문

KDI “20대 ‘쉬었음’ 10년 전 같다면 올해 실업률 2.7% 아닌 3.4% 추산” 동아 DB 최근 저성장 기조에도 2%대의 낮은 실업률이 나타나는 건 구직을 포기한 20대 청년층이 늘어난 영향이 크다는 국책 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최근 10년간 20대 ‘쉬었음’ 청년이 급증하지 않았더라면 실업률은 최대 0.7%포인트 높을 것으로 추산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6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최근 몇 년간 경제 성장이 둔화했는데 국내 실업률은 2022년부터 2%대 후반 수준에 머물고 있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지연 KDI 연구위원은 경기와 실업률이 괴리된 건 구직을 포기한 사람이 늘고, 구인-구직 간 매칭 효율성이 개선됐기 때문이라고 판단했다.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 가운데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의 비중은 2005년 3.2%(123만 명)에서 올해 5.6%(254만 명)로 뛰었다. 특히 이 기간 ...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1-06 12:01:24 oid: 079, aid: 0004083135
기사 본문

애초 구직활동 해야 실업자로 분류…아예 구직 포기하면 통계상 실업자에서 빠져 별다른 사유 없이 취업도, 구직도 하지 않은 '쉬었음' 인구 10년새 급증 특히 20대 생산가능인구 중 쉬었음 비중은 3.6%에서 7.2%로 2배나 늘어 "낮은 실업률=고용 여건 개선 아냐…양질 일자리 창출 노력하고, '쉬었음' 인구 심층 분석 필요" 연합뉴스 최근 실업률이 하락한 까닭에는 일자리를 찾을 의욕을 아예 잃은 청년들이 늘은 탓도 있는 만큼, 실업률 지표가 하락했다는 사실만으로 고용 여건이 개선됐다고 말할 수 없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지적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는 6일 발표한 KDI 현안분석 보고서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에서 최근 저조한 성장세에도 실업률은 낮은 수준에 머물러 경기와 실업률 간의 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직전 3%대 중후반에 있던 한국의 실업률은 코로나19 충격이 가시기 시작한 2021년부터 빠르게 하락해 2% 중후반대 수준을 유지하...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1-06 12:01:10 oid: 023, aid: 0003939313
기사 본문

최근 10년간 실업률 하락 폭 요인 중 최대 71%가 20대 ‘쉬었음’ 인구 증가 영향 코로나 팬데믹 이전 3%대 중후반대였던 실업률이 2022년 이후 2% 중후반대로 낮아진 현상의 상당 부분이 청년층의 구직 포기 때문이라는 국책 연구 기관의 분석 결과가 6일 나왔다.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해 일하지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20대 ‘쉬었음’ 청년이 늘고, 이들이 실업률을 계산하는 경제활동인구에서 아예 빠지면서 역설적으로 실업률이 하락했다는 것이다. KDI(한국개발연구원)는 6일 발간한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낮은 실업률을 반드시 고용 개선의 신호로 볼 수는 없다”고 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로고. 청년 구직 포기, 실업률 하락 요인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2015~2019년 우리나라 실업률은 3.6~3.8% 수준이었고, 코로나가 유행한 2020년과 2021년은 각각 4.0%, 3.7%에 달했다. 그러나 실업률은 202...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6 12:00:19 oid: 001, aid: 0015727704
기사 본문

"20대 쉬었음 10년 전 그대로면 올해 실업률 2.7% 아닌 3.4%" "기술·인구구조 변화에 일자리 매칭효율성 증가도 실업률 하락 요인" 대학교에 붙은 채용 정보 안내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고용시장에서 이탈한 20대 '쉬었음' 계층 증가가 역설적으로 최근 실업률 하락으로 이어졌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최근 실업률이 낮은 현상을 긍정적으로만 볼 수는 없다는 뜻이다. 다만 디지털 구인구직 플랫폼 확산 등으로 구직자가 빈 일자리를 더 수월하게 찾을 수 있는 일자리 '매칭효율성'이 개선된 점도 실업률 하락에 작지 않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4일 현안 분석 보고서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김지연 연구위원)에서 경기 둔화에도 실업률이 하락하는 이면을 분석했다. 보고서는 20대 쉬었음이 가파르게 증가하기 시작한 2015년과 올해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실업률은 2015년 3.6%에서 올해(7월 기준...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1-06 12:01:18 oid: 014, aid: 0005430652
기사 본문

KDI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 캡처 [파이낸셜뉴스]최근 2%대 낮은 실업률 원인에는 구직을 포기한 청년이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실업률 계산 방식은 경제활동인구 대비 실업자 수인데, ‘쉬었음’ 20대는 통계상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이다. 20대는 향후 구직 의향이 있어 잠재적 실업자로 볼 수 있지만 정작 통계에는 포함되지 않는 것이다. 온라인 구인구직 플랫폼에 따라 인력매칭 기술이 발달한 점도 실업률을 낮춘 이유로 꼽힌다.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을 발표했다. 최근 저조한 성장세에도 실업률이 낮은 이유를 △구직 포기를 뜻하는 20대 ‘쉬었음’ 증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일자리 매칭효율성 증가로 분석했다. 실제 코로나19 위기 이전 3%대 중후반에서 안정적 흐름을 보였던 실업률은 2021년 들어 빠르게 하락한 후 2%대 중후반을 유지하고 있다. 2021년 이후 경제성장률 둔화에도 실업률이 낮...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1-06 12:09:10 oid: 374, aid: 0000473248
기사 본문

[지난 2일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하반기 채용박람회에서 학생들이 참여 기업 명단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고용시장에서 이탈한 20대 '쉬었음' 계층 증가가 역설적으로 최근 실업률 하락으로 이어졌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최근 실업률이 낮은 현상을 긍정적으로만 볼 수는 없다는 뜻입니다. 다만 디지털 구인구직 플랫폼 확산 등으로 구직자가 빈 일자리를 더 수월하게 찾을 수 있는 일자리 '매칭효율성'이 개선된 점도 실업률 하락에 작지 않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오늘(6일) 현안 분석 보고서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김지연 연구위원)에서 경기 둔화에도 실업률이 하락하는 이면을 분석했습니다. 보고서는 20대 쉬었음이 가파르게 증가하기 시작한 2015년과 올해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실업률은 2015년 3.6%에서 올해(7월 기준)에는 2.7%로 하락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대 쉬었음 인구 비중이 2015년 수준인 ...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06 12:00:00 oid: 003, aid: 0013584983
기사 본문

KDI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 현안분석 "20대 '쉬었음' 늘자 실업률 줄어…10년간 하락분 71% 기여" "구인구직 플랫폼 등 매칭효율성 증가도 실업률 끌어내려"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16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마곡에서 열린 2025 항공산업 잡 페어에서 취업 준비생들이 채용 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2025.09.16. yesphoto@newsis.com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낮은 실업률이 지속된 배경에는 20대의 '쉬었음' 인구 증가와 구인·구직 매칭효율성 개선이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6일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 현안분석에서 "20대의 구직 포기 확대로 통계상 실업자가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났고, 동시에 디지털 구인·구직 플랫폼 확산으로 매칭효율성도 개선됐다. 두 요인을 합치면 최근 10년간 실업률 하락폭의 약 6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