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가계대출 증가폭 전월 1.1조에 그쳐…3월 이후 최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6·27 대책' 영향…전월 23% 수준 은행권 가계대출 2조 반 토막 저축은행 등 2금융권도 9000억 감소 [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지난달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1조원 가량 증가하는 데 그쳤다. 증가 폭이 전달의 4분의 1 수준이다. ‘6·27 대책’ 영향이 시차를 두고 나타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스1)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6일 낸 ‘9월 중 가계대출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가계대출 잔액은 1조1000억원 증가했다. 전월(4조7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대폭 축소된 것으로 지난 3월(7000억원) 이후 최소 기록이다. 1년 전(5조4000억원)과 비교하면 증가 폭이 5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 폭이 3조6000억원으로 전월(5조1000억원) 대비 1조5000억원 급감했으며,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2조4000억원 줄며 전달(4000억원)보다 감소 폭이 확대됐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
기사 본문
9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 폭 줄었지만 5대 시중은행 10월 들어 벌써 1.6조 ↑ "2분기 아파트 투자 탓에 가계 여윳돈 줄어" 15일 오후 서울 마포구 부동산 밀집 상가에 매물 안내문이 텅 비어 있다. 뉴시스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폭이 전월 대비 4분의 1 수준 으로 줄었다. 6·27 부동산 대책의 약효가 시차를 두고 나타난 것이다. 하지만 수도권 지역 패닉바잉(혼돈+매수) 수요가 몰린 여파로 이달 가계대출이 벌써 9월 한 달간보다 더 큰 폭으로 늘며, 건전성 불안이 다시 커지고 있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170조2,000억 원으로 전월보다 2조 원 늘었다. 전월 증가 폭(4조1,000억 원)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전 금융권으로 보면 감소세는 더 가파르다. 이날 금융위원회가 낸 '9월 중 가계대출 동향'을 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1조1,000억 원 늘어 전월(4조7,000억 원) 대...
기사 본문
부동산 대출규제 강화 첫날인 16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은행에서 시민들이 대출 상담을 받고 있다. 2025.10.16 뉴스1 “기존에 받은 대출이 승인 안 되는 건 아닌가요?” 대출 한도를 2억 원까지 축소하는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16일 시작된 가운데 시중은행들에는 강화된 대출 규제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A 은행 여의도 지점 관계자는 “어떤 고객은 대출을 받아 이사가려고 계획을 세웠는데 이제 힘들어졌다는 푸념을 쏟아냈다”고 전했다. 은행권에 따르면 대출 수요자들은 이미 추석 연휴 전인 지난달 초중순부터 대출 신청을 서두른 것으로 보인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 따르면 대책 시작 하루 전인 15일 가계부채(주택담보·전세·신용대출 등) 누적액은 765조7559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말(764조949억 원) 대비 1조6609억 원 증가했다. 주담대 실적이 신청 뒤 보름에서 한 달 여 뒤 통계에 반영되는 점을 고려하면 추석 연휴 전인 지난달 ...
기사 본문
6·27 대책 후 9월 가계대출 전달 4분의 1 집값 잡기 위해 석 달 만에 초강력 규제 스트레스 금리 하한 1.5→3%, 대출금 10% 안팎 감소 주요 시중은행 이미 가계대출 목표치 초과 주담대 위험가중치 상향 내년 1월로 앞당겨…연 27조 줄어 [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대출 시장에 그야말로 ‘빙하기’가 찾아왔다. 수도권 집값 상승세를 진정시키기 위해 정부가 연이어 초강력 대출 규제를 내놓으면서다. ‘6·27 대책’ 영향으로 지난달 가계대출 증가 폭이 4분의 1로 줄었지만 연말을 앞두고 대출 문은 더 좁아질 전망이다.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스1)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가계대출 잔액은 1조1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증가 폭이 전달(4조7000억원)의 4분의 1 수준으로 지난 3월(7000억원) 이후 가장 적은 규모다. 1년 전(5조4000억원)과 비교하면 증가 폭이 5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