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대출도 DSR 묶여… 수도권 전세시장 ‘진입장벽’ 높아진다

2025년 10월 1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54개
수집 시간: 2025-10-16 17:56:19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이데일리 2025-10-15 16:47:08 oid: 018, aid: 0006138840
기사 본문

29일부터 1주택자 전세대출 이자상환액 DSR 반영 갭투자 억제 취지지만 실수요 자금조달 부담 커져 전세 물건 감소·월세화 가속…임차비 상승 우려 추가 금융규제·토허제 확대로 임대공급 위축 가능성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정부가 전세대출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에 포함하기로 하면서 수도권 전세시장 진입 장벽이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1주택자의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를 억제해 임대차 시장을 안정시키겠다는 취지지만, 시장에서는 실수요자의 자금 조달이 한층 어려워지고 ‘전세의 월세화’가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이날 정부는 최근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의 집값이 급등에 대처하기 위해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에 따르면, 기존 서울 내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용산구 4개 자치구의 조정대상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지정 유지 및 나머지 서울 ...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0-16 17:16:26 oid: 374, aid: 0000468861
기사 본문

[앵커] 집값이 좀처럼 잡히지 않자, 정부가 규제지역 확대와 대출 추가 제한까지 총동원했습니다. 당장은 숨 고르기 효과가 있겠지만, 결국은 실수요만 막고 집값은 되레 자극할 수 있다는 지적이 벌써부터 나옵니다. 정보윤 기자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앵커] 우선 정부의 부동산 대책, 간단하게 요약해 주시죠. [기자] 우선 서울 전역과 과천시, 성남시 분당구 등 경기도 12개 지역이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됐습니다. 규제 지역으로 지정되면 현재 70%인 주택담보대출비율, LTV가 40%로 낮아지고, 다주택자에 대한 취득세·양도소득세 중과, 분양권 전매 제한 등 불이익도 있습니다. 또, 토허구역으로 묶였기 때문에 2년 실거주 의무도 발생합니다. 갭투자 수요를 차단하기 위해서입니다. 금융규제도 대폭 강화됐는데요. 수도권에선 15억 원 초과~25억 원 이하 주택의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현행 6억 원에서 4억 원으로, 25억 원 초과 주택은 2억 원으로 낮아집니다. 대출심사 때 더해...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15 17:32:04 oid: 001, aid: 0015680466
기사 본문

세번째 부동산대책 발표…1주택자 전세대출도 DSR 규제 적용키로 스트레스금리 하한 1.5→3%…1억 연봉자 한도 최대 8천600만원 감소 무주택자도 서울·경기남부엔 LTV 40%…현금 부족한 실수요자 타격 불가피 서울 집값 다시 가파른 상승세…한강벨트 강세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서울 등 수도권 집값이 다시 가파른 오름세를 보이는 가운데 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한강변 아파트 및 주택단지들. 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다섯째 주(9월29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7% 올랐다. 성동구(0.78%), 마포구(0.69%), 광진구(0.65%) 등 강북 한강 벨트가 계속 강세를 보이며 상승폭을 확대하는 가운데 서울 25개 자치구 모두 오름폭이 커졌다. 2025.10.8 dwise@yna.co.kr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16일부터 수도권·규제지역의 시가 15억 초과∼25억원 미만 주택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가 4억원, 25억원 ...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16 05:07:07 oid: 011, aid: 0004543817
기사 본문

연봉 1억 차주 대출한도 2억 감소 15억 아파트 현금 11억 필요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뉴스1 [서울경제] 이재명 정부의 세 번째 부동산 대책으로 연봉 1억 원 직장인 기준 대출 가능 금액이 2억~4억 원가량 줄어든다. 평균 15억 원인 서울의 아파트를 사기 위해서는 11억 원 정도의 현금이 필요하고 마포·성동 등 ‘중상급 입지’의 주택을 구매하려면 최소 6억~13억 원 안팎의 자기자본이 필요해졌다. 현금이 부족한 중산층 이하 계층의 수도권 진입이 사실상 막히는 셈이다. 16일부터 시행되는 ‘10·15 부동산 대책’의 대출 규제책은 크게 △수도권·규제지역 가격에 따른 대출 한도 축소 △규제지역 담보인정비율(LTV) 70%→40% 하향 △스트레스 금리 하한 상향 등 세 가지다. 우선 수도권과 규제지역의 15억~25억 원 주택은 대출 한도가 기존 6억 원에서 4억 원으로 일괄 삭감된다. 25억 원이 넘는 초고가 주택은 2억 원으로 더 줄어든다. 추가로 이번...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