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만 명에 5만원씩 준다…11월까지 신청받는 ‘이 것’ 무엇?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지난 7월 27일 서울 동대문구 제기동 청량리종합시장의 모습. 곽성호기자 카드를 지난해보다 많이 쓰면 증가분의 일부를 환급해 주는 ‘상생페이백’ 으로 415만 명(9월 분)이 2414억 원을 환급받게 됐다. 16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달 상생페이백에 1058만 명이 신청해 이 중 해당자인 415만명에게 평균 5만8155원 씩 지급했다고 밝혔다. 상생페이백 올 9∼11월 월별 카드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 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3개월 모두 지난해보다 소비가 늘었다면 최대 30만 원을 환급받을 수 있다. 신청자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비중이 570만명으로 54%를 차지했고, 연령별로는 30대가 25.4%로 가장 많았다. 중기부는 지급액의 5배인 약 1조2070억 원의 소비 진작 효과가 발생해 중소·소상공인 및 전통시장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고 판단했다. 지난 10일 이후 페이백 신청자 중에서 9월 소비 증가분...
기사 본문
사진=상생페이백 홈페이지 캡처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9월분을 415만 명에게 2414억 원 지급했다고 오늘(16일) 밝혔습니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 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보다 증가할 경우, 그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 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 지난달 15일부터 접수를 시작해 이달 14일까지 1058만명이 신청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70만명으로 54%를 차지했으며,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등 순으로 신청이 많았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40대(24.8%), 50대(19.6%)등 입니다. 지난 9일까지 상생페이백 신청을 완료한 국민 중 지난해 월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지난달 소비액이 증가해 지급 대상이 된 국민은 전체 신청자의 41% 수준인 415만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들에게...
기사 본문
서울 시내 전통시장에 붙어있는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팻말. 사진=연합뉴스 중소벤체기업부는 ‘상생소비지원금(상생페이백)’제도 신청자가 접수 한 달만에 1058만 명에 달했으며 이중 415만 명이 9월분 페이백을 지급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페이백 지급 대상자에게는 총 2414억 원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형태로 환급됐으며 1인당 평균 8155원이 돌아갔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전년도 월평균보다 증가한 경우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단 백화점·대형마트·온라인쇼핑·명품·유흥업소 등은 실적에서 제외된다. 온라인 결제도 제외되지만 배달앱 현장결제는 인정된다. 세금·공과금·현금결제·계좌이제 등은 해당 되지 않는다.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지역분포를 보면 수도권(서울. 경기.인천)이 54%, 비수도권에서는 부산(6.4%), 경남(6.0%) 순으로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
기사 본문
415만명에 2414억 환급 '1인당 평균 5만8000원' 지난해 보다 카드를 더쓰면 증가분의 일부를 돌려주는 상생페이백 제도에 접수한달 동안 총 1천 57만 9937명이 신청하고, 9월 페이백 지급 대상자 415만명에게 1인당 평균 5만 8천원이 환급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접수 한 달간 총 1천 58만명이 신청하고, 9월 페이백으로 총 2천 414억원을 지급했다고 오늘(16일)밝혔습니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작년 월 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입니다. 접수 한 달(9.15~10.14) 동안 약 1천 58만명 신청했는데,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4%(570만),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순으로 신청이 많았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 40대 24.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