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 "비전AI 기술로 얼굴 부위별 노화 시계 비밀 밝혀"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한국 여성 1만6천명 대상 연구…"6가지 노화 지표 및 원인 유전자 발굴" LG생활건강 "비전AI 기술로 얼굴 부위별 노화 시계 비밀 밝혀" [LG생활건강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강애란 기자 = LG생활건강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는 비전 AI 기술을 활용해 눈가와 입술, 얼굴 윤곽 등 얼굴 부위별 노화 속도의 차이를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LG생활건강은 피부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피부연구학회지' 온라인판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 '대규모 얼굴 이미지 분석 및 GWAS(전장 유전체 연관성 분석 기술)를 통한 얼굴 형태 노화의 유전적 구조 규명'을 게재했다. LG생활건강은 20∼60대 한국인 여성 약 1만6천명의 고해상도 얼굴 이미지를 확보하고, '안면 특징점 추출 기술'을 적용해 얼굴의 68개 특징점을 분석했다. AI를 활용해 맨눈으로 구분하기 힘든 얼굴 구조의 미세한 변화를 추적하며 눈꼬리 처짐, 입술 비율, 얼굴 ...
기사 본문
LG생활건강, 피부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게재 눈가는 50세 이전, 입술은 50대 이후부터 변화 안면 특징점 추출 기술 적용 예시(완쪽), 얼굴 부위별 6가지 노화 지표 정의 예시(오른쪽). LG생활건강 제공. LG생활건강이 얼굴 부위별로 노화가 다르게 진행된다는 점을 밝혀냈다. 눈가는 50세 이전부터, 입술은 50세 이후부터 변화가 생겨 연령에 따라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얼굴 부위가 달랐다. LG생활건강은 피부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피부연구학회지’ 온라인판에 연구논문 <대규모 얼굴 이미지 분석 및 GWAS(전장 유전체 연관성 분석 기술)를 통한 얼굴 형태 노화의 유전적 구조 규명>을 게재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연구는 LG생활건강이 진행 중인 피부 장수 연구 프로젝트 중 하나로, 얼굴 이미지를 기반으로 피부 유형을 분류하는 비전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것이다. LG생활건강은 이를 위해 20∼60대 한국인 여성 약 1만6000명의 고해상도 얼굴 이미지를 확보하고, ...
기사 본문
비전AI 활용 韓여성 1.6만명 규모 연구 6가지 노화 지표 및 원인 유전자 발굴 LG생활건강의 안면 특징점 추출 기술 적용 예시(왼쪽), 얼굴 부위별 6가지 노화 지표 정의 예시(오른쪽) [LG생활건강]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LG생활건강이 ‘비전 AI(Vision AI)’ 기술을 활용해 눈가, 입술, 얼굴 윤곽 등 얼굴 부위별 노화 속도의 차이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LG생활건강은 최근 피부과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피부연구학회지(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온라인판에 이 같은 내용의 연구 논문 ‘대규모 얼굴 이미지 분석 및 GWAS(전장 유전체 연관성 분석 기술)를 통한 얼굴 형태 노화의 유전적 구조 규명)’을 게재했다. 이번 연구는 LG생활건강의 피부 장수(Skin Longevity)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얼굴 이미지를 기반으로 피부 유형을 분류하는 비전 AI 기술을 활용했다. 연구팀은 20~60대 ...
기사 본문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LG생활건강(051900)은 자사 비전 AI 기술을 활용한 얼굴 부위별 노화 속도 규명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LG생활건강 안면 특징점 추출 기술 적용 예시(좌), 얼굴 부위별 6가지 노화 지표 정의 예시(우). (사진=LG생활건강) LG생활건강은 최근 피부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피부연구학회지’ 온라인판에 논문 ‘대규모 얼굴 이미지 분석 및 GWAS(전장 유전체 연관성 분석 기술)를 통한 얼굴 형태 노화의 유전적 구조 규명’을 게재했다. 이번 논문은 LG생활건강의 피부 장수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비전 AI 기술을 적용한 최대 규모(한국인 대상)의 얼굴 노화 연구 사례다. 얼굴 부위 별로 정량화된 노화 지표를 제시했고, 특징적인 노화 패턴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원인 유전자까지 발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LG생활건강 R&I 연구 부문은 이번 연구를 위해 20~60대 한국인 여성 약 1만 6000명의 고해상도 얼굴 이미지를 확보하고, ‘안면 특징...
기사 본문
눈가, 입술, 얼굴 윤곽 등 노화 속도 차이 보여 '안면 특징점 추출 기술' 적용 LG생활건강이 '비전 AI' 기술을 활용해 얼굴 부위별 노화 속도 차이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LG생활건강 LG생활건강은 '비전 AI' 기술을 활용해 눈가, 입술, 얼굴 윤곽 등 얼굴 부위별 노화 속도의 차이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LG생활건강은 최근 피부과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피부연구학회지' 온라인판에 연구 논문 '대규모 얼굴 이미지 분석 및 GWAS(전장 유전체 연관성 분석 기술)를 통한 얼굴 형태 노화의 유전적 구조 규명'을 게재하며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이번 연구는 LG생활건강의 피부 장수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얼굴 이미지를 기반으로 피부 유형을 분류하는 비전 AI 기술을 적용한 최대 규모(한국인 대상 연구 중)의 얼굴 노화 연구 사례다. 특히 얼굴 부위 별로 정량화된 노화 지표를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특징적인 노화 패턴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원인...
기사 본문
LG생활건강, 여성 1만6000명 얼굴 분석 비전 AI 활용해 부위별 노화시계 연구 국제 학술지에 논문 게재 LG생활건강이 얼굴 부위별 노화 속도의 차이를 연구한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게재했다. LG생활건강은 피부과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피부연구학회지(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온라인판에 연구 논문 ‘대규모 얼굴 이미지 분석 및 GWAS(전장 유전체 연관성 분석 기술)를 통한 얼굴 형태 노화의 유전적 구조 규명’을 게재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연구는 LG생활건강의 피부 장수(Skin Longevity)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얼굴 이미지를 기반으로 피부 유형을 분류하는 비전 AI 기술을 적용했다. 이 연구를 위해 20~60대 한국인 여성 1만6000명의 고해상도 얼굴 이미지가 활용됐다. LG생활건강은 “‘안면 특징점 추출 기술(Facial Landmark Detection)’을 적용해 얼굴 상 68개의 특징점을 분석했다”며 ...
기사 본문
눈가는 50세 이전부터 처짐이 가속화 하고, 입술 노화는 50세 이후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인공지능(AI)이 찾아낸 얼굴 부위별 노화 시계다. LG생활건강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는 비전 AI 기술을 활용해 눈가와 입술, 얼굴 윤곽 등 얼굴 부위별 노화 속도의 차이를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LG생활건강은 피부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피부연구학회지’ 온라인판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 ‘대규모 얼굴 이미지 분석 및 전장 유전체 연관성 분석 기술(GWAS)을 통한 얼굴 형태 노화의 유전적 구조 규명’을 게재했다. LG생활건강은 20∼60대 한국인 여성 약 1만6000명의 고해상도 얼굴 이미지를 확보하고, ‘안면 특징점 추출 기술’을 적용해 얼굴의 68개 특징점을 분석했다. AI를 활용해 맨눈으로 구분하기 힘든 얼굴 구조의 미세한 변화를 추적하며 눈꼬리 처짐, 입술 비율, 얼굴 윤곽 등 연령대별 6가지 노화 지표를 정량화했다. 연구 핵심은 얼굴 부...
기사 본문
2025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전문세션 “혈액 속 노화 신호 조절해 노인성 질환 치료 줄기세포·미니 장기로 노화세포 추적, 신약으로 진행 늦춰” 1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BIX2025)‘ 전문세션에서 패널들이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경아 메디스팬 대표, 최학배 하플사이언스 대표, 김덕호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 전옥희 고려대 의대 교수./염현아 기자 “노화는 피할 수 없는 숙명이 아니라, 조절 가능한 질병입니다. 줄기세포와 오가노이드(미니 장기)로 노화세포의 변화를 추적하고, 혈액 속 노화 신호를 찾아 조절하는 신약이 노화를 늦출 수 있습니다.” 1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BIX2025)‘ 전문세션에서 조경아 메디스팬 대표는 “노화는 과거에는 건기식이나 화장품 등이 중심이 됐다면, 지금은 노화를 직접 조절하는 생물학적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