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규제 영향 본격화…9월 가계대출 증가폭 1.1조에 그쳐

2025년 10월 1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2개
수집 시간: 2025-10-16 16:55:5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아시아경제 2025-10-16 12:00:00 oid: 277, aid: 0005665301
기사 본문

전월(+4.7조) 대비 증가폭 축소 6월 규제 이후 시차 두고 영향 본격화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15일 서울 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합동브리핑에 참석,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이날 발표에는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해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임광형 국세청장이 참석했다. 2025.10.15 조용준 기자 올해 9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1조1000억원 증가하며 전월(4조7000억원)보다 증가폭이 크게 축소됐다. 6·27 대출 규제 이후 약 3개월간의 시차를 두고 영향이 본격화됐다는 평가다. 금융위원회는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 부처와 가계부채 점검 회의를 열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1조1000억원 증가해 전월(4조7000억원) 대비 크게 감소했다. 은행권과 제2금융권 모두 증가폭이 축소됐다. 기타대출도 2조4000억원 감소해 전월(-4000억원) 대비 감...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0-16 16:02:18 oid: 020, aid: 0003667647
기사 본문

부동산 대출규제 강화 첫날인 16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은행에서 시민들이 대출 상담을 받고 있다. 2025.10.16 뉴스1 “기존에 받은 대출이 승인 안 되는 건 아닌가요?” 대출 한도를 2억 원까지 축소하는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16일 시작된 가운데 시중은행들에는 강화된 대출 규제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A 은행 여의도 지점 관계자는 “어떤 고객은 대출을 받아 이사가려고 계획을 세웠는데 이제 힘들어졌다는 푸념을 쏟아냈다”고 전했다. 은행권에 따르면 대출 수요자들은 이미 추석 연휴 전인 지난달 초중순부터 대출 신청을 서두른 것으로 보인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 따르면 대책 시작 하루 전인 15일 가계부채(주택담보·전세·신용대출 등) 누적액은 765조7559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말(764조949억 원) 대비 1조6609억 원 증가했다. 주담대 실적이 신청 뒤 보름에서 한 달 여 뒤 통계에 반영되는 점을 고려하면 추석 연휴 전인 지난달 ...

전체 기사 읽기

이코노미스트 2025-10-16 14:48:11 oid: 243, aid: 0000086442
기사 본문

증가 규모 4조→2조…계절적 요인도 영향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효과 살펴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바라본 강남북 집합건물(아파트·다세대·연립·오피스텔)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6·27 대출 규제 시행과 비(非)이사철 수요 감소 영향으로 지난 9월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이 2조원대로 줄었다. 비은행권을 포함한 전체 가계대출 증가규모도 1조원대에 그쳤다. 이에 더해 정부가 지난 10월 15일 내놓은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부동산 시장과 금융시장에 어떤 파급효과를 낼지도 주목된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170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8월 말보다 2조원 늘어난 수치다. 지난 6월 6조2000억원에 이르던 가계대출 증가폭은 6·27 대책 이후 7월 2조7000억원으로 줄었다가 8월 4조원대로 반등했지만, 9월에는 다시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대출 종류별로는 전세자금...

전체 기사 읽기

SBS 2025-10-16 15:49:55 oid: 055, aid: 0001300258
기사 본문

▲ 은행 가계 대출 추이 6·27 대출 규제와 비이사철 수요 감소 등으로 지난달 전체 금융권 가계 대출 증가 폭이 1조 원대로 급감했습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 대출 잔액은 8월 말보다 2조 원 많은 1천170조 2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6월 6조 2천억 원에 이르던 가계 대출 증가 폭은 6·27 대책 이후 7월 2조 7천억 원으로 줄었다가, 8월 다시 4조 원대로 반등했지만, 9월에는 다시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습니다. 대출 종류별로는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이 2조 5천억 원 늘었고, 반대로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5천억 원 줄었습니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6·27 대책 영향이 이어진 데다 7∼8월 이사철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전세 자금 수요가 적은 계절적 요인 등으로 증가 폭이 축소됐다"며, "기타 대출은 신용대출 한도 축소 효과가 지속되고, 분기 말 부실 채권 매·상각 영향...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0-16 12:01:18 oid: 014, aid: 0005420191
기사 본문

9월 은행권 가계대출 1170.2조원...전월比 2조원↑ 6·27 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폭 6개월래 최저 주택거래량 급감 영향...전세자금대출도 감소 전환 한은 “10·15 효과, 판단 어려워...좀 더 지켜봐야”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6·27 가계대출 규제가 시행 3개월 만에 가계대출 불씨를 꺼트렸다. 주택 거래량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규제 직전 6조원을 넘긴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이 지난달 2조원까지 급감했다. 비은행권을 포함한 전체 가계대출 증가액도 1조원대로 떨어진 가운데, 정부가 지난 15일에 꺼내든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의 경우 부동산 시장 과열 진정 효과를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9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 2조원으로 ‘뚝’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5년 9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170조2000억원으로 전월보다 2조원 증가했다. 지난 2월(3조2000억원)과 ...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16 12:00:00 oid: 003, aid: 0013538396
기사 본문

한은, 2025년 9월 금융시장 동향 발표 은행권 가계대출 2조↑…9월(+4.1조)의 절반 주담대 2.5조↑…전세자금대출 -0.2조로 감소 전환 "10·15 부동산 대책, 효과 지켜봐야"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15일 오후 서울 남산에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보이고 있다.정부가 6·27 대출 규제과 9·7공급대책에 이어 발표한 추가 대책은 기존 규제지역인 강남3구·용산구를 포함한 서울 25개 구 전역과 한강 이남의 경기도 12곳 등 총 27곳을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 등 '삼중 규제지역'으로 묶고 금융규제까지 강화하는 내용이다. 2025.10.15. ks@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9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반토막 났다.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효과와 계절적 요인으로 주택담보대출이 축소된 영향이다. 여기에 전세자금대출도 9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다. 기업대출은 미국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0-16 18:40:09 oid: 014, aid: 0005420481
기사 본문

9월 금융권 가계대출 1조1000억↑ 3월이후 최저…주담대 증가세 둔화 계절적 요인에 전세자금 수요 감소 "10·15규제 영향 대출수요 더 억제" 6·27부동산대책 효과가 3개월 만에 본격화됐다.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의 전월 대비 증가 폭이 둔화되며 반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 15일 추가로 수요 억제책이 나온 만큼 가계대출 증가세가 더 억제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6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1조1000억원 증가했다. 전월 증가 폭(4조7000억원)과 비교하면 4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지난 3월(7000억원) 이후 최저다. 주택담보대출은 3조6000억원이 증가해 전월(5조1000억원) 대비 증가세가 둔화됐다. 은행권(3조8000억원→2조5000억원), 2금융권(1조3000억원→1조1000억원) 모두 증가 폭이 축소됐다. 계절적 요인으로 전세자금 수요가 감소한 점도 주담대 증가 폭이 줄어든 원인이었다. 은행권 전...

전체 기사 읽기

조세일보 2025-10-16 12:01:12 oid: 123, aid: 0002369944
기사 본문

한은, ‘2025년 9월중 금융시장 동향’ 발표 9월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축소…주담대 2.5조 늘고 기타대출 0.5조 감소 기업대출 5.3조원↑…대기업 1.3조원·중소기업 4조원 증가 한은 “정부,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는 반가운 소식…대책 효과 판단하기엔 이른 시점”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5년 9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의하면 주택금융공사 정책모기지 양도분 및 주택도시기금 이차보전 방식 정책대출을 포함한 9월 은행 가계대출은 전월에 비해 증가폭이 축소됐다(8월 +4조1000억원→9월 +2조원).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공 9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8월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627 대책의 영향이 이어지는 가운데 추석 등 계절적 요인, 비은행권 부실채권 매상각이 맞물리며 대출 증가세에 제동이 걸렸다. 주택구입 목적 대출만 증가세를 유지했을 뿐 생활자금용, 기타대출은 감소로 전환됐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5년 9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의하면 주택금융...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