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 "코스피 장기 강세장 지속시 7500까지 간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4004.42)보다 88.04포인트(2.20%) 오른 4092.46에 개장한 6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전광판에 지수가 나오고 있다.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901.89)보다 13.54포인트(1.50%) 상승한 915.43에 거래를 시작했으며,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449.4원)보다 7.4원 내린 1442.0원에 출발했다. 2025.11.06. ks@newsis.com [서울=뉴시스] 강수윤 기자 = KB증권이 내년 코스피가 5000선까지, 장기 강세장에 들어설 경우 7500선까지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6일 보고서에서 "내년 코스피의 목표치는 5000선"이라며 "올해 상승장은 3저(저물가·저금리·저환율) 호황에 따른 밸류에이션 확장과 코스피 실적 사이클 시작으로, 지난 1985년 이후 40년 만의 강세장 진입"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특히 "장기 강세장 시나리오에...
기사 본문
KB증권이 코스피의 내년 목표를 5000선으로 제시하고 장기 강세장이 이어질 경우 7500선까지 갈 것으로 전망했다. 6일 KB증권은 'KB 전략-코스피, 대세 상승장 쉼표' 보고서를 통해 향후 코스피 단기 조정은 대세 상승장의 쉼표 구간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과거 30년간 한국 증시의 세 차례 강세장(1998년, 2009년, 2020년)에서 코스피의 조정 폭과 기간이 각각 평균 -14%, 1개월 수준을 기록했고 지수 조정 폭이 큰 만큼 코스피가 급 반등한 사례를 제시했다. 특히 1998~1999년 강세장 경우에 -22% 단기 조정 후 코스피는 약 2배 상승한 바 있다. 현재 코스피 조정은 '3저' 호황 국면이었던 1984년 4월과 유사한 상황으로 판단했다. 당시 코스피는 10.9% 하락했고 조정 기간은 1개월간 지속됐으며 S&P 500도 5% 하락했다. 1986년 4월 급락 후 3~4주간 횡보하던 코스피는 재차 급반등을 시작했다. 최근 일각에서 제기된 2025년...
기사 본문
KB증권 보고서 발표 하락 클수록 큰 반등 버블 논란은 시기상조 6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 등이 표시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KB증권이 코스피 단기 조정은 대세 상승자의 쉼표 구간이라며 버블 논란은 시기상조라고 평가했다. 코스피 지수는 이달 4일과 5일 5% 넘게 하락했다가 3거래일 만에 2% 넘게 반등 출발했다. KB증권은 과거 30년 간 한국 증시가 세 차례 강세장이 있었는데 각각 조정 폭과 기간이 평균 –14%, 1개월 수준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지수 조정 폭이 클수록 반등 폭도 크게 나타났다. 1998~1999년 강세장에서 코스피는 22% 단기 조정을 받은 이후 두 배 올랐다. 최근 코스피 조정은 3저 호황 국면이었던 1984년 4월과 유사한 상황으로 평가했다. 당시 코스피는 한 달 동안 10.9% 하락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도 5% 떨어졌다. 급락 후 3~4주 동안 횡보하던 코스피 시장은 급반등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
기사 본문
ⓒ News1 DB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KB증권은 내년 코스피가 5000선까지, 장기 강세장에 들어설 경우 7500선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6일 보고서를 통해 “내년 코스피의 목표치는 5000선”이라며 “올해 상승장은 3저(저물가·저금리·저환율) 호황에 따른 밸류에이션 확장과 코스피 실적 사이클 시작으로, 지난 1985년 이후 40년 만의 강세장 진입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특히 장기 강세장 시나리오에서는 향후 실적 전망 변동에 따라 수정될 수 있지만 코스피는 7500선까지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강조했다. 근거는 ‘실적’이다. 내년 코스피의 영업이익은 반도체와 전력이 견인하며 전년 대비 36% 증가한 401조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KB증권은 코스피의 최대 실적이 주가 상승을 이끌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전 세계 증시 대비 여전히 밸류에이션이 저렴하다는 점도 근거로 제시했다. 현재...